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최근 기후변화가 가속화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탄 소 배출이 적거나 없는 친환경 재생에너지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2]. 다양한 재생에너지 기술 중 하나인 염분차 발전은 해수와 담수의 농도차를 이용하 여 발전하는 기술로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 등 다른 재 생에너지 기술과 비교할 때 전력 변동이 크지 않으며 주변 환경의 영향을 덜 받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멤브 레인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염분차 발전 기술 중 하나인 역전기투석(reverse electrodialysis, RED)은 해수와 담 수의 농도차를 구동력으로 이온교환막(ion-exchange membrane)을 통해 이온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고 전극 에서 발생하는 산화-환원 반응으로 발전하는 방식이다. RED 공정에서는 직접적으로 용액의 농도차에 의한 화 학적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기 때문에 효율적 인 발전이 가능하다[3-5]. RED의 구동 및 전력 생산 원 리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를 Fig. 1에 나타내었다.
RED의 발전성능을 대표하는 최대 전력밀도는 개회 로 전압(open circuit voltage, OCV) 및 스택저항의 함 수로 표현될 수 있다[6]. 이온교환막은 RED의 전력밀 도를 결정하는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로써 이온교환막 의 permselectivity와 막저항은 각각 개회로 전압과 스 택저항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RED의 발 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온교환막의 permselectivity를 높이며 동시에 막저항을 낮추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성공적인 RED 응용을 위해 이온교환막은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며 동시에 막 가격 이 저렴해야 한다[7,8]. 상용 이온교환막들은 대부분 기 계적 물성을 강화하기 위해 woven 또는 nonwoven fabric 지지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온교환막의 두께가 두터워져 막 저항이 증가하고 복잡한 제조 과정 으로 인해 생산비용이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다[9].
한편 다양한 이온교환막 종류 중 하나인 세공충진 이 온교환막은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에 이온교환 고분자 를 충진하여 제조되며 얇은 막 두께에도 높은 물리적 강도를 가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10-14]. 또한 막 제 조 공정이 간단하고 재료 소모량이 적어 제조 단가를 크게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RED 응 용을 위한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의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15,16]. 또한 다수의 연구에서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을 사용한 RED 스택은 상용 균질계 이온교 환막 사용 대비 우수한 발전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성공 적인 RED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17,18]. 그러나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의 본격적인 상용화를 위해서는 막 성능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의 특성 인자 가 RED 성능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면밀히 조 사하고 이를 통해 막 성능을 개선하는 실험을 수행하였 다. 특히 다양한 두께 및 기공율을 가지는 polyethylene (PE) 다공성 필름을 이용하여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을 제조함으로써 지지체가 막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 히 조사하였다. 또한 폴리피롤(polypyrrole, Ppy)을 이용 하여 이온교환막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RED 성능을 향 상시키고자 하였다. Ppy는 막 표면을 치밀하게 함으로 써 이온 선택투과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제조된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은 다양한 전기화학 적 방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특성 분석이 이루어 졌으며 상용막 및 제조막을 이용한 RED 성능을 측정하여 비 교 평가하였다.
2. 실험 방법
2.1.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 제조
음이온교환 고분자를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로 4-vinylbenzyl chloride (VBC) 및 styrene (Sty), 가교제로 divinylbenzene (DVB), 광개시제로 benzophenone (BP), 4차 암모늄 기를 도입하기 위한 시약으로 trimethyl amine (TMA)를 Sigma-Aldrich (USA)에서 구입하여 정제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세공충진막 제조를 위한 지지체로 일본 Asahi Kasei E-materials Corp.의 Hipore 분리막(t = 25 μm)과 함께 다양한 두께 및 기공률을 갖 는 polyethylene (PE) 소재의 다공성 필름을 W-SCOPE KOREA사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의 특성을 Table 1에 정리 하여 나타내었다.
세공충진 기저막은 Sty:VBC = 1:1~0.1:1 범위에서 몰비율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제조되었다. 이 때 가교제 로 사용된 DVB, 그리고 광 개시제로 사용된 BP의 함 량은 각각 10 wt%와 2 wt%로 고정하였다. 상기 조성 의 단량체 혼합 용액에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침적하 여 세공 충진을 하였고 이 후 이를 두 장의 이형필름 사이에 밀착시키고 mercury UV 램프(1 kW)를 이용하 여 15분간 광중합하였다. 중합이 완료되면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4차 암모늄 기를 치환하기 위해 1.0 M TMA 수용액에 준비된 기저막을 함침시킨 후 60°C에서 5시 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제조된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을 세척한 후에 0.5 M NaCl 용액에 함침하여 보관하였다. 세공충진 음이온교환 고분자의 제조 과정 및 화학식을 Fig. 2에 나타내었다.
