1. 서 론
최근 지구 온난화와 화석 연료의 고갈로 인해 재생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 다[1,2]. 다양한 재생에너지 기술 중 염도차 발전은 해 수와 담수의 농도차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기술로 다른 재생에너지 기술과 비교할 때 전력 변동이 크지 않고 기후 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온교환막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염도차 발전 기술 중 하 나인 역전기투석(reverse electrodialysis, RED)은 해수 와 담수의 서로 다른 염도에 따른 화학 포텐셜 차이를 에너지 생성의 구동력으로 이온교환막(ion-exchange membrane, IEM)을 통해 선택적으로 이온을 이동시킨 다. 교차 배열된 IEM에 의해 양이온과 음이온은 정반 대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 때 스택 내에 전위차가 발 생하게 된다. 스택 양단의 전극 표면에서는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고 이를 통해 생성된 전자는 양 전극을 연결하는 외부 회로를 통해 이동하면서 전기가 생성된 다. 따라서 RED 공정에서는 용액의 농도차에 의해 직 접적으로 화학적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기 때 문에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다[3-5].
RED에서의 수송 현상은 주로 막과 용액의 이온 수 송에 의해 좌우된다. 해수 및 담수와 같은 천연 수용액 에는 RED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가 이온 을 포함한 여러 이온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해수에 는 Na+, K+, Li+, Cl- 이외에도 Mg2+, Ca2+, SO42-와 같은 2가 이온이 중량 기준으로 10% 이상 포함되어 있다[6]. 2가 이온은 1가 이온보다 수화반경이 더 크고 원자가가 높기 때문에 IEM의 고정 전하기에 대한 친화력이 더 강하다. 따라서 막의 고정 전하기에 강하게 결합하여 이온교환용량을 감소시켜 높은 막 저항을 유발하며 RED의 개방회로 전압(open-circuit voltage, OCV)과 출 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즉, 2가 이온이 존재할 때 전체 농도 구배에 대한 2가 이온의 이동 또는 막 저항의 증 가로 인해 RED 출력 밀도의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7,8]. Uphill transport는 1가 이온과 다가 이온의 서로 다른 기전력으로 인해 발생하며 에너지 소비와 함께 농 도 구배에 반하여 낮은 농도 영역에서 높은 농도 영역 으로 다가 이온이 이동한다[9,10]. 예를 들면, 낮은 농 도 영역의 SO42- 1개와 높은 농도 영역의 Cl- 2개가 교 환될 수 있다. 따라서 standard-grade의 막을 사용하는 경우 uphill transport의 부정적인 영향과 SO42- 이온의 존재 시 투과선택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11,12]. 만 일 1가 이온 선택성 막을 사용하면 다가 이온의 uphill transport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면 높은 전기 저항을 유발하므로 1가 이온 선택성 막을 사용하였을 때 전력 밀도는 standard-grade 막을 사용한 경우보다 높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RED 공정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고성능 1 가 이온 선택성 막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이때 1가 이온 선택성 막은 1가 이온의 통과를 허용하지만 다가 이온의 수송을 차단해야 하며 동시에 낮은 전기적 저항 을 갖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기본적으로 막은 우 수한 내구성 및 기계적 물성을 가지며 동시에 제조 단 가가 저렴해야 한다. 1가 이온 선택성 막의 분리 메커 니즘은 수화된 이온 반경의 차이로 인한 크기 체질(size sieving) 효과와 정전기적 반발력이다[13]. 첫 번째로 size exclusion은 가교도의 증가, 치밀한 층의 도입, 이 온교환막의 표면의 소수성화 등을 통해 1가 이온 선택 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14-16]. 