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현탁중합은 고분자합성에서 사용되는 공정으로 고분 자에 기능기를 추가하여 기능성이 있는 고분자재료를 개발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1]. 현탁중합 으로 중합하게 되면, 입자 크기는 1~1000 μm 범위 내 로 합성할 수 있다[2]. 특히 현탁중합을 이용한 styrenedivinylbenzene 공중합체는 이온 교환, 흡착제, 촉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3-5]. 최근연구들에 따르면 입자들이 대부분이 중금속으로 제조되고 있다[6]. 중금 속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는 심각해지고 있다. 중금속 으로 인한 무기 오염물질은 금속 산업 및 농업, 폐기물 처리 등으로 인해 토양, 수질 및 대기로 유입되며 중금 속의 사용과 배출은 환경 및 인간에게 많은 영향을 미 친다[7-11].
현재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의 주된 원인으로 다량 의 화석 원료 사용으로 온실가스(greenhouse gas, GHG) 배출로 인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받고 있다[12]. 새로운 에너지 생 산 및 전환을 위해 지속가능하고 대체 에너지 자원으로 연료 전지 시스템이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화학에너 지를 열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배출하는 가스가 없 고[13-14], 에너지 전환이 높은 전기를 차량 수송을 위 한 전원으로도 사용되고, 연료로 수소를 사용해 H2O만 생산되어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 생산 시스템 이며, 수소연료를 사용해 에너지를 열로 변환하지 않아 도 되기 때문에 더 효율적이다[15-18]. Fig. 1에서 볼 수 있듯이 다양한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 중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낮은 작동 온도, 간단하고 안전한 구조, 저온에서도 빠른 시동 및 높은 전류 밀도 인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값 비싼 백금 촉매를 사용하 며[19-20], 비싸고 독성을 가진 플루오르화 화합물을 사 용해 합성하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21-24]. 알칼라 인 연료 전지(alkaline fuel cel, AFC)는 PEMFC와 다르 게 값 싼 비 귀금속 촉매를 사용할 수 있고 우수한 성 능을 가진다. 하지만 전도성이 매우 높아 액상 전해질 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부식이 잘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진다[25-26].
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an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AEMFC)는 고체 전해질 막을 사용할 수 있어 부 식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 AEMFC는 PEMFC와 기술적으로 비슷하지만 pH가 높은 전해질로 인해 비백금족 금속 촉매를 사용한다는 이점과 시스템 내구성[27-28], 연료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선택범위가 확장되고, 불소화 원료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저렴한 고분자 사용이 가능하다[29-32].
AEMFC의 반응으로는 수산화 이온이 cathode에서 전기화학적 산소 환원이 일어나고, 음이온을 통해 cathode 에서 anode로 이동하며 수소와 결합하여 물을 형성한 다. 수소 산화 반응에서 생성된 전자는 외부회로를 통 해 cathode로 이동하며, 산소를 전기화학적 환원시켜 수산화 이온이 생성된다[33-34].
입자를 음이온 교환막에 추가하여 성능을 향상시키 는 것은 여러 논문에서 무기 입자, 유-무기 입자를 이용 하여 수분 흡수, 내구성 및 높은 이온 전도성을 향상시 키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가 많이 진행 중이다[35-39]. 본 연구에서는 겔 유형 유기 이온교환입자를 제조하였다. 이 입자는 Friedel-Crafts 반응을 통하여 styrene 사슬의 광범위한 과가교 진행 메커니즘으로 합성된다[40]. 제 조한 이온교환 입자는 현탁중합을 통한 Davankov로부 터 polystyrene 네트워크 합성을 제시한 새로운 방법으 로 진행했다. 이후 AEMFC에 응용이 가능하도록 여러 성능을 평가했다.
2. 실 험
2.1. 재료 및 시약
유기 이온교환 입자 제조에 사용된 styrene (styrene, monomer, 99.5%), gelatin, divinylbenzene (DVB, technical grade, 55%), vinyl benzyl chloride (VBC mixed m-and p-isomers), azobisisobutyronitrile (AIBN),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Lewis acid인 FeCl3, triethylamine (TEA), trimethylamine (TMA)를 사용해 입자를 합성하였다. Br-PPO 제조에 사용된 PPO (Asahi Kasei Corp), N-Bromosuccinimide (NBS, 99%)를 사용 해 제조하고, Br-PPO를 사용해 막을 제조해 특성을 비 교했다.
