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현재 화석연료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해 이산화탄 소, 메탄 등의 온실가스가 발생하여 지구온도 상승과 같은 기후변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1,2]. 이러한 환경 문제로 인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수소에너지 및 수소를 이용한 발전용 연료전지 등의 보급의 확대되고 있다[3-6].
수소는 화석연료나 물 등에 존재하기 때문에 다양한 화학적 방법을 통해 추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대표적 인 수소 제조 방법으로는 석유화학공정에서 부산물로 생기는 부생수소와 천연가스를 개질 하는 방식이 있지 만, 이러한 방식은 이산화탄소 등 다량의 온실가스를 발생하기 때문에 앞서 말한 지구온도 상승으로 인한 지 구온난화와 같은 환경문제를 유발한다. 반면에 물의 전 기분해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은 고 순도의 수소를 온실가스 배출 없이 친환경적인 방법으 로 제조하는 기술로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다[7].
수전해 기술은 양이온 교환막 수전해기술, 알칼라인 수전해기술, 고온 수증기 수전해 기술로 나뉜다. 양이온 교환막 수전해 기술은 백금 촉매와 양이온 교환막을 이 용해 물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이다. 양이온 교환막 수전해기술은 산화전극에서 물이 수소이온과 전자로 분리되고, 양이온 교환막을 통해서 환원 전극으로 이동 한 후, 전자와 다시 반응하여 수소기체로 생산된다.
알칼라인 수전해는 20~30 wt% 수산화나트륨(NaOH) 이나 수산화 칼륨(KOH)과 같은 알칼리 전해질을 스택 으로 공급하고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직류전원을 전극 에 인가하여 anode에서는 산화 반응을 통해 산소를 생 산하고, cathode에서는 환원반응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 는 방법이다[8-10]. 전극 사이에는 다공성 격막이 위치 하여 생산된 수소와 산소를 섞이지 않게 해주며, OH 이온의 전달이 가능하게 해준다. 전극에는 주로 니켈 (Ni) 계 합금을 사용하고 이들 소재의 우수한 내구성으 로 인하여 양이온 교환막 수전해 대비 저렴한 시스템 가격을 갖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양이온 교환막 수전 해 보다 운전 전류밀도가 낮고 장치의 부피가 크고 고 압 및 차압 운전에 불리한 단점을 갖고 있다. 고온 수 증기 수전해 기술은 물의 전기분해 시 고온에서 필요한 전기에너지가 더 낮아지는 현상에 기반하여 적은 전기 에너지로 고효율의 물 분해가 가능하다. 또한 고체 산 화물 전해질을 사용하여 부식 내구성이 우수하고 전해 액 보충이 필요 없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 이 있다. 하지만 고온 수증기 수전해 기술은 수증기를 700°C 이상으로 가열하는데 추가 열원이 필요하고 고 온의 작동조건을 가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8,9,11,12].
PEM 수전해는 과량의 물 조건에서 작동이 되며, 알 칼라인 수전해는 과량의 알칼라인 수용액 상태에서 작 동한다. 따라서 과량의 물 상태에서의 이오노머의 구조 적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과량의 물 상 태에서 물 분자와 고분자 사이의 강한 친화력으로 인해 물 분자가 친수성 고분자막에 쉽게 결합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고분자의 과도한 팽윤 현상을 초래하며 낮은 막 선택성을 초래함으로 수전해 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하시키게 된다[13].
또한 수전해 시스템의 역반응인 연료전지에서도 수 소이온과 산소가 만나 물을 생성하게 되어 과량의 물 상태에 놓이게 되는데 이 때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오 노머의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는 것이 연료전지 시스템 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수화상 태에서 전극층에 있는 바인더 이오노머를 통해 이온과 기체들이 전해질막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4]. 이오노머 내부를 통해서 이동을 하는 것인지 수화 채널을 통해서 이동하는 것인지 실험적으로 명확하게 관찰하기는 어렵다. 분자동역학 전산모사의 장점은 실 험만으로는 정확히 파악하기 힘든 이오노머의 구조적 인 형태 분석이 가능하다[15-17]. 또한 이오노머 주위에 형성되는 free volume, 수화채널과 같은 형태적 특성 등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관련 연구들이 진행 되고 있다[18-21]. 이러한 유용한 분자동역학 전산모사 의 분석들은 앞서 언급한 과량의 물 상태에서 OH- 이 온 및 기체의 움직임을 관찰하기에 적합한 기술이다. 우리는 선행 연구로 분자동역학 전산모사를 이용하여 수전해용 과불소계 술폰산 이오노머 모델을 제작하여 구조특성과 이온전달 특성을 연구하였고[22], 연료전지 용 이오노머의 주쇄 길이 변화에 따른 수화채널 및 이 온전도성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23]. 그러나 선 행연구에서는 과량의 물 상태의 조건은 고려하지 않았 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spirobiindane 그룹을 포함하 는 음이온 전도성 이오노머를 대상으로 하여 free volume 향상에 따른 이온전도 성능 및 기체 투과 경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건조상태 및 함수율 50%, 100% 의 3D 음이온 전도성 이오노머 구조를 제작하여 과량 의 수화상태에서 이오노머의 안정성과 OH- 이온과 기 체들의 분포를 분자동역학 전산모사를 이용하여 살펴 보고자 하였다.