1가 이온인 Cl-와 2가 이온인 SO42-는 각각 317 및 1000 kJ/mol의 서로 다른 Gibbs 수화에너지와 0.332 및 0.379 nm의 수화 반경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소수성을 띠는 IEM은 비교적 큰 수화반경을 갖는 2가 이온을 더 많이 배제시킬 수 있다. 두 번째로 정전기적 반발력은 이온교환기와 반대 극성의 작용기를 도입함으로써 1가 이온 선택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17]. 예를 들어 Güler 등은 상용막인 Fujifilm 사의 Fuji A 막의 양면 모두에 반대극성으로 표면 개질하여 막을 제조하였다. 표면 개질 층은 음이온 단량체로 2-acryloylamido-2-methylpropanesulfonic acid (AMPS)를 그리고 가교제로서 N,N-methylenebis(acrylamide) (MBA)를 사용하여 제조되었으며 광중합을 통 해 막 표면에 도입이 되었다. 3 mM NaCl + 2 mM Na2SO4의 담수 조건에서, 최적화된 음이온교환막(anionexchange membrane, AEM)과 표면 개질하지 않은 Fuji A을 각각 Astom 사의 CMX와의 조합을 통해 RED 구 동 시 최대 0.91 및 0.89 W/m2의 전력 밀도를 얻었다 [18]. Gao 등은 상용막인 Chem Joy 사의 CJMA-2 막 표면에 poly(styrene sulfonate) (PSS)와 poly(ethyleneimine) (PEI) 층을 번갈아가며 layer-by-layer (LBL) 로 도입하였다. 0.459 M NaCl + 0.051 M Na2SO4 조성 의 해수, 0.0153 M NaCl + 0.0017 M Na2SO4 조성의 담수 조건에서, 최적화된 AEM과 표면 개질하지 않은 CJMA-2는 Fumasep 사의 FKS 양이온교환막(cation-exchange membrane, CEM)과의 조합으로 RED를 평가하 였으며 실험 결과 최대 0.43 및 0.41 W/m2의 전력 밀 도를 얻었다[19]. Pintossi 등은 Fujifilm 사의 standard- grade AEM type I과 AEM type 10 및 Astom 사의 standard-grade AMX와 monovalent ion selective grade ACS의 4가지 AEM을 Astom 사의 CMX와의 조합으로 각각 RED를 평가하였다. 이때 NaCl와 Na2SO4의 농도 비율을 100:0, 90:10, 75:25 및 50:50 mol.%로 조절한 해수와 담수 용액을 사용하였다. 1가 이온 선택성 막은 다가이온의 uphill transport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standard-grade 막보다 저항이 높기 때문에 오히려 전력 밀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외에 여러 연 구 결과로 부터 RED의 성능 개선을 위한 1가 이온 선 택성 막이 개발되고 있지만 여전히 다가 이온에 의한 uphill transport, 투과선택성 감소 및 막 저항 증가의 측 면에서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다수의 상용 이온교환막은 기계적 물성을 강화 하기 위해 reinforcing material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 문에 막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막 저항이 증가하며 복잡한 제조 과정으로 인해 생산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 가 있다[20-22]. 얇은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이오노머 를 충진시켜 제조한 세공충진 이온교환막(pore-filled ion-exchange membrane, PFIEM)은 기계적 물성을 강 화시킴과 동시에 얇은 두께로 인해 낮은 막 저항을 갖 는 장점이 있다[23-2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ED의 성능 향상을 위해 우 수한 1가 이온 선택성을 가진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약 20 μm 두께의 다공성 폴 리에틸렌(polyethylene, PE) 지지체에 음이온 교환기 도 입을 위한 모노머와 가교를 위한 모노머를 충진하여 기 저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기저막은 후처리를 통해 가 교와 동시에 추가적인 4급 암모늄기가 형성될 수 있으 며 이온 교환기의 함량을 높임과 동시에 가교도를 높여 과도한 팽창을 억제하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막의 이 온 전도성과 가교도를 조절하여 size exclusion에 의해 발생하는 1가 이온 선택성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제 조된 PFAEM의 전기화학적 특성 및 1가 이온 선택성 등을 체계적으로 평가함으로써 RED 공정에 최적화된 막 조성을 확인하였다.