2.2. 음이온 교환 입자 합성
다공성 DVB-VBC 전구체 수지를 합성하기 위해 수상 으로는 증류수(150 ml),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7.50 g) 및 젤라틴(0.50 g)으로 사용했다. 유 기상으로는 styrene (38.30 g), divinylbenzene (1.00 g), vinyl benzyl chloride (30.89 g) 및 AIBN (0.17 g)으로 사용했다. 개시제를 제외한 유기상을 수상에 교반 속도 400 rpm으로 온도 70°C가 되면 개시제를 넣어주었다. 8시간 뒤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수득하고, 60°C의 진공 오븐에 건조했다. 전구체 수지를 얼음 수조에 넣어 4°C 냉각시키고 FeCl3 (2 g)을 첨가하여 2 시간 반응시킨다. 그 후 온도를 80°C까지 올려 4 시간 반응시킨다. 다음 0.5 M HCl, MeOH, acetone 및 증류수로 세척하여 수 득했다. 생성된 과가교 비드를 80°C로 건조했다. 마지 막으로 암모늄화 처리를 위해 입자(1 g)를 acetonitrile (30 mL) 및 triethylamine (6 mL)를 넣었다. 오일 수조 에 넣고, 70°C로 3 일 반응 진행하였다. 4차 암모늄화 된 비드를 acetonitrile 및 MeOH로 세척 후 건조했다. 다음 Scheme 1을 통해 전체적인 입자의 합성과정을 나타 냈다. 음이온기를 가진 유기 입자를 SDV라고 표현한다.
2.3. Br-PPO의 합성
Br-PPO 합성하는 과정은 Scheme 2에 나타냈다. 먼 저 PPO (5 g)를 chlorobenzene (95 g)에 넣고 PPO를 녹여준다. AIBN (0.05 g)을 첨가 후 20분 기다리고, NBS (3.7 g)를 첨가한 후 135°C에서 3 시간 반응 진행 했다. MeOH를 사용하여 침전 후 세척하여 건조했다.
2.4. Br-PPO-TMA-SDV 음이온 교환막 제조
Br-PPO는 많은 음이온교환막에 사용되는 구조로 사 용된다. 음이온교환막 제조는 합성한 Br-PPO 고분자를 용매 NMP에 녹여준다. 이후, Br-PPO가 다 녹으면 음 이온기를 가진 이온교환입자를 비율(0.1%, 0.3%, 0.5%, 0.7%, 1.0%)에 맞추어 첨가해준 뒤 초음파분산기 장치 를 이용해 분산해준다. 이후 페트리 디쉬에 부어 건조 했다. 이후 최종적으로 TMA에 제조한 음이온 교환막 을 넣어 24시간 반응시켜 건조했다. Fig. 2는 이온교환 입자를 첨가 후 TMA처리 한 Br-PPO의 막의 사진이다.
2.5. 특성평가
2.5.1. 유기 입자의 모폴로지 분석
유기 입자의 모폴로지와 크기를 관찰하기 위해 전계 방사 주사현미경(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300 kV TEM)로 입자를 관찰했다.
2.5.2. 유기 입자의 특성평가
유기 입자는 Fourier transform-infrared spectroscopy (Nicolet Impact 400, thermo scientific, USA, FT-IR) 장비를 사용하여 과가교 된 유기 입자와, 4차 암모늄화 된 유기 입자의 peak 변화를 확인하여 4차 암모늄화 처 리가 잘 되었는지 확인했다.
입자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열중량분석기(TGA, TA instruments, USA)를 사용하였다. 유기 입자의 분해 온도를 알기 위해 상온에서부터 700°C까지 10 °C/min 의 속도를 주어 측정했다.
2.5.3. PPO와 Br-PPO의 1H NMR
PPO와 Br-PPO의 1H NMR은 용매를 Chloroform-d 를 사용하였고, 스펙트럼은 DRX300 (300 MHz) (Bruker, Billerica, MA, USA) 장비를 통해 측정했다.
