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PEMFCs)는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자원의 고갈 및 환경오염의 우려를 해결할 수 있는 효 과적인 에너지 변환 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1-3]. 수소 를 기반으로 한 연료가 갖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전기화 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류를 생성 해내는 PEMFC는 외부 전력원을 사용하여 장시간 충전 이 필요한 2차전지에 비해 연료의 산화/환원 반응을 통 해 즉시 사용 가능한 전기 발생이 지속적으로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소의 고압 저장 및 암모니아 형태로의 변환을 통한 저장 방식을 활용하여 장기간 손실 없이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5]. 또한, 주 연료로 사용되는 수소의 경우 단위 질량당 에너지 밀도 가 높아(142 MJ kg-1) 고효율의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 며, 환경적 영향으로 전기 생산의 편차가 큰 태양에너 지, 풍력에너지와 같은 제생에너지로부터 생산된 전기 를 수전해 시스템을 활용하여 청정 수소 생산에 활용한 후 이를 PEMFC 구동을 통해 연간 균일하고 안정적인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도 갖고 있다[6-9].
PEMFC의 구동 과정을 살펴보면 외부에서 공급된 수소가 애노드(anode) 전극 내의 촉매에 의해 수소이온 과 전자로 산화되고 수소이온은 고분자 전해질 막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EM)을 통해 캐소드 (cathode) 전극으로 이동한다. 이 때 발생된 전자 역시 외부 회로를 통해 cathode 전극으로 이동하며 전류를 발생하게 되고 cathode로 이동된 수소 이온과 전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산소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하게 된 다[10]. 이 중 PEM은 두 전극을 나누는 물리적 경계로 서 수소와 산소 기체 상호간의 투과를 막아주는 분리 막으로의 역할과 수소이온만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전해질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11].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PEM은 구동시간 동안 높은 물 리화학적 안정성 및 우수한 수소이온 전도 특성을 나타 내야 한다[12]. 현재 나피온(Nafion)으로 대표되는 과불 소화계술폰화 이오노머(perfluorosulfonic acid ionomers, PFSA)가 PEM의 상용 소재로서 활용되고 있다[13]. 일 반적으로 PFSA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주쇄에 과불화 술폰산기(perfluoro sulfonic acid)가 측쇄 말단에 도입된 가지형 공중합체 (graft copolymer)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친수성 주쇄 와 소수성 측쇄의 미세상 분리 구조를 통한 수소이온 전달 채널을 형성하여 PEM의 높은 수소이온 전도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14]. 또한 뚜렷한 미세상 분리 구조에 의한 높은 체적 안정성 및 상대적으로 큰 C-F 결합 에너지(485 kJ mol-1)에 의해 높은 화학적 안정성 을 나타낸다[15]. 하지만, 친수성/소수성의 미세상 분리 구조에 의한 높은 가스 투과도 및 낮은 유리전이 온도 로 인해 고온 구동 환경에서 물성 감소는 극복되어야 할 문제점으로서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 다[16-19]. 이와 더불어 장수명 PEMFC 시스템 개발을 위한 중요한 이슈로서 연료전지의 구동 조건에서 발생 되는 반응 부산물인 활성 산화물(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PEM의 산화성 분해 및 화학적 내구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 다[20-22].
최근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래 핀(graphene), 산화 그래핀(graphene oxide, GO)와 같은 탄소 기반 나노 소재들을 복합소재로 활용하여 고분자 기지체(polymer matrix)의 기계적, 열적, 화학적 특성 및 나아가 이온 전도 특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23-28]. 이는 탄소 기반 나노 소재들이 갖는 고유의 격자 결함(lattice defect) 및 공공 결함(lattice vacancy) 같은 구조적 특징에서 오는 복합 소재로의 물성 강화 효과 및 페놀기와 같은 산화성 작 용기에 의한 고분자 기지체의 산화 방지 특성 향상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24]. 또한 이러한 특성 은 탄소 기반 나노 소재들의 추가적인 개질화 과정을 통해 분산성이 향상될 경우 보강효과가 증가되는 것으 로 보고되고 있다[29].
