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지난 세기에 세계 인구는 4배로 증가한 반면, 세계 물 수요량은 7배로 증가하였으며, 향후 40년 안에 세계 인구는 약 40%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다. 인구 와 경제가 확장됨에 따라 생긴 물 부족 현상은 기후변 화 및 환경오염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담수 자원들은 보호가 필요하고 새로운 수자원 들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더 나은 수처리 기술 이 필요하다[1-2]. 현재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은 혁신적인 기술로써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분리막은 기 공 사이즈에 따라 정밀여과(microfiltration, MF), 한외 여과(ultrafiltration, UF), 나노여과(nanofiltration, NF) 및 역삼투(reverse osmosis, RO)막 등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지며, 그 중 하나인 역삼투막(Reverse Osmosis: RO)은 낮은 에너지 소비, 높은 경제성, 조작의 용이성 으로 해수담수화 기술분야에서 가장 사용비중이 높은 분야이다[3-6]. 일반적인 RO 막에 사용되는 재료는 크 게 셀룰로오스계 비대칭 고분자 막과 다공성 고분자 지 지체 위에 계면중합을 통해 생성된 폴리아미드 층으로 이루어진 박막복합막으로 나누어진다[7,8]. 현재 상업적 으로 판매되는 대부분의 분리막은 박막 복합막으로써 안정적인 기계적강도를 위한 지지체층(일반적으로 부직 포), 미세다공성 폴리머층, 그리고 치밀한 분리층으로서 최상층에 코팅되는 초박막 폴리아미드 층의 세 가지 층 으로 구성된다[9,10]. 또한 역삼투막의 분리층은 막의 수투과율에 매우 크게 기여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막 성 능을 보장하고 막의 수투과성을 더욱 높이기 위한 연구 로써 분리층의 구조 및 특성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기술 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1].
현재 m-phenylenediamine (MPD) 포함한 수용액과 trimesoyl chloride (TMC)을 포함한 유기용액 사이의 계면중합은 역삼투막을 생성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사 용되어지는 재료이다[12]. 계면중합이 일어나는 공정 과정으로써, 다공성 지지체를 아민 단량체를 포함하는 MPD 수용액에 일정 시간 동안 침지 후, 남아 있는 과 량의 수용액을 제거하고, 이를 아실 클로라이드 단량체 를 함유하는 비극성 유기 용매로 일정시간 침지됨으로 써 코팅되어진다. 이로 인해 친핵성 치환 중합 반응은 지지체에서 아실 클로라이드 단량체와 잔류 아민 단량 체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된다[11].
지지체의 구조 및 특성은 잔류 수용액의 양 및 아민 단량체와의 상호 작용 방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 계면 중합 공정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계면중합 공정의 매개변수를 조절하기 위해 수성 또는/ 및 유기상에 적절한 첨가제를 첨가하고, 신규 단량체를 조사하는 것을 포함한 다수의 대표적인 기술로써 단량 체의 확산 및 반응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수성 및 유 기상의 형성을 위한 계면중합 공정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완화시키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 략 중 하나는 수용액 및 유기 용매에 첨가제를 사용하 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박막복합막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계면활성제, 나노필러, 공용매, 상전이 촉매 및 아 민 확산 억제제와 같은 여러 첨가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13-15].