2.5.4. Br-PPO-TMA-SDV 막의 기계적 특성 평가
음이온 교환막인 Br-PPO-TMA-SDV의 인장 강도를 파악하기 위해 만능 시험기(UTM, LR10K at LLOYD, Berwyn, PA, USA)로 ASTM D638-5의 규격으로 인장 강도를 확인했다.
2.5.5. Br-PPO-TMA-SDV 막의 팽윤도, 수분함수율 및 이온교환용량
Br-PPO-TMA-SDV 막의 팽윤도 (%)와 수분함수율은 직사각형 모양인 1 × 2 cm로 잘라 막의 길이, 두께 및 무게를 측정한 후 1 M KOH에 24시간 넣은 뒤 다시 길이, 두께 및 무게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식 (1), (2) 를 이용해 계산했다.
식 (1), (2)에서의 Δw 와 ΔV 는 무게와 부피의 변화를 의미하고, wdry와 Vdry는 건조상태의 막의 무게와 부피 이며, wwet와 Vwet는 1M KOH에 24시간 후의 막의 무 게와 부피이다. 이온교환용량은 역적정법을 사용해 측 정했다. Br-PPO- TMA-SDV 막을 직사각형 모양인 1 × 2 cm로 잘라 1 M KOH와 0.01 M HCl에 각각 24시간 넣어준 뒤 0.01 M NaOH를 적정하여 계산했다. 측정 이후 막을 오븐에 넣어 건조시켜 무게를 측정했다. 이 온교환용량은 다음과 같은 식 (3)을 이용해 계산한다.
식 (3)에서 VHCl과 VNaOH는 HCl과 NaOH의 부피이며, MHCl과 MNaOH는 몰 농도이고, Wdry는 건조한 막의 무게 를 의미한다.
2.5.6. Br-PPO-TMA-SDV 막의 이온전도도
수산화이온전도도 측정은 100% RH 조건에서 상온 에서부터 80°C까지 측정했다. 수산화이온전도도는 다 음과 같은 식 (4)를 이용해 계산했다.
σ (ion conductivity)는 수산화이온전도도, R (resistance) 는 저항 값, L (thickness)은 측정하는 막의 두께, A (area of membrane)은 막의 면적을 의미한다.
2.5.7. 연료전지 셀 특성평가
연료전지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우선 막에 MEA를 제조하는 촉매 슬러리 용액의 제조는 Pt/c 촉매, 이오노 머 용액을 사용해 제조했다. 이후 MEA 촉매를 분산시 키고 에어 스프레이 건을 이용해 Pt/c 로딩양이 0.4 mg Pt/cm2으로 분사했다. 다음 Fig. 3는 제조된 MEA 사진 이다. 분사가 끝난 뒤 1 M KOH에 24 시간 넣고, 증류 수로 세척하여 측정을 진행했다. 측정 시에는 100% RH 조건에서 H2 및 O2의 유속을 0.2 cc/min, 0.4 cc/min으로 설정하여 측정했다.
3. 실험결과 및 고찰
3.1. 유기 입자의 특성평가
우선 이온교환입자의 모폴로지와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전계방사 주사현미경(FESEM,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300 kV TEM)을 사용하여 관찰하였고, 다음 Fig. 4은 유기입자의 FESEM 사진이 다. 이때 입자의 모양이 Fridel-craft 촉매 반응으로 인 해서 완벽한 구형을 이루는 이온교환입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과가교 반응을 통해서 이온교환입자가 더 단단해지면서 응축되어 좀 더 완벽한 구형의 모습을 가 지게 된다. 이온교환입자의 크기는 약 100 nm 정도의 크기로 확인할 수 있다.
유기 입자의 화학적 구조를 알아보고자 과가교 유기 입자의 -CH2Cl peak와 4차 암모늄화 된 이온교환입자 의 C-N peak를 확인하기 위해 Fourier transform-infrared spectroscopy (Nicolet Impact 400, thermo scientific, USA, FT-IR)를 통해 확인하였을 때 Fig. 5와 같이 나타냈다. 먼저 과가교 유기 입자에서 -CH2Cl peak는 1250~1260 cm-1에서 발견되었고, 다음으로 4차 암모늄 화 된 이온교환입자의 C-N peak의 경우에는 1225~ 1235 cm-1에서 발견됐다[41-42].