2. 실험 방법
2.1.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의 제조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은 다공성 PE 지지체(두께 = 20 μm, W-SCOPE Korea)에 vinyl benzene chloride (VBC)/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DMAEMA) 단량 체를 충진시켜 제조되었으며, 단량체의 몰비는 VBC: DMAEMA = 0.5~2.0:1로 조정하였다. 가교제로 사용된 divinylbenzene (DVB)과 광개시제로 사용된 benzophenone (BP)의 함량은 각각 10 wt%와 2 wt%이었다. 세 공충진 이온교환막은 제조된 단량체 용액에 다공성 PE 지지체를 함침시킨 뒤 두 장의 이형 필름 사이에 밀착 시켜 고압 UV 램프(1 kW)를 사용하여 13분 동안 경화 시켰다. 중합이 완료되면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후처리를 통해 가교 및 4차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VBC/DMAEMA 은 기저막을 1.0 M trimethylamine (TMA) 수용액에 먼 저 담근 후, VBC의 Cl-기에 4차 암모늄기를 도입하기 위해 60°C에서 5시간 동안 4차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후, 에탄올에 용해된 0.05 M p-xylylene dichloride (XDC) 용액에 60°C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가교와 추가적인 4차 암모늄기의 도입을 동시에 진행하 였다[27]. Fig. 1에 본 연구에서 제조된 중합체의 반응 과정 및 구조식을 나타내었다. 사용된 시약은 모두 Sigma-Aldrich 사에서 구매하였으며 별도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2.2. 이온교환막의 특성 분석
특성 비교를 위한 상용 음이온교환막으로 Astom사의 ASE 막을 선정하였다. 제조된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의 화학적 구조는 적외선분광법(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metry, FT/IR-4700, Jasco, Japan)을 통 해 분석되었다. 이온교환막의 표면 친수도를 확인하기 위해 접촉각 분석기(Phoenix 150, SEO Co., Korea)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이온교환막의 기계적 강도 및 신 장율은 젖은 상태의 시료를 Universal testing machine (34SC-1, Instron, Norwood, MA, USA)을 이용하여 측 정하였다. 상용 음이온교환막 및 세공충진 이온교환막 의 전기적 저항(electrical resistance, ER)은 실험실에서 제작한 2-point probe 클립 셀(clip cell)을 이용하여 0.5 M NaCl 및 RED의 해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이온교 환막의 전기적 저항은 식 (1)을 통해 계산하였다[28].
여기서 |Z|sample는 전해질과 막의 임피던스 (Ω), |Z|blank 는 전해질의 임피던스 (Ω), θ는 위상각 (degree), 및 A 는 막 면적(cm2)을 의미한다. 함수율(water uptake, WU)은 막의 젖은 무게와 건조 무게의 차이를 측정하 여 식 (2)를 사용하여 산정되었다[29].
여기서 Wwet와 Wdry는 젖은 무게 및 건조 무게를 의미 한다. 막의 이온교환용량(ion-exchange capacity, IEC)은 적정(Mohr 법)을 통해 결정되었다. 막이 0.5 M NaCl 용액에서 평형에 도달하면 증류수로 세척한 후 0.25 M Na2SO4 용액에 담궈 막 내에 Cl- 이온이 SO42- 이온으 로 완전히 치환되도록 하였다. 치환된 용액 내 Cl-의 양 은 0.01 M AgNO3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정량 분석하 였으며 이때 K2CrO4을 지시약으로 사용하였다. IEC는 식 (3)을 통해 계산되었다[29].
여기서 C는 적정 용액의 표준 농도(meq./L), Vs는 용액 부피(L)이다. 이온교환막의 선택투과성을 나타내는 이 온 수송수(transport number, TN)는 2-compartment diffusion cell을 이용한 emf 방법으로 측정되었으며 계산 식은 식 (4)와 같다[30].
여기에서 Em은 측정된 셀 전위(V), R은 기체상수(8.31 J/K mol), T는 절대온도(K), F는 Faraday 상수(96,500 C/mol)이며 CL과 CH는 NaCl 용액의 농도로 각각 1 mM과 5 mM이다. 셀 전위는 한 쌍의 Ag/AgCl 전극을 디지털 전압계에 연결하여 측정하였다.
2.3. 1가 이온 선택성 평가
막의 1가 이온 선택성은 실험실에서 제작한 4-compartment cell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전극 및 이온교 환막의 유효면적은 15 cm2이었으며 전극으로 Ti/Pt 전 극을 사용하였다. 전극용액은 0.3 M Na2SO4, 희석 용 액으로는 0.05 M NaCl/Na2SO4, 그리고 농축 용액으로 는 0.05 M Na2CO3를 사용하였다. 1가 이온 선택성 실 험은 3.54 mA/cm2의 정전류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진행 되었다. 1시간 동안 농축실에 농축된 Cl- 및 SO42- 이온 의 농도는 이온 크로마토그래피(883 Basic IC plus, Metrohm, Switzerlan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이온 농도로부터 얻어진 이온 플럭스를 식 (5)와 (6)에 대입하여 1가 이온 선택도를 계산하였다[31-34].