Klaysom et al.[13]과 Khorshidi et al.[16]의 연구에 따르면, MPD 용액에 계면활성제로서 sodium dodecyl sulfate (SDS)를 첨가하면 빠른 확산 속도와 반응 영역 내의 아민 단량체의 수가 증가하여 짧은 시간 내에 작 고 높은 가교결합을 갖는 분리층이 생성되어 RO 막 선 택도가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다[13,16]. triethylamine (TEA)과 같은 상전이 촉매는 아민 단량체의 유기상에 대한 용해도가 크기 때문에 이들과 반응하여 유기상에 도입할 가능성이 있으며, TEA를 통해 반응될 아민 단량체의 계면 간 확산이 개선되어 보다 효과적인 계면 중합 반응이 나타날 것이라고 보고되었다[17]. 또한 Rahimpour et al.[18]은 첨가제로써 camphorsulfonic acid (CSA)을 첨가하여 계면중합 반응 시 pH 환경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 해 비교적 강력한 산인 CSA는 수용액 내에 소량 첨가 되어도 아민 용액의 pH를 저하시켜 이로 인한 pH 감소 로 중합도가 감소하고 폴리아미드 층의 생성이 느슨해 져 막 투과성이 크게 향상되고 염 거부반응이 최소화되 어 폴리아미드 박막복합막의 수투과율이 증가되어진다 고 보고하였다[18]. Liu et al.[19]의 연구에 따르면, 1-methylimidazole (1-MI)로 제조된 방향족 박막복합막 의 폴리아미드 층의 얇고 치밀한 구조와 카르복실산기 의 증가로 인해 투과도와 염 제거율이 증가하였으며, 우수한 pH 안정성을 보였다[19]. 또한 다른 연구에서는 1-MI로 개질된 막은 향상된 수투과성, PA 층의 기공 크기 및 두께 증가 및 친수성의 막 표면을 가질 수 있 다고 보고되었다[20]. 또한 Kim et al.[21]의 연구에 따 르면 수투과성을 높이기 위한 첨가제로써 2-ethyl- 1,3-hexanediol (EHD)의 하이드록실기가 MPD의 아 민기와 수소결합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보고하였으 며, 유기-수성 계면에서 MPD의 농도는 EHD의 소수성 알킬기에 의해 유기 용액으로 MPD가 더 많이 전달되 어 증가하기 때문에 계면에서 MPD-EHD 복합체가 형 성됨으로써 TFC 폴리아미드 막의 표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21].
폴리아미드 계면중합막의 성능은 계면중합 후 후처 리로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염 제거율 은 후처리 시 경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미반응 아민과 아실 클로라이드 산 그룹 사 이의 추가 가교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전형적으로 가열 경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더 높은 염 거부율을 위해서는 추가 가교반응을 통해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 다[22]. 가교는 경화 시간 또는 온도의 증가와 함께 폴 리아미드 막의 공극률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며, 수투 과율의 현저한 감소가 있지만 염 제거율의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지지체 막의 미세다공성 스킨 층은 높은 경화 온도 와 오랜 경화 시간에 노출되면 손상될 수 있 으며, 이는 염 제거율과 수투과율 모두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적절한 경화온도와 시간을 찾는 것은 현재 해결해야 하는 연구 중 하나이다[23].
따라서 본 연구는 폴리아미드 박막복합막의 수 투과 성과 염 제거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용액 내의 첨가제 사용의 효과와 계면중합 후 경화시간과 경화온도에 따른 효과를 연구하였다. 고투과성 박막복합막을 위한 첨가 제로써 MPD 수용액 내에 1,2-Dimethylimidazole (DMI), p-Toluenesulfonic acid (p-TSA), 및 2-ethyl-1,3-hexanediol (EHD)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였으며, 경화 온도 및 경화 시간 조건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표면 모폴 로지, 표면 전하, 친수성과 같은 막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계면중합막의 투과 성능을 위해 순수투과도 및 NaCl 및 MgSO4에 대한 염 제거율을 측정하였다.
2. 실 험
2.1. 재료 및 시약