본 연구에서는 GO에 산화 방지 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아민 구조에 메틸기가 부착된 가리워진 아민기 (hindered amine, HA)기를 도입하여 PEMFC 구동 조건 에서 발생되는 ROS를 전자 주개인 메틸기로 인해 전자 가 밀집되어 환원 특성이 향상된 HA기를 통해 효과적 으로 환원시켜 고분자 기지체의 산화 분해 반응을 억제 할 수 있는 HA-GO를 합성하고, 이를 Nafion과 혼합하 여 복합 막을 제조한 후 PEMFC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30,31]. 또한 도입된 HA 작용기와 고분자 기지체로 사 용한 Nafion의 술폰산기와의 산-염기 상호작용 특성에 대해서도 조사하고자 하였다[24]. 특히 HA-GO의 합성 과정 및 분석과 이를 도입한 복합 막의 기계적 강도, 화학적 안정성, 수소이온 전도도의 변화를 본문에 상세 히 기술하였다.
2. 실 험
2.1. 시약 및 재료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전해질 소재로 Nafion 분산용 액(NafionTM D2021, Chemours)을 사용하였다. HA-GO 합성을 위해 Hummers method로 만든 GO (graphene oxide powder, grapheneAll)를 구매 후 그대로 사용하 였다[32-35]. 4-아미노-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딘 (4-amino-2, 2, 6, 6-tetramethyl piperidine, HA, Sigma- Aldrich)는 구매 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디메틸폼아마 이드(dimethyl formamide, DMF, SAMCHUN)는 몰레 큘러시브(molecular sieve, SAMCHUN)를 넣어 보관하 여 수분을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막의 산처리를 위해 황산(sulfuric acid, 95.0%, sigma aldrich)을 희석하여 1 M 황산 수용액으로 제조 후 사용하였다. 또한 과산화수소 (hydrogen peroxide, 34.5%, SAMCHUN), 황산제일철 7수화물(Iron(II) sulfate heptahydrate, 98.0~102.0%, SAMCHUN)은 구매 후 그대로 사용하였다. 기공 크기 가 0.2 μm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터(PTFE filter, HYUNDAI MICRO)를 수득물을 정제하는 데 사용 하였다.
2.2. HA-GO 제조
GO 표면에서 HA의 그래프팅 반응은 기존 문헌을 참고하였다[23,24]. 구체적인 합성 방법으로는 250 mL 의 1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0.3 g의 GO를 100 mL DMF에 넣고 초음파 분산기를 사용하여 30분간 3차례 분산시킨 후 HA 0.6 g을 GO 용액에 넣고 마그네틱 바 를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이후 혼합 용액을 80°C 온도 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수득물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8,000 rpm에서 15분 동안 3차례에 걸쳐 분리 정 제하였으며, 이후 PTFE 필터를 사용하여 고형물을 수 득하는 과정을 진행하였고, DMF로 세척해준 후 80°C 진공오븐에 12시간동안 건조하였다. 최종적으로 0.32 g 의 HA-GO를 얻을 수 있었다(Fig. 1).
2.3. Nafion_HA-GO 복합 막 제막
고분자 기지체로 Nafion을 활용하고 복합소재로 HA-GO를 활용한 Nafion_HA-GO 복합 막은 용액 캐스 팅 방법 통해 제막하였으며, HA-GO 첨가제의 비율을 Nafion 대비 0.1, 0.5, 1.0 wt%로 다르게 하여 3가지 조 성의 복합 막을 제조한 후 Nafion_HA-GO_X로 명명하 였다(X는 Nafion에 대한 HA-GO의 wt%를 표기). 대표 적으로 Nafion_HA-GO_0.1는 다음과 같은 제막 과정을 통해 제조되었다. HA-GO 0.26 mg을 4.8 g의 DMF에 혼합하여 초음파 분산기를 사용하여 30분간 3차례 분 산시켜 분산된 혼합용액을 만들었다. 이후 Nafion 분산 액을 회전증발농축기를 통해 고형으로 얻은 후, 0.26 g 의 Nafion 고형분을 HA-GO 혼합용액에 넣어 60°C에 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Nafion_HA-GO_0.1 혼합용액 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용액을 지름 9 cm의 PTFE 페트리 접시에 도포 한 후 80°C 진공오븐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하여 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막은 상온 증 류수에 침지하여 PTFE 페트리 접시에서 떼어내었다. 수득 된 복합 막은 1 M 황산 수용액에서 60°C, 12시간 동안 산 처리 과정을 진행한 후 증류수를 사용하여 수 차례 세척하였다. 이후 시트지를 덧댄 유리판 사이에 밀착시켜 데시케이터에서 48시간 이상 건조 보관하였 다. 또한 실험의 대조군으로 HA-GO를 첨가하지 않은 순수 Nafion 막을 동일한 용액 캐스팅법을 통해 제조하 였다. 제조된 전체 막의 두께는 20~35 μm의 범위를 나 타내었다.