2. 전산모사
2.1. 음이온 전도성 이오노머 3D 모델 제작
본 연구에서는 Materials Studio package (Dassault Systemes, BIOVIA Corp., USA)를 사용하여 전산모사 를 수행하였고, force-field로는 COMPASSII (Condensedphase Optimized Molecular Potentials for Atomistic Simulation Studies II)를 사용하였다[24-26]. Fig. 1의 (a) 는 2개의 헥실트리메틸암모늄 그룹과 Spirobiindane 그룹을 포함하는 폴리아릴텐에테르술폰(DHex-QOH-SBI) 이며 (b)는 1개의 헥실트리메틸암모늄 그룹을 포함하는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Hex-QOH-BP)을 나타내는 구조 식을 나타내며 이 구조식은 Choi 등의 연구[27]를 바탕 으로 진행하였다. Table. 1의 실험결과 Ion exchange capacity, PDI, 분자량과 같은 정보를 바탕으로 Fig. 2와 같이 이오노머 구조를 제작하였다. Fig. 2의 구조를 입 력구조로 하여 Amorphous cell 모듈을 이용하여 함수 율 0%, 50%, 100%의 조건 Table. 2를 반영하여 3D 이 오노머 구조를 제작하였다(Fig. 3).
이 후 제작된 3D 모델들을 Forcite 모듈의 geometry optimization 기능을 이용하여 구조를 최적화하였다. 구 조 안정화를 수행한 3D 모델들을 평형상태로 만들기 위해 다음과 같은 compress-relaxation protocol을 수행 하였다.
-
(1) NPT, 298 K, 100 ps, 1atm 조건으로 dynamics 수행
-
(2) NPT, 298K, 100 ps, 1GPa 조건으로 dynamics 수행
-
(3) NVT 598K, 20 ps, 1 atm 조건으로 dynamics 수행
-
(4) NVT, 298K, 20 ps, 1 atm 조건으로 dynamics 수행
이를 density가 안정화될 때까지 (1)~(4) 단계를 3~5 회 반복하였고, 최종적으로 안정화된 모델을 NPT, 298 K, 1 atm 조건으로 1 ns 동안 dynamics를 수행하여 평 형상태에 도달한 3D 구조를 얻었다. 이후 3D 모델에 기체 분자를 삽입하기 위해 Grand Canonical Monte Carlo (GCMC) 방식에 기반한 Sorption 모듈을 이용하 였고, fixed loading 기능을 이용하여 H2 분자와 O2 분 자를 따로 도입한 모델을 제작하였다[28,29]. 이 과정에 서 기체분자가 도입될 확률은 다음과 같다.
이때, U는 non-bonding 에너지의 합으로부터 계산되 며 Ns는 기체분자의 개수를 나타낸다. U 가 음수이거나 볼츠만 인자가 0과 1사이의 주어진 난수보다 크면 추가 도입이 허용된다. Sorption 모듈은 298 K에서 Maximum loading step = 100,000, Equilibration step = 10,000으 로 설정하였다. 이후 기체 분자를 도입한 모델들을 각 각 298 K, 1 atm에서 1 ns 동안 Andersen thermostat과 Berendsen barostat 설정에서 NPT Dynamics를 수행하 였다. 여기서 사용하였고, non-bonding summation method는 Ewald 조건에서 accuracy는 0.001 kcal/mol, buffer width는 0.5 Å, van der Waals term의 repulsive cutoff는 12 Å로 설정하였다[23].
이렇게 제작된 3D 이오노머 모델들의 OH- 이온과 기체분자의 투과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Mean square displacement (MSD)를 이용하여 식 (2)를 활용하여 확 산도를 계산하였다[29].