여기서 C0와 Ct은 초기 및 t 시간 후의 농축실에서 샘 플링한 각각 SO42-와 Cl- 이온의 농도(mol/L), V는 용액 의 부피(cm3), A은 막의 활성 면적(cm2), t는 시간(s), 및 는 각각 Cl- 및 SO42- 이온의 플럭스 (mol/cm2·s)이고 및 는 각각 농축실에서 샘 플링된 SO42- 및 Cl- 이온의 농도(mol/L)이다. 막의 1가 이온 선택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한 4-compartment cell 의 구성과 원리를 Fig. 2에 나타내었다.
2.4. 역전기투석 성능 평가
역전기투석은 실험실에서 제작한 스택을 potentiostat/ galvanostat에 연결하여 galvanostatic 모드에서 측정하 였다. 전극 및 이온교환막의 유효면적은 15 cm2이었으며 전극으로 Ti/Pt 전극을 사용하였다. CEM과 AEM로는 Astom 사의 standard-grade인 CSE와 ASE를 사용하였 고 제조된 AEM을 평가할 때는 ASE 대신 사용하였다. PTEF 재질의 가스캣은 1 mm 두께로 막 사이의 유로 를 형성하였다. 산화/환원쌍을 포함한 전극 전해질은 0.05 M K4Fe(CN)6(Ⅱ)/0.05 M K3Fe(CN)6(Ⅲ)를 0.25 M Na2SO4 수용액에 녹여 사용하였다. 해수의 농도는 각 각 0.459 M NaCl/0.051 M Na2SO4, 0.383 M NaCl/ 0.128 M Na2SO4, 0.255 M NaCl/0.255 M Na2SO4를 사 용하였다. 담수의 농도는 각각 0.015 M NaCl/0.0018 M Na2SO4, 0.013 M NaCl/0.0043 M Na2SO4, 0.0085 M NaCl/0.0085 M Na2SO4를 사용하였으며 유량은 50 mL/min으로 공급하였다. CEM과 AEM은 번갈아가며 3-cell pairs로 배치하였으며 역전기투석 각각의 단계에 서 30초 동안 20 단계로 전류 밀도(0~16 A/m2)를 변화 시키며 실험하였다[35]. Fig. 3에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역전기투석 실험의 개략도가 도시되었다.
3. 결과 및 고찰
제조된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의 화학 구조를 확인 하기 위해 FT-IR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측정된 스펙트 라를 Fig. 4에 나타내었다. 지지체와 기저막, 그리고 4 차화된 막의 FT-IR 스펙트라의 비교로부터 지지체의 세공에 합성된 고분자가 충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 다. 먼저 VBC 및 DVB의 도입은 aromatic rings에 해 당된 1462 cm-1의 흡수 밴드로부터 확인되었다[36,37]. 그리고 DMAEMA 부분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C-O 및 C=O 결합에 해당된 흡수 밴드가 각각 1220 및 1720 cm-1에서 관찰되었다[38,39]. 또한, 3367 cm-1의 N-H 및 O-H 신축 진동과 1375 cm-1에서 관찰된 암모 늄기에 해당하는 흡수 밴드를 통해 4차 암모늄기가 막 에 도입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40].