2.4. HA-GO 및 Nafion_HA-GO 복합 막 특성 평가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ESCAN)을 사용하여 제조된 HA-GO의 입자 크기 및 분산도를 확인하였다. 감쇠 전 반사(attenuated total reflectance, ATR) 기법을 사용한 적외선 분광법(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Nicolet iS5, Thermo Scientific)을 통해 파장 범위 4000~650 cm-1 내에서 HA-GO의 화학적 구조를 확인하였다. X선 광전 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Thermo Scientific)를 사용하여 HA-GO의 구조 분석을 진행하였다. 열 중량 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Q50)을 통해 HA-GO의 열적 안정성 및 GO 표 면에 그라프팅 된 HA의 무게비율을 계산하였다. HA-GO에 잔존하는 여분의 수분을 없애기 위해 질소 분위기 하에서 120°C 온도로 10분 동안 유지하고 이후 60°C에서 800°C까지 10°C min-1로 승온하였다. 복합 막의 수분 흡수율과 체적 변화율은 건조 막과 80°C 증 류수에 12시간 동안 담지 후 표면 수분을 제거한 막과 의 무게와 부피 변화를 비교하여 다음의 식을 통해 계 산되었다.
Wwet와 Wdry는 각각 젖음 막 및 건조 막의 무게를, Awet 와 Adry는 각각 젖음 막 및 건조 막의 면적을, Vwet와 Vdry는 각각 젖음 막의 부피 및 건조 막의 부피를 나타 낸다.
복합 막의 기계적 강도는 만능 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Lloyd-LS1)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ASTM D638 type V 규격에 맞추어 시편을 준비한 후 25°C, 30% RH 조건에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시편 은 각 시료마다 5개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막의 화학적 내구도 평가는 Fenton’s 평가(Fenton’s test) 진행 후 방출되는 불소이온 방출 속도(fluoride emission rate, FER)와 불소이온 방출량(fluoride emission, FE)를 측정하여 그 수치를 상대 비교하였다. Fenton’s 평가를 위해 시편을 Fenton’s 용액(3 ppm의 철 이온(Fe2+)을 포함하는 2 wt% 과산화수소 용액)에 80°C, 72 h 동안 침지시켰으며, 이후 유출된 불소 이온 의 농도를 확인하고 다음의 수식을 활용하여 FER 수치 를 계산하였다[36].
d는 불소이온의 몰 농도, t는 측정 시간, W는 측정한 막의 무게를 나타낸다. 시편은 각 시료마다 5개를 측정 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복합 막의 수소이온 전도도는 80°C 온도 조건에서 상대 습도 20~95%까지 740 막 평가 시스템(MTS-740, BekkTech)을 사용하여 H2의 유량속도 500 cm3 min-1 조건하에 측정하였다. 각 습도 구간에서 15 분의 유지 시간을 통해 습도 평형을 하였으며, 수소이온 전도도는 다음 수식을 통해 계산된 수치를 습도별로 추출하여 사 용하였다.
d는 전극 사이의 거리(distance), R은 측정한 막의 저항, 그리고 S는 측정한 막의 단면적(cross-section area)을 나타낸다.