여기서 N은 평균화할 입자 수, ri는 i번째 입자의 위 치 벡터를 나타내고 각 괄호는 앙상블 평균을 나타낸 다. 따라서 시간의 함수로 평균 제곱 변위를 기울기를 사용하여 3차원에서 임의의 브라운 운동을 하는 입자의 자체 확산 계수를 구할 수 있다.
앞서 식 (2)를 통해 얻어진 확산계수를 이용하여 식 (3)을 이용하면 이온전도도를 구할 수 있다[30].
여기서 F는 페러데이 상수, Di는 확산도, Ci는 이온의 농도 R은 기체상수 T는 온도(K)이다.
2.2. Fractional free volume (FFV)
Spirobiindane 그룹의 비율에 따라 고분자 free volume 이 증가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FFV를 계산하였다. FFV는 고분자 내에서 free volume의 비율이며 다음 식 (3)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Vf는 free volume의 양을 나타내며, Vsp (cm3/g)는 고분자의 specific volume로서 1/ρ과 같고, ρ (g/cm3) 는 고분자의 밀도이다. Bondi’s method에 따르면 free volume의 양은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식 (5)를 이용해서 실제 3D 구조 내에서 빈 공간이 어 느 정도를 차지하는지 정량적으로 보고자 하였다. 여기 서 VνdW는 van der Waals volume으로 본 전산모사 프 로그램인 Material Studio의 Visualizer 모듈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여기서, “packing coefficient” 1.3은 VνdW 부피를 occupied volume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었다 [30].
3. 결과 및 고찰
3.1. 3D 음이온 전도성 이오노머 모델 구조 안정성
2개의 헥실트리메틸암모늄 그룹과 spirobiindane 그룹 을 포함하는 폴리아릴텐에테르술폰(DHex-QOH-SBI)과 1개의 헥실트리메틸암모늄그룹을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에테르술폰(Hex-QOH-BP)의 함수율을 증가시켜 3D 이 오노머 모델들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3D 이오 노머 모델들의 함수율 변화에 따른 이오노머 구조적인 형태를 관찰하였다.
Fig. 4는 과량의 물 조건에서 이오노머의 구조와 수 화채널 및 OH- 이온이 3D 모델 내부에서 어디에 위치 하고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3D 이오노머 모델들은 함수율이 증가할수록 이오노머의 사슬간격이 넓어지는 형태를 나타냈으며 사슬이 분리되거나 물에 녹는 구조 는 없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함수율 400% 상태의 Hex-QOH50-BP50 3D 모델을 제작하여 이오노머 사슬 을 관찰하였다. Fig. 5의 좌측 그림과 같이 생성된 초기 모델에서는 사슬이 분리된 것으로 보이지만, 3D 이오 노머 모델은 Periodic Boundary Conditions (PBC) 구조 로 하나의 셀이 반복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Fig. 5의 우 측 그림과 같이 셀을 확장하여 구조를 확인하였을 때 사슬이 분리되거나 물에 녹는 구조는 확인할 수 없었 다. 이는 과량의 수화상태에서도 음이온 전도성 이오노 머가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3.2. 이오노머 모델 내부의 OH- 및 기체 분자 분포
과량의 수화 상태에서 OH- 이온과 기체 분자들이 3D 이오노머 모델 내에서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지 알아 보 기위해 Fig. 4에서 이온과 기체 분자의 위치를 함수율 에 따라 나타냈다. 그 결과 건조상태에서 OH- 이온은 이오노머의 작용기 그룹 주위에 OH- 이온이 분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함수율이 50% 이후부터 OH- 이온이 이 오노머 작용기 그룹과 거리가 멀어졌으며 과량의 수화 상태 함수율 100%에서는 이오노머 내부가 아닌 물분자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이러한 이온의 분포 현 상은 이온의 전달 메커니즘 중 vehicle mechanism을 설 명하기에 적합한 결과이다. Fig. 6은 Radial distribution function (RDF) 분석을 건조조건 및 함수율 50%, 100%의 모델에서 수행한 결과로서, 작용기 그룹과의 거리 (r)에 따라 OH 이온이 존재할 확률을 나타낸다. RDF 결과는 건조상태일 때는 작용기 그룹 근처에 OH- 이온이 주로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함수율이 증 가할수록 OH- 이온이 작용기로부터 떨어져 수화채널 내에 분포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과량의 물 조건에서 OH- 이온이 작용기 주위가 아닌 이오노머 내부의 수화 채널 내에 존재할 것이며, 과량의 물 상태에서 OH- 이 온의 전달은 또한 이오노머 내부가 아닌 외부의 물분자 들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Fig. 7은 함수율을 반영한 3D 이오노머 모델 내부의 수소 분자의 분포를 나타낸다. 수소기체 경우 건조조건 과 함수율 50%, 100%에서 이오노머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기체 분자들이 주로 이오노머 내부의 free volume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Fig. 8은 건조상태의 3D 이오노머 모델의 free volume 을 나타내며, Fig. 9는 각각의 3D 이오노머의 Fractional free volume (FFV) 계산 결과이다. 예상과 같이 spirobiindane 그룹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DHex-QOH54-SBI46이 가장 많은 free volume을 가지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Hex-QOH54-SBI46이 기체 분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 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음 절에서 설명할 기체 확산도 결과에서도 이를 검증할 수 있었다.