Table 1에 제조된 세공충진 이온교환막과 상용막의 물리적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Table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된 PFAEM은 상용막 대비 낮은 저항과 함수율을 가지고 있으나 이온교환용량은 유사 하거나 그 이상임을 알 수 있다. VBC 단량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IEC 값이 증가하며, 상용막보다 높은 결과 를 나타내었다. 또한 XDC에 의한 DMAEMA 부분의 가교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4차 암모늄 그룹이 생성되기 때문에 DMAEM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교도가 증가하나 이에 따른 저항 증가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다. 그리고 VBC:DMAEMA의 몰 비율이 증가할수록 가교제인 DMAEMA의 함량이 적기 때문에 가교밀도가 낮아 비교적 느슨한 구조를 갖고 있어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과 높은 WU 값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큰 IEC에 비해 WU 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이며, 이는 이온교환막 제조에 사용되는 다공성 PE 지지체가 세공 에 충진된 이오노머의 과도한 팽윤을 물리적으로 억제 하기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한편, 막 표면의 친수도는 이온의 이동 특성에 큰 영 향을 미치는 인자이다. 막 표면의 친수도 변화를 확인 하기 위해 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5에 나타내었다. 상용막인 ASE가 검토된 샘플 중 가장 큰 접촉각(64°)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비교군 중 가장 표면 친수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큰 접촉각은 막 표면의 소 수성이 높음을 의미하며 이는 이온의 flux를 감소시켜 높은 막 저항을 유발할 수 있음을 뜻한다. 이에 비해 제조된 막은 약 43~47°의 상대적으로 현저히 낮은 접촉 각을 나타내었다. 막 제조에 사용된 PE 지지체는 매우 큰 소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결과는 다수의 이 온교환기가 포함된 이오노머가 막 표면을 전체적으로 덮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DMAEMA의 함량이 증가 함에 따라 가교도가 증가하여 막의 치밀도가 향상되는 결과를 보이며 가교도가 가장 낮은 VBC:DMAEMA 2.0:1 조건에서 가장 낮은 접촉각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용막과 제조된 이온교환막의 인장 강도를 측 정한 결과를 Fig. 6에 나타내었다. 결과로부터 PE 지지 체를 포함한 PFAEM은 상용막 대비 매우 높은 인장 강 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막 제조에 사용된 PE 지지체의 우수한 물리적 강도에 기인한 결 과이다[41]. 또한 막의 인장강도는 가교도의 영향을 받 는데 고려된 제조 조건에서는 가교도에 따른 영향이 크 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 이유는 DMAEMA의 몰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가교도도 증가하지만 동시에 IEC도 증 가하기 때문에 물리적 강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으 로 사료된다.
제조막의 1가 이온 선택성은 Fig. 2에 나타낸 전기투 석 셀 실험을 통해 결정되었다. Fig. 7에 상용막과 제조 막의 1가 이온 선택성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ASE의 1가 이온 선택성은 1.27로 1에 가까운 낮은 값 을 나타내었다. 한편 제조막의 1가 이온 선택성은 VBC:DMAEMA 몰 비율에 따라 0.5:1, 1.0:1, 1.5:1, 그 리고 2.0:1 조건에서 각각 3.65, 2.41, 1.94 및 1.34를 나 타내었고 ASE보다 우수한 1가 이온 선택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DMAEMA의 함량이 증가 함에 따라 막의 1가 이온 선택성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가교도가 증가됨에 따라 막의 치밀도가 향상되어 sieving에 의한 배제 효과가 증가하 였음을 의미한다. 1가 음이온인 Cl- 및 2가 음이온인 SO42-의 수화 반경은 각각 0.332 및 0.379 nm이다 [42,43]. 즉, 2가 음이온은 1가 이온에 비해 수화 반경이 크기 때문에 치밀한 VBC:DMAEMA 층을 통과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게 된다. 그러나 1가 이온 선택성과 막 저항은 trade off 관계에 있으며 즉, 1가 이온 선택성이 증가할수록 막 저항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결과 적으로 1가 이온 선택성과 막 저항을 함께 고려했을 때 VBC:DMAEMA 0.5:1에서 최적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D에서 발생하는 uphill transport는 담수에 존재하 는 2가 이온이 농도 구배를 거슬러 해수의 1가 이온과 교환되는 현상을 말하며 이로 인해 RED의 OCV와 출 력 밀도가 감소하게 된다[7-10].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uphill transport에 의한 출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우수한 1가 이온 선택성과 낮은 저항을 갖는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상용막 및 표면 개질된 음이온교환막을 적 용한 RED 성능 평가 결과를 Fig. 8와 Table 2에 정리하 였다. 실험 결과, ASE는 1가 이온 선택성이 낮기 때문 에 다가이온에 의한 uphill transport를 억제하지 못해 감 소된 출력 밀도 값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PFAEMs는 1 가 이온 선택성이 우수한 순서로 높은 OCV 값을 나타 내었으며 이는 다가 이온의 uphill transport를 효과적으 로 억제함으로써 막에서 발생하는 전위차의 감소를 줄 였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전력 밀 도의 증가로 이어져 제조 막 VBC:DMAEMA = 0.5:1, 1.0:1 및 1.5:1은 ASE 대비 각각 40.6%, 24.7% 그리고 0.881% 증가된 전력 밀도를 나타내었다.