3. 결과 및 고찰
3.1. HA-GO 분석
FT-IR 분석을 통해 GO 표면에 HA가 도입된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Fig. 2(a)). GO의 FT-IR 스펙트럼을 통해 표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실(hydroxyl)기의 -OH 단일 결합 피크가 3450 cm-1 부근에서 넓게 나타나는 것과 카르복실(carboxyl)기의 C=O 이중 결합 피크가 1740 cm-1에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38, 39]. HA-GO는 GO의 에폭시(epoxy) 기와 HA의 아민 기 간의 개환 반응을 통해 합성되었으며, GO에서 나오 지 않던 피페리딘(piperidine) 고리 구조의 아민기 피크 가 HA-GO의 스펙트럼의 2900~3000 cm-1 구간에서 나 타나는 것과 C-N 결합 피크가 1440 cm-1에서 확인되는 것을 통해 성공적으로 합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3,24,40].
HA-GO의 합성 여부를 추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GO와 HA-GO의 XPS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Fig. 2(b), Fig. 2(c)). GO의 XPS 스펙트럼에서는 285.0 eV (C 1s)와 532.0 eV (O 1s)에서 뚜렷한 피크가 관찰되었 으며, 질소 원소의 피크는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HA-GO의 XPS 스펙트럼에서는 C 1s 및 O 1s 피크 외 에 400.0 eV에서 N 1s의 강한 피크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GO 표면에 HA가 성공적으로 그라프팅 된 것을 나타낸다[41-43].
Fig. 2(d)에 표기된 GO 및 HA-GO에 대한 TGA온도 기록도(thermogram) 비교를 통해 GO에 도입된 HA 작 용기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일반적으로 GO 및 개질 된 GO의 TGA 온도 기록도에서 300°C 이하에서 감지되는 중량 변화는 GO에 존재하는 에폭시기, 하이드록실기, 카복실기와 같은 산화 작용기의 열분해에 의한 것이며, 300~500°C 온도 구간에서의 중량 변화는 산화성 작용 기 외에 도입된 유기계 작용기의 열분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2,44,45]. Fig. 2(d)에서 HA-GO가 GO에 비해 300°C 이하 온도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중량 변화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GO에 있는 에폭시 작용기가 합성 과정에서 개환 반응을 통해 소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HA-GO 내에 존재하는 HA 의 비율은 300~500°C 온도 구간의 중량 손실 비율을 통해 16.1 wt%의 HA가 HA-GO에 도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46].
SEM 분석을 통하여 제조된 HA-GO의 입자 크기를 확인하였다(Fig. 2 (e)). DMF 용매를 사용하여 HA-GO 입자를 분산 후 측정하였으며 분산된 입자의 크기가 50 nm~3 μm 범위에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 며, 평균 직경은 200 nm 내외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이는 HA-GO의 합성에 사용한 GO의 입자 사이즈 와 매우 유사하며(평균 직경 200 nm), 개환 반응을 통 한 HA의 도입이 GO사이즈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았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37].
3.2. Nafion_HA-GO 제막과 기계적 물성
HA-GO의 분산성 저하에 의한 복합 막의 물성 저하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HA-GO에 대한 분산성 평가를 선행적으로 진행하였고, 상대적으로 HA-GO의 분산성이 우수한 DMF를 복합 막 제조의 용 매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Nafion 분산 용액 제 조에 사용된 알코올 및 물을 회전증발농축기를 통해 휘 발한 후 Nafion 고형분을 수득하여 DMF에 일정 비율 의 HA-GO와 같이 분산하는 방법을 통해 복합 막을 제 조하였다. Nafion 대비 HA-GO가 1.0 wt% 이상일 경우 HA-GO가 고분자 기지체 내에서 낮은 분산성에 의한 뭉침(aggregation) 현상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 서는 복합 막 제조에 있어 HA-GO의 함량을 Nafion 대 비 1.0 wt% 이하로 제한하였다.