본 실험에 사용된 다공성 지지체 UF 막은 Toray Inc. 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였으며, 계면중합을 위한 수용 액의 모노머는 m-Phenylenediamine (MPD, ≥ 99%, Sigma Aldrich)를 사용하였다. MPD 수용액의 첨가제 로써 2-Ethyl-1,3-hexanediol (EHD, 97%, Sigma Aldrich), 1,2-Dimethylimidazole (DMI, 97%, Sigma Aldrich), p-Toluenesulfonic acid (p-TSA, ≥ 98.5%, Sigma Aldrich), Camphorsulfonic acid (CSA, 99%, Sigma Aldrich), 1,1,3,3-Tetramethylguanidine (TMGU, 99%, Sigma Aldrich), N,N,N’,N’-Tetramethyl-1,3-butanediamine (TMBD, > 98%, TCI Co., Ltd.)을 사용하였다. 유기용액은 1,3,5-Benzenetricarbonyl trichloride (TMC, 98%, Sigma Aldrich)와 유기용매로써 isopar G (Exxon Corp.)를 사용하였다. 계면중합 후 잔존하는 미반응물 세척을 위한 용액으로 탄산수소나트륨(NaHCO3, ≥ 99.7%, Sigma Aldrich)을 사용하였으며. 염제거율 측정을 위해 염화나트륨(NaCl, 99%, Samchun Chemicals)과 황산마그네슘(MgSO4⋅7H2O, 99.2%, Samchun Chemicals) 을 사용하였다. 모든 화학물질은 별도의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2.2. 역삼투막 제조
Toray로부터 제공받은 UF 막은 15 cm × 15 cm 크 기로 자른 후 사용하였다. 계면중합 전 막의 표면에 잔 존하는 글리세롤 제거를 위한 전처리로써 Y. Wang et al.[24]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UF 막은 사용하기 전 날 DI water와 ethanol의 혼합물(50 vol% : 50 vol%)에 담가 전처리를 진행하였다. 이 후 전처리된 막은 DI water를 사용하여 여러 번 세척한 후 DI water에 담가 서 보관하였으며, 계면중합 시 꺼내서 사용하였다. 계면 중합 진행 시 UF 막은 각각 다양한 첨가제 조성으로 제조된 수용액에 2분 동안 침지하였으며 사용된 계면중 합 조건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이후 막을 꺼내어 섬 유 망글을 사용하여 과량의 MPD 수용액을 일정한 압 력과 속도로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막을 테프론 프레임 에 평평하게 고정하고 0.15 wt% TMC가 포함된 Isopar G 유기 용액에 1분 동안 담금으로 계면중합이 진행되 었다. 계면 중합 후, 막을 꺼내어 70°C 오븐에서 넣은 후 1~5분 범위의 시간으로 경화하였다. 이후 경화된 막 을 탄산수소나트륨 50% 수용액에서 3~4시간 동안 헹 군 다음 특성평가 시 사용을 위해 DI water에 저장했 다. 이 과정은 Fig. 1에 나타내었다.
2.3. 역삼투막의 특성평가
계면중합막 표면의 모폴로지 관찰을 위해서 G20 Ion Sputter Coater를 사용하여 막 샘플의 표면을 금으로 코 팅한 후, 주사 전자 현미경(SEM AIS 2300C, korea)으 로 관찰하였다. 또한 제조된 막 표면의 친수성을 확인 하기 위해 Phoenix 300 instrument (SEO Co., Ltd)를 사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접촉각 측정 시 1 cm2의 면적을 갖는 DI water droplet을 각각의 샘플막 의 표면에 적하하여 측정된 접촉각은 컴퓨터 소프트웨 어(Surfaceware 9)의 통해 계산되었다. 계면중합막의 표 면의 전기 화학적 평가를 위해 SurPASS (Antor paar GmbH, Graz, Austra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adjust gap cell 방식을 이용하여, 분리막 표면 사이로 0.001 M KOH 용액이 흐를 수 있게 하였으며, pH를 적정하기 위한 용액으로써 0.01 M HCl과 0.01 M NaOH를 사용하였다.
2.4. 계면중합막의 수투과도 및 염제거율 특성평가
제조된 계면중합막의 투과성능 및 염제거율 측정을 위해서 전량여과방식의 테스트 셀을 통해 측정하였다. 막의 순수 수투과도는 5 bar의 일정한 압력에서 진행되 었으며 측정 전 30분간 안정화를 위해 feed 용액을 30 분간 흘러주었다. 이후 순수 수투과도(L/(m2 ˙h˙bar)는 식 (1)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염제거율 측정을 위한 용액으로써 각각 500 ppm NaCl 및 MgSO4 수용액이 사용되었다. 이후 permeate 용액에 대한 염제거율은 이온전도도 측정기 (HQ14d, HACH®)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식 (2)를 통해 계산하였다. 여기서 Cp와 Cf는 각각 permeate 용 액과 feed 용액의 농도이다.