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 알칼리 전해액에 담겨 60°C 의 온도로 작동되기 때문에 열적 안정성이 중요하다. 음이온 교환막에 이온교환입자를 첨가하기 때문에 이 온교환입자의 열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열중량분 석기(TGA, TA instruments USA)를 사용하여 측정했 다. Fig. 6는 이온교환입자의 TGA 그래프를 나타냈다. TGA 측정은 상온에서부터 700°C까지 10 °C/min의 속 도로 가열하였고, divinylbenzene, vinyl benzyl chloride 및 Styrene이 각각 180°C, 240°C, 500°C에 온도에서 분해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 시스템 60°C의 작동온도에서 이온교환입자가 분해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100°C의 온도에서 도 weight percentage가 95% 이상을 가지며 이온교환 입자의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 다.
3.2. PPO와 Br-PPO의 1H NMR 분석
다음은 Br-PPO의 합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PPO와 Br-PPO의 1H NMR을 분석해 확인했다. Fig. 7과 Fig. 8은 PPO와 Br-PPO의 1H NMR을 보여준다. PPO에서 는 방향족에 있는 -CH peak를 6.4 ppm에서 확인할 수 있었고, -CH3 peak를 2.3 ppm에서 확인했다. Br-PPO는 1H NMR분석에서 PPO와 다른 차이점을 C-Br peak인 4.3 ppm에서 확인할 수 있다. Br-PPO의 C-Br peak를 확인하여 Br-PPO의 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43].
3.3. Br-PPO-TMA-SDV 막의 기계적 특성
Fig. 9은 Br-PPO와 이온교환입자를 첨가한 Br-PPOTMA- SDV 막들의 기계적 강도 차이를 보여준다. 이온 교환입자는 전반적으로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킨다. 증 가시키게 되는 이유로는 입자의 hypercrosslinking reaction으로 공유 결합에 의해서 두 개 이상의 분자를 화 학적으로 결합하게 되는데 이는 입자를 더 단단하게 만 들어주고 더 응축시켜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기계적 특성인 인장 강도는 음이온기를 가진 이온교환 입자를 1.0% 넣은 Br-PPO-TMA-SDV 음이온 교환막이 21 MPa로 가장 높은 인장 강도의 값을 가진다. 이온교 환입자를 넣을수록 기계적 강도 측면에서는 성능이 향 상된다. 하지만 입자를 더욱 첨가하게 될수록 이온교환 입자끼리 응집이 일어나는 경향이 보이며 이온전도도, 이온교환용량 및 셀테스트 결과에서 영향을 미칠 것으 로 보인다.
3.4. 음이온 교환막의 팽윤도, 수분함수율 및 이온교환용량
제조한 음이온 교환막들의 팽윤도 및 수분함수율을 측정하였으며, 음이온 교환막의 팽윤도와 수분함수율을 확인함으로써 음이온 교환막의 부피 변화율과 음이온 교환막이 물을 얼마나 가지고 있을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음이온 교환막의 크기를 1 × 2 cm로 잘라 길 이, 두께, 무게를 건조된 상태와 1 M KOH에 넣어 24 시간 뒤에 변화를 확인하여 측정을 진행하였다. 음이온 교환막의 이온교환용량은 막이 수산화 이온(OH-)를 얼 마나 가지고 있을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값이 높을수록 많은 수산화 이온(OH-)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수분함수율은 고분자 분리막과 용액 간의 삼투 현상으로 생기게 되는데, 친수성 치환기가 많아질수록 삼투현상이 더 많이 일어나며, 그 결과로 함수율이 더 욱 증가하게 된다. N+가 달린 이온교환입자를 많이 첨 가할수록 친수성 치환기가 증가하면서 수분함수율이 증가하게 되는데 Br-PPO-TMA-SDV (0.7%)와 Br-PPOTMA- SDV (1.0%)를 비교해보게 되면 1.0%일 때 함수 율이 더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위 에도 언급했듯이 이온교환입자를 많이 1.0% 이상 첨가 하게 되면 이온교환입자끼리 응집하는 경향이 보이며 이는 수분함수율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온교환용량은 유기 입자가 첨가될수록 값이 올라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마지막 Br-PPOTMA- SDV (1.0%)에서도 마찬가지로 유기 입자의 응집 이 일어나 이온교환용량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 다. 다음 Table 1을 통해 음이온 교환막의 팽윤도, 수분 함수율 및 이온교환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3.5. 음이온 교환막의 이온전도도