2.2. 음이온교환막 특성 분석
제조된 이온교환막의 표면 및 단면의 형태학적 특징을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TESCAN, Czech)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막의 화학적 구조를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FT/IR-4700, Jasco, Japan)를 사용하여 확인하 였다. 상용 막 및 제조된 이온교환막의 함수율(water uptake, WU)은 막의 젖은 무게(Wdry)와 건조 무게(Wwet) 의 차이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하여 계산되 었다[19].
음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용량(ion-exchange capacity, IEC)은 은법 적정을 통해 결정되었다. 0.5 M NaCl 용 액에서 이온교환막이 평형 상태에 이르면 증류수로 세 척한 후 0.25 M Na2SO4 용액에 6시간 이상 함침시켜 막 내의 Cl- 이온이 SO42- 이온과 완전히 치환되도록 한 다. 치환된 용액 내의 Cl-의 양을 0.01 M AgNO3 표준 용액으로 적정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때 지시 약으로 K2CrO4를 사용하였으며 IEC 값은 다음 식을 이 용하여 계산하였다[19].
여기서 C는 적정 용액의 노르말 농도(meq./L), Vs는 용 액량(L), 그리고 Wdry는 건조된 막의 중량(g)이다. 이온 교환막의 전기적 저항(membrane electrical resistance, MER)은 자체 제작한 2-point probe 클립셀과 impedance analyzer (SP-150, Bio-Logic Science Instruments, France) 를 사용하여 0.5 M NaCl 수용액에서 측정되었으며 다 음 식을 통해 값을 계산하였다[20].
여기서 R1은 전해질과 막의 저항(Ω), R2는 전해질의 저 항(Ω), 그리고 A는 막의 유효면적(cm2)이다. 이온교환 막의 anion transport number (t-)는 2-실 확산셀을 이용 한 emf 방법으로 측정되었으며 다음 식으로부터 계산 되었다[21].
여기에서 Em은 측정된 셀 전압,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 F는 페러데이 상수, 그리고 CL과 CH는 NaCl 용액의 농도로 각각 1 mM과 5 mM이었다. 막의 선택 투과성을 나타내는 permselectivity는 실험실에서 제작한 2-실 흐름셀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양 실(compartment) 사이에 이온교환막이 위치하도록 한 후 각각 해수 (0.513 M NaCl)와 담수(0.017 M NaCl) 용액이 50 mL min-1의 유량으로 순환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막 전위를 한 쌍의 Ag/AgCl 기준 전극을 사용하여 측정한 후 이 결과를 다음 식에 대입하여 역전기투석 운전조건에서 의 apparent permselectivity (α)를 산정하였다[22].
여기에서 Em은 이온교환막의 전위차, R은 이상기체상 수, T는 용액의 절대온도, F는 Faraday 상수, 는 담 수의 이온의 평균 활동도, 는 해수의 이온의 평균활 동도, 은 용액에서의 counter ion transport number, 그리고 는 용액에서의 coion transport number를 의 미한다.
2.3. RED 특성 평가
상용막 및 제조된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을 이용한 RED 발전 성능은 Lab-made RED stack과 potentiostat/ galvanostat (SP-150, Bio-Logic Science Instruments, France)을 연결하여 측정하였다. RED stack의 이온교환 막 유효면적은 15 cm2이었으며 총 5-cell pair로 구성되 었다. RED stack의 전극으로는 한 쌍의 Pt plated Ti electrode를 이용하였으며 1 mm 두께의 PTFE 가스켓 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0.05 M K4Fe(CN)6(Ⅱ)와 0.05 M K3Fe(CN)6(Ⅲ)를 용해시킨 0.25 M Na2SO4 수용액 을 전극조 전해액으로 사용하였으며 해수와 담수로 각 각 100 mL의 0.513 M NaCl과 0.017 M NaCl 수용액 을 순환시키며 실험하였다. 전류밀도는 0~14 A m-2 범 위에서 변화되었으며 용액의 유량은 50 mL/min이었다.