3. 실험결과 및 고찰
3.1. 역삼투막의 특성평가
3.1.1. 모폴로지 측정
먼저 계면중합 전 UF 막과 계면중합이 진행된 막의 모폴로지를 비교하여 Fig. 2(a)에 나타내었으며, 이후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계면중합 막과 첨가제를 사용 한 막의 모폴로지 및 후처리 시 다른 경화시간을 진행 한 계면중합막에 따른 비교를 위한 모폴로지도 Fig. 2(b)에 나타내었다. 계면중합 후에 생성된 폴리아미드 층의 나뭇잎 모양형태는 “ridge-and-valley” 구조로 불 리며, 이러한 구조는 폴리아미드 층의 성공적인 형성을 확인하는 추가적인 증거가 될 수 있다[25-27]. Fig. 2(a) 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계면중합이 진행된 막 모두 “ridge-and-valley” 구조가 관찰되었으며, 첨가제에 따라 각자 다른 구조의 폴리아미드 층이 관찰되었다. 그중에 서도 DMI가 첨가된 막의 경우 가장 조밀한 폴리아미드 층을 가짐이 확인되었으며, TMGU 및 TMBD가 첨가 된 막의 경우 잎모양의 구조보다는 전체적으로 연속적 인 덩어리 구조의 폴리아미드층이 확인되었다. Fig. 2(b)에는 계면중합 후 경화시간에 따른 표면 모폴로지 를 나타내었으며, 막 표면의 폴리아미드층의 구조는 경 화 시간이 2분부터 더 조밀해 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러한 경우 대부분의 미반응 아민과 아실 염화물기의 추 가적인 교차결합이 열 경화에 의해 촉진되기 때문이다 [22,28]. 이후 이러한 폴리아미드 층에 의한 모폴로지와 친수성 관계를 파악하고자 접촉각 측정을 진행하였다.
3.1.2. 접촉각 측정
제조된 계면중합막의 친수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접촉각 측정을 진행하였다. 접촉각은 물이 막 표면으로 스며드는 정도를 나타내며, 90° 이하일 경우 친수성이 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상업용 RO막의 접촉각 범위는 25~60° 범위의 접촉각 값을 가진다고 보고되었다[29]. Fig. 3과 Table 2에서 알 수 있듯이, EHD가 첨가된 막 은 34.27°의 접촉각 값을 가졌으며, 이는 첨가제가 첨 가되지 않은 pristine 막의 접촉각인 83.10°보다 훨씬 낮 은 값을 가진다. 이는 EHD의 소수성 알킬기가 MPD 단량체를 유기용액으로 더 효과적으로 운반할 수 있어 MPD-EHD 복합체를 계면에서 형성하여 폴리아미드 선 택층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Kim et al.[21]의 연구에서도 보고되었으며, EHD를 첨가제로 사용함으로써 수투과량이 약 50% 향 상되고 첨가제가 첨가되지 않은 계면중합막과 비교하 여 높은 염 제거율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 다. 또한 EHD는 CSA 또는 p-TSA와 같은 강산과 조합 하는 경우 물 투과성에서 더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 다[21]. 또한 Fig. 3(b) 그래프를 보면 계면중합 후 경화 시간이 증가할수록 접촉각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 며, 이는 경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막의 기공이 수축 되거나 어닐링되어 친수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 었다[23].
3.1.3 표면전하 측정
제조된 계면중합막의 표면전하는 electrokinetic analyzer (SurPASS Anton Paar)를 사용하여 pH 3~11 범위 에서 측정되었으며, 측정된 계면중합막은 각 제조조건 중 70°C에서 3 분 경화가 진행된 계면중합막이다. 일반 적으로 계면중합막의 표면전하 특성은 등전점 이상의 pH에서 카르복실기의 존재로 인해 negative한 표면을 보여주는 반면, 등전점 아래의 pH에서는 막표면 아민 기의 양성자화로 인해 positive한 전하를 갖는다[30]. Fig. 4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첨가제가 첨가되지 않은 Pristine 계면중합막은 3.6의 등전점을 가졌으며 첨가제 가 투입된 계면중합막들은 이보다 더 높은 pH값에서 등전점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또한 첨가제가 포함된 계 면중합막들의 표면전하 값은 Pristine 계면중합막보다 상대적으로 negative 값을 가짐을 보였다. 이는 첨가제 에 의한 미반응 아민그룹에 의한 결과이며, 아민그룹의 양성자화로 인해 막표면은 더 많은 양전하를 띠게 하기 때문이다[31]. 또한, 계면중합 중에 트리메소일 염화물 의 세 번째 아실 염화물이 카르복실로 가수분해되어 음 전하를 가진 카르복실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32]. Vrijenhoek, E. M. et al. 연구에서는 폴리아미드 계면 중합막의 등전점 범위가 pH 3~4인 것으로 보고되었으 며, 본 연구에서 측정된 계면중합막들의 등전점은 이와 비슷한 pH 3~4.5의 범위를 가짐이 확인되었다[33,34].