음이온 교환막을 이용해 수산화 이온(OH-)을 전달하 는 성능을 알 수 있는 이온전도도를 측정했다. Fig. 10 는 음이온 교환막을 25, 40, 60, 80°C에서 측정한 이온 전도도의 값을 그래프화 했다. 모든 음이온교환막은 온 도가 증가하면 이온전도도의 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또한 음이온기를 가진 유기 입자를 첨가 할수록 이온전도도가 올라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첨가한 유기 입자가 1.0%가 되면 응집이 일어나는 이 유로 이온전도도의 값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음이 온기를 가진 유기 입자를 첨가한 Br-PPO-TMA-SDV (0.7%)의 음이온 교환막이 80°C에서 178.58 mS/cm로 가장 큰 값을 가졌으며, 음이온기를 가진 유기 입자의 첨가로 인해 이온전도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
3.6. 연료전지 셀 특성평가
연료전지 셀 테스트를 통해 음이온기를 가진 유기 입 자를 첨가하지 않은 Br-PPO 음이온교환막, 가장 성능 이 좋았던 Br-PPO-TMA-SDV (0.7%) 음이온교환막과 상용 막인 FAA-3-50의 연료전지 셀테스트 결과를 비교 했다. Fig. 11은 음이온교환막들의 연료전지 셀테스트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결과는 Br-PPO-TMA-SDV (0.7%), FAA-3-50, Br-PPO 순서대로 높은 power density값을 가졌으며, Br-PPO-TMA-SDV (0.7%)가 196 mW/cm2의 값을 가지면서 상용 막인 FAA-3-50보다 높 은 성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이 결과를 통 해서 음이온기를 가진 유기 입자가 연료전지 셀 테스트 의 값에 큰 효과를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Br-PPOTMA- SDV (0.7%) 음이온 교환막이 실제 연료전지 시 스템에 도입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현탁중합 방법을 이용한 음이온기를 가진 유기 입자를 첨가를 통한 음이온 교환막을 제조하였 고, 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an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에 적용 및 성능을 평가하였다. 첨가제인 음이 온기를 가진 유기 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현탁중합 방 법으로 styrene, divinylbenzene 및 vinyl benzyl chloride 를 사용하여 과가교 반응을 진행 후 입자의 클로로메틸 (-CH2Cl)기를 4차 암모늄(N+)기로 치환하여 주었고 치 환한 입자를 Br-PPO로 제조된 막에 첨가해 Br-PPO에 있는 브로민(Br)기를 trimethylamine solution을 사용해 24시간 넣어주어 4차 암모늄(N+)기로 치환시켜 주었다. 이렇게 제조된 Br-PPO-TMA-SDV 음이온 교환막을 연 료전지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을지 확인하기 위해 여러 특성평가를 진행했다. 우선 유기 입자의 과가교 및 암 모늄 치환을 확인하기 위해 FT-IR 측정을 진행했다. 그 결과 FT-IR 스펙트럼을 통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다음 입자가 연료전지 시스템 작동온도를 버티는지 확 인하기 위해 TGA 측정해 열안정성을 확인했다. 그리고 Br-PPO의 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PPO와 함께 1H NMR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여 합성을 확인했다. 기 계적 특성인 인장강도는 만능 시험기(UTM)를 통해 확 인하였으며, 음이온 교환막이 수산화 이온을 보유할 수 있는 성능과 전달하는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이온교환 용량 및 이온전도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로 Br-PPOTMA- SDV (0.7%)가 이온교환용량의 값은 2.73 meq/g 의 값을 가졌고, 이온전도도는 80°C에서 178.58 mS/cm 의 값을 가지는 걸 확인했다. 최종적으로 가장 성능이 좋은 Br-PPO-TMA-SDV (0.7%) 음이온 교환막이 실제 연료전지 시스템에 도입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연 료전지 셀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결과 196 mW/cm2값 을 가져 상용막인 FAA-3-50보다 높은 값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Br-PPO-TMA-SDV (0.7%) 음이온 교환막이 실제 연료전지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