PEM의 기계적 물성 평가는 응력에 의한 전해질 막 의 내구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 므로 순수 Nafion막과 Nafion_HA-GO 복합 막에 대한 기계적 물성 평가를 UTM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Fig. 4, Table 1). 순수 Nafion막과 Nafion_HA-GO의 비교를 통해 HA-GO의 첨가는 Nafion의 응력(stress)과 변형률 (strain)이 동시에 증가됨으로써 단순히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아닌 Nafion의 인성(toughness)을 향 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몇몇 문헌을 통 해 보고되는 산성 작용기를 갖고 있는 고분자 기지체에 염기성 작용기를 갖고 있는 GO 기반의 복합소재가 고 르게 분산된 상태로 도입될 경우 나타나는 인성 증가 효과(toughening effect)로 해석할 수 있다[47,48]. HAGO의 함량 변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 변화를 비교해 보 면 HA-GO의 함량이 0.1 wt%에서 0.5 wt%로 증가될 수록 인장강도 및 연신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HA-GO의 비율이 1.0 wt%가 될 경우 그 수치 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기계 적 물성에서 최대 수치를 나타내는 HA-GO의 비율은 0.5 wt%이며 Nafion_HA-GO_0.5의 인장강도와 연신율 최대값은 각각 12.71 MPa, 81.12%로 확인되었다. Nafion_HA-GO_0.5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기계적 물성 을 나타낸 Nafion_HA-GO_1.0의 경우 고분자 기지체 내에서 HA-GO의 함량의 증가로 인한 뭉침 현상 및 낮 은 분산성에 의해 기계적 물성 감소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49].
3.3. 불소이온 방출 속도
HA-GO의 고분자 기지체 내에서의 산화 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Nafion_HA-GO 복합 막을 80°C Fenton’s 용액(3 ppm의 Fe2+을 2 wt% 과산화수소에 혼합한 용 액)에 72 시간 동안 함침시킨 후 불소이온 방출 속도 (fluoride emission rate, FER) 및 불소이온 방출량 (fluoride emission, FE)을 측정하였다(Table 2). FER 평 가는 다량의 라디칼이 생성된 Fenton’s 용액 내에서 라 디칼에 의한 Nafion의 화학적 분해에 대해 방출되는 불 소이온 농도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PEM의 화학적 내구 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 가능하다[50,51]. 순 수 Nafion 막의 FER 수치가 2.59 μmol hour-1 g-1 반면 Nafion_HA-GO_0.1 및 Nafion_HA-GO_0.5의 FER 수 치는 각각 1.95와 2.73 μmol hour-1 g-1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산화방지 작용기가 도입된 HA-GO를 Nafion에 고르게 분산시킴으로써 라디칼에 의한 고분자 기지체의 화학적 분해를 효과적으로 감소 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HA-GO의 비율이 1.0 wt%로 증가할 경우 FER 수치가 순수 Nafion 막에 비 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앞서 설명 한 HA-GO의 특정 함량 이상( ≥ 1.0 wt%)에서 낮은 분산성에 의한 복합소재와 고분자 기지체와의 상분리 에서 오는 물성 저하에 기인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49].
3.4. 수소이온 전도도
HA-GO 도입에 따른 복합막의 수소이온 전도도 변화 를 80°C 전 습도 구간에 대해 측정하였다(Fig. 5, Table 3). Nafion_HA-GO_0.1 과 Nafion_HA-GO_0.5의 경우 순수 Nafion 막에 비해 높은 수소이온 전도도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전도도의 향상 폭은 저 가습 구간( ≤ 50% RH)에서 더 크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전 습도 구간에 대해 가장 우수한 수소이온 전도도를 나타낸 Nafion_HA-GO_0.5의 경우 30%와 50% RH에서 각각 9.8와 25.7 mS cm-1의 수치를 나타 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제시된 습도 구간에서의 순수 Nafion 막의 7.5와 20.4 mS cm-1에 비해 각각 31%와 26% 향상된 수치를 나타낸다. 저 가습 조건에 서 향상된 전도도를 나타낸 이유는, 1) 도입된 HA-GO 내에 존재하는 산화 작용기에 의한 함수율 증가와 2) HA-GO에 존재하는 아민기의 수소이온을 전달하고 받 는 과정(protonation-deprotonation loop)을 통해 증가된 호핑 메커니즘(hopping mechanism)으로 인한 저가습 구간의 전도도 향상을 설명할 수 있다[52-54]. 하지만, Nafion_HA-GO_1.0의 경우 HA-GO의 고분자 기지체 내에서의 낮은 분산성 및 뭉침 현상으로 인해 오히려 순수 Nafion 막에 비해 낮은 수소이온 전도도 수치를 나타내었다[49,53].