3.3. 이온전도도 및 기체확산도
본 연구에서 제작된 3D 이오노머 내부의 이온 이동 은 과량의 물에 의한 이동이 지배적일 것이라는 앞선 예측을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수전해 시스템과 연료전 지 시스템에서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인 이온전 도도를 분석하였다. Fig. 10은 제작된 3D 이오노머 모 델의 함수율 변화에 따른 OH- 이온전도 계산 결과이며, 과량의 물 상태에서는 물분자가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 문에 함수율이 증가할수록 OH- 이온이 수화채널 속을 자유롭게 이동하여 이온전도도가 점점 증가하는 경향 을 나타냈다. 그러나, DHex-QOH80-SBI20의 경우에는 2개의 헥실트리메틸암모늄 그룹의 비율이 가장 높았지 만 이온전도 성능이 오히려 1개의 헥실트리메틸암모늄 그룹을 갖는 Hex-QOH60-BP40, Hex-QOH50-BP50보 다 함수율 100% 구간에서 낮은 이온전도도 값을 가졌 다. DHex-QOH80-SBI20의 경우 많은 이온을 교환할 수 있지만 과량의 물 상태에서 이온이 희석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과량의 함수율 상태에서 이온전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오 노머를 제작할 때 전도성을 가지는 그룹을 적절하게 제 어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체 투과 성능 은 2개의 헥실트리메틸암모늄과 spirobiindane 그룹을 포함하는 DHex-QOH54-SBI46이 함수율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가장 뛰어난 성능을 나타냈다. 앞 장에서 관 찰된 바와 같이, 수소 기체의 경우 이오노머 내부를 통 해 이동하기 때문에 이오노머가 가지는 free volume에 따라 기체 투과 성능 좌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음이온 전도성 이오노머에 초점을 맞 춰, 과량의 물 조건에서 구조변화와 OH- 이온 및 기체 의 이동특성을 분자동역학 전산모사를 통해 분석하였 다. 과량의 수화 조건에서도 이오노머의 구조의 분석결 과 물에 녹는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고 구조적으로 안정 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작된 이오노머 3D 모델에서 건조상태에서는 OH- 이온이 이오노머의 작용기 가까이 분포하였으나, 함수율이 증가하는 경우 에는 OH- 이온이 수화채널에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볼 때 과량의 물 상태에서 OH- 이온은 이오노머 내부가 아닌 수화채널을 통해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2개의 헥실트리메틸암모늄 그룹을 가 지는 이오노머가 1개의 헥실트리메틸암모늄 그룹보다 더 높은 이온전도성을 가졌으나, DHex-QOH80-SBI20 이오노머의 경우 작용기를 더 많이 가졌음에도 불구하 고 DHex-QOH54-SBI46 보다 대부분 낮은 이온전도도 값을 가졌다.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건조 조건 의 기체 투과도의 경우 3D 이오노머 내부의 free volume 을 통해 기체 분자가 이동하게 되는데, DHex-QOH54- SBI46 구조의 free volume 비율이 0.192로 가장 높기 때문에 기체 투과 능력 역시 가장 높게 나왔다. 또한 본 연구에서 과량의 수화상태에서도 수소기체는 고분 자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함수 율에 관계없이 DHex-QOH54-SBI46 구조의 기체 투과 성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spirobiindane 그룹과 같이 bulky한 구조가 도입된 경우 이온전도도 및 기체 투과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도성을 높 이기 위한 작용기그룹을 포함하는 사슬의 비율과 free volume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spirobiindane 그룹 간의 최적의 조성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