3.2. 수투과도 및 염제거율 측정
다양한 첨가제 조건 및 계면중합 시 경화 조건에 따 른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수투과도 측정은 dead-end 방 식의 셀 시스템에서 측정되었으며, 결과는 Table 3과 Fig. 5에 나타내었다. 먼저 첨가제가 첨가되지 않은 기 본 계면중합 막의 수투과도를 특성을 파악하고자 60°C 경화 조건하에 경화시간에 따른 계면중합을 진행하였 다. Fig. 5(a)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첨가제가 투입 되지 않은 조건에서는 계면중합 후 3분 경화 시 2.74 LHM / bar의 수투과율과 86.40% NaCl 염 제거율 가짐 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역삼투막에 적용을 하기 위해서 는 95% 이상의 NaCl 제거율과 더 높은 수투과율이 요 구되며, 이를 위해 염제거율과 동시에 수투과도 향상을 위한 첨가제로써 0.3 wt% EHD를 첨가하여 MPD 수용 액을 제조 및 계면중합 시 사용하였다. 또한 경화 온도 에 따른 성능을 파악하고자 경화 온도를 상온경화, 60, 70, 80, 90°C로 나누어 경화를 진행하였으며, 이에 대 한 결과는 Fig. 5(b)에 나타내었다.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EHD 첨가 시 첨가제를 투입하지 않았을 경우 보다 더 높은 수투과도를 가졌으며, 염 제거율 역시 향 상된 값을 가졌다. 특히 70°C 경화 진행 시 3.82 LMH/ bar의 수투과도 및 92.10%의 NaCl 염제거율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전 Fig. 3의 접촉각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EHD를 첨가함으로써 친수성이 향상되었으며, EHD의 하이드록시기가 MPD의 아민기와의 수소결합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유기용액과 수용액의 계면에서 MPD의 농도를 증가시켜 폴리아미드 층의 표면적을 증 가시켜 수투과도를 향상시켜주기 때문이다[35]. 따라서 이후 계면중합 시에는 수투과도의 향상을 위해 MPD 수용액에 0.3 wt% EHD를 고정하여 첨가하였으며, 계 면중합 시 pH를 조절을 위한 유기산 첨가제인 p-TSA, CSA 및 모폴로지 구조변화를 위한 DMI, TMGU, TMBD 첨가에 따른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Fig. 6(c, d, e)에 나와있으며, 특히, p-TSA, DMI 첨가된 MPD 수용액조건에서 70°C 3분 경화를 진행한 막의 경우 3.31 LMH/bar의 수투과율과 97.78% 의 높은 NaCl 제거율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는 극성 유기용매에 용해될 수 있는 p-TSA가 계면중합 반응 시 생성된 폴리아미드 층에 구조를 조절되어 수투과성과 염 제거율 사이 관계가 절충되었으며[36], 또한 이러한 산 첨가제가 후처리 및 경화 시 미소기공이 무너지고 소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막의 투과성을 보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11,37]. 최종적으로 제조된 계면중합막(DMI-3) 의 성능은 다른 연구에서 보고된 RO 분리막들의 성능 에 비해 향상된 수투과율과 NaCl 제거율을 가짐이 확 인되었으며, 이는 Table 4에 나타내었다[38-43].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고투과성 및 높은 염 제거율을 가지는 역삼투막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첨가제 및 계면 중합 시 경화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특성평가에 대한 연 구가 수행되었다. 첨가제가 없는 막과 첨가제를 첨가한 막의 모폴로지는 모두 “ridge-and-valley” 구조를 나타 내어, 얇은 폴리아미드 층이 다공성 지지층 표면에 성 공적으로 중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EHD 등 수투 과도 향상을 위한 첨가제의 첨가는 접촉각 데이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높은 친수성을 나타내었다. 계면중합 후 후처리를 위한 경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막의 기계 적 강도를 증가시켰다. 또한 이 연구에서 사용된 첨가 제는 높은 염 제거율을 유지하면서 수투과성 향상에 기 여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p-TSA, DMI 첨가제를 사용 하여 제조된 막 중 70°C 3분의 경화 시간 조건으로 제 조된 분리막(DMI-3)이 이 연구에서 가장 우수한 수투 과도와 염 제거율을 가진 막으로써, 각각 97.78%와 98.7%의 NaCl 및 MgSO4 제거율과 3.31 L/(m2⋅h⋅ bar)인 높은 수투과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