HA-GO가 도입된 복합 막의 향상된 산화 안정성이 가혹한 구동 조건하에서 복합 막의 수소이온 전도도 유 지 특성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순수 Nafion 막 과 분산성 문제가 없는 Nafion_HA-GO_0.1과 Nafion_ HA-GO_0.5에 대해 Fenton’s 평가 후의 수소이온 전도 도를 측정하여 앞서 기술한 수소이온 전도도 수치와 비 교하였다. Fenton’s 평가 후 시료를 준비하기 위해 본문 3.3에 기술한 Fenton’s 용액에 함침시키는 조건은 동일 하게 유지하였으며, 막의 함침 시간만을 24 시간으로 조절하였다. Fenton’s 평가 후의 막의 전도도 수치는 Fig. 5 내에 색이 채워지지 않은 기호(open symbol)를 사용하여 표기하였으며, Table 4에 Fenton’s 평가 전/후 의 전도도 수치를 기입하였다. Fenton’s 평가 전/후 수 소이온 전도도를 비교해 본 결과 순수 Nafion 막에서는 수소이온 전도도의 감소가 전 습도 구간에서 관찰되었 지만, Nafion_HA-GO_0.1, Nafion_HA-GO_0.5의 경우 Fenton’s 평가 전의 수소이온 전도도 수치가 유지되거 나, 흡수된 수분에 의한 함수율 증가로 인해 전도도의 소폭 증가가 관찰되었다(Fig. 3, Table 4). 이는 산화방 지 특성이 있는 HA-GO도입으로 인해 가혹한 조건에서 도 라디칼에 의한 Nafion의 이온 교환 작용기의 손실이 억제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55]. 또한 Nafion_HAGO_ 0.5의 경우 Nafion_HA-GO_0.1보다 높은 FER 값 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Fenton’s 평가 후에 상대적으 로 좀 더 높은 수소이온 전도도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Nafion_HA-GO_0.5가 높은 함수율에도 불구하고 낮은 체적 변화율을 가짐에 따라 막의 단위 면적 당 술폰산기의 밀도가 높은 상태로 유 지되는 것에 기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24,56,57].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산화방지 작용기인 가리워진 아민기 가 도입된 그래핀 옥사이드(HA-GO)를 합성하였고, 이 를 도입한 Nafion 복합 막(Nafion_HA-GO)를 제조하여 PEMFC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계적 물성 평가를 통해 도입된 HA-GO가 고분자 기지체 내 에 고르게 분산될 경우 Nafion 기반 복합 막의 응력 (stress)과 변형율(strain)을 모두 증가시킴으로써 복합 막의 인성(toughness)을 향상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불소이온 방출 속도(FER) 측정 실험을 통해 HAGO가 갖고 있는 고유의 산화 방지 특성은 이를 도입한 복합 막의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수소이온전도도 측정 결과, Nafion_ HA-GO 복합 막은 도입된 HA-GO의 산화 작용기에 의 한 함수율 증가 및 고분자 기지체와 HA의 산-염기 상 호작용을 통한 추가적인 수소이온 전달 사이트를 제공 함으로써 순수 Nafion 막에 비해 향상된 전도도 수치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HA-GO를 첨가할 경 우 라디칼에 의한 Nafion에 존재하는 술폰산기의 감소 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킴으로써 전도도 유지 특성을 향 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 으로 전해질 막의 성능 및 내구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기능성 작용기 및 고분자가 도입된 복합소재에 대한 연 구가 활발히 진행될 경우 다양한 PEMFC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장수명의 복합 막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