Fig. 9(a)에 해수와 담수의 2가 이온의 함량에 따라 막 저항을 평가한 결과를 도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앞서 가장 우수한 RED 성능을 보인 VBC:DMAEMA 0.5:1 막 을 사용하였으며 NaCl과 Na2SO4 몰 농도를 0.51 M NaCl, 0.459 M NaCl/0.0510 M Na2SO4, 0.383 M NaCl/0.128 M Na2 SO4 및 0.255 M NaCl/0.255 M Na2SO4로 조절한 해수 조건에서의 막 저항을 측정하였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2가 이온은 1가 이온보다 수화반 경이 더 크고 원자가가 높기 때문에 IEM의 고정 그룹에 대한 친화력이 더 강하다. 따라서 막의 고정 전하기에 강 하게 결합하여 이온교환용량을 감소시켜 높은 막 저항을 유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OCV와 전력 밀도가 낮게 출 력되며 결과적으로 RED 성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영향은 다가이온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더 심화된다[11,12].
해수와 담수를 다른 NaCl과 Na2SO4 몰 비율로 제조 하여 다가이온의 농도에 따른 RED 성능 평가를 진행 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9(b),(c)와 Table 3에 정리하였 다. 용액의 Na2SO4 함량 증가 시 OCV가 감소하는 반 면 스택 전기 저항은 증가하며 두 가지 모두 전력 밀도 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12]. 해수로 0.459 M NaCl/ 0.051 M Na2SO4, 0.383 M NaCl/0.128 M Na2SO4, 그 리고 0.255 M NaCl/0.255 M Na2SO4를 각각 사용하였 을 때 OCV가 –6.80와 –15.2%로 감소하였으며 전력 밀 도는 –23.9와 –36.1%로 크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 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온교환기와 친화도가 큰 2가 이온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이온교환기의 손 실로 인해 막 저항이 증가하며 2가 이온에 의한 uphill transport로 인해 RED의 OCV와 전력 밀도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4. 결 론
RED에 공급되는 해수 및 담수에 포함된 다가 이온 은 수화반경이 크고 고정 전하기에 대한 친화력이 더 강하기 때문에 막의 여러 고정 전하기에 강하게 결합하 여 이온교환용량을 감소시켜 높은 막 저항을 유발한다. 또한 다가 이온은 담수에서 해수로의 uphill transport를 발생시켜 RED의 OCV와 전력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 다. 본 연구에서는 RED 응용을 위해 1가 이온 선택성 이 우수한 PFAEMs를 제조하고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 다. 지지체로 다공성 PE film을 이용하여 제조된 PFAEMs는 상용막 대비 우수한 물리적 강도를 나타내 었다. 지지체에 충진시킨 VBC/DVB/DMAEMA 기반의 이오노머는 높은 이온교환능과 가교도를 동시에 구현 함으로써 1가 이온 선택성을 높이며 막 저항의 증가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제조한 PFAEM의 1가 이온 선택성 (Cl-/SO42-)은 3.65였으며 이는 상용막 인 ASE의 1가 이온 선택성인 1.27보다 약 3배 높은 결 과였다. 제조된 PFAEM을 RED에 적용하여 특성 평가 를 수행한 결과 1.80 W/m2의 출력 밀도를 나타내었으 며 이는 ASE 대비 40.6% 향상된 결과이다. 이러한 향 상된 출력 밀도는 1가 이온 선택성의 향상과 이로 인한 uphill transport의 효과적인 제어에 따른 결과로 사료된 다. 다가 이온은 다양한 용액에 존재하며 이온교환막을 사용한 전기막 공정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음이온교환막은 RED 뿐만 아니라 다 가 이온이 공급수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전기막 공정 에 성공적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