3. 결과 및 고찰
Fig. 3에 제조된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의 표면과 단 면 FE-SEM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표면 및 단면 이미지 로부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의 기공구조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즉, 지지체의 기공이 음이온교환 고분자로 잘 충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된 이온교환막의 화학적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FT-IR spectra를 Fig. 4에 나타내었다. 제조된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의 spectrum으로부터 Aromatic rings에 할 당된 흡수 밴드가 1440에서 1695 cm-1 범위에서 발견 되었다[23,24]. 또한 891, 859 및 830 cm-1에서 quaternary ammonium group에 할당된 흡수 밴드가 확인되었 다[24]. 결과적으로 Fig. 2에 제시된 구조의 음이온교환 고분자가 PE 다공성 지지체에 성공적으로 충전되었음 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25 μm 두께의 Asahi사의 지지체(Asashi-25)를 이용하여 Sty과 VBC의 몰비율을 1:0.1~1:1 범위에서 조절하여 막을 제조하였으며 다양한 성능 분석을 수행 하여 그 결과를 Table 2에 정리하였다. 성능 비교를 위 한 상용막으로는 일본 Astom 사의 AMX 막을 선정하 였다. IEC는 VBC 함량이 늘어날수록 증가하는 경향성 을 나타내었으며 0.75~2.20 meq./g 범위에서 조절되었 다. Water uptake 및 전기적 저항 그리고 contact angle 도 IEC 값에 따라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제조된 세공 충진 음이온교환막의 Transport number는 모든 제조 조 건에서 0.97 이상이었으며 상용막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RED 운전조건을 반영한 apparent permselectivity의 경우 상용막 대비 현저히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비교적 낮은 IEC 조건인 Sty:VBC = 1:0.2 몰비율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높은 용액 농도에서는 이온교환막의 coion의 투과도가 증가하며 특히 얇은 막 두께와 최적화되지 않은 가교도 등의 이유로 인해 상용막 대비 현저히 낮은 apparent permselectivity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Fig. 5(a-d) 에 VBC/Sty 몰비율과 Table 2에 정리된 각종 이온교환 막 성능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도시하였다.
또한 Fig. 5(e-f)에 RED 성능과 제조된 세공충진막의 VBC/Sty 몰비율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예상대 로 OCV는 막의 apparent permselectivity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Sty:VBC = 1:0.2 몰비 율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Stack resistance의 경우 막의 전기적 저항에 큰 영향을 받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VBC/Sty 몰비율이 커질수록 낮은 막의 전기적 저항과 스택 저항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VBC / Sty = 0.2 이상 에서 저항의 감소 폭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종합 적인 RED 발전성능을 나타내는 gross power density 값을 Table 2와 Fig. 6에 나타내었으며 이 또한 apparent permselectivity와 동일하게 Sty:VBC = 1:0.2 몰비 율에서 최대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좀 더 상세한 분석을 위해 power density와 IEC 및 apparent permselectivity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결 과를 Fig. 7에 도시하였다. IEC의 경우 threshold 값이 약 1.0 meq./g 임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이상의 IEC 값 에서는 다른 요인에 의해 발전 효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얇은 막 두께 와 더불어 최적화되지 않은 가교도에 기인한 결과로 사 료되며 이를 개선하면 높은 IEC에서 더 우수한 발전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 서는 가교도의 최적화는 고려하지 않았으며 가교조건 을 고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Fig. 7(b)에 나타낸 바 와 같이 RED 발전 성능과 가장 큰 상관성을 보이는 막 인자는 apparent permselectivity였으며 상용막 수준으로 발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를 개선 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막 두께가 RED 발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 기 위해 Table 1에 나타낸 다양한 두께의 다공성 지지 체를 이용하여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VBC/Sty 몰비율은 앞선 결과에서 최적으로 결정되었던 VBC/Sty = 0.2 조건으로 고정하였다. 제조된 막의 두 께는 8~81 μm 범위에서 조절되었다. Water uptake는 두께의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사용된 지지체의 기공율 이 커질수록 충전된 이온교환 고분자의 함량이 늘기 때 문에 증가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막의 전기적 저항 은 막의 두께가 커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 며 0.62~6.12 W cm2 범위에서 제어되었다. 제조된 세 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의 transport number는 모든 샘플 이 0.97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Fig. 8에 상용막 및 다양한 다공성 지지체를 이용하 여 제조된 음이온교환막을 사용한 RED 스택의 발전 성능을 나타내는 결과를 도시하였다. 50 μm 이상의 두 께의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을 사용한 RED 스택의 발 전 성능은 크게 개선되어 상용막에 근접하는 결과를 보 여주었다. Fig. 9에 막 두께가 RED 발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결과를 도시하였다. 막 두께가 증가할 수록 OCV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apparent permselectivity의 증가에 기인한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OCV 의 증가로 인해 gross power density 또한 크게 향상이 되었으며 약 50 μm 정도의 두께가 요구됨을 알 수 있 었다. 즉, 전기적 저항의 관점에서는 얇은 막 두께가 요 구되나 이온 선택성과의 trade off 관계를 고려하여 적 정 막 두께를 결정해야 함을 의미한다. 앞서 기술한 IE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교도 등을 최적화할 경우 더 낮은 막 두께에서도 최적 발전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고 사료되나 본 연구에서는 가교도의 최적화에 대한 고 려는 생략하였다.
Apparent permselectivity를 향상시키기 위해 막 두께 를 증가시키는 것 외에도 표면 특성을 개질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표면 개질법 중 Ppy를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Ppy는 이온교환막 의 표면을 더욱 치밀하게 개질할 수 있으며 또한 산 처 리시 양(+) 전하를 띠어 음이온에 대한 선택적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25].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함량의 피롤(pyrrole, Py) 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스핀코터를 이 용해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 표면에 코팅하였다(2,000 rpm/1 min). 이어 Py가 코팅된 막을 0.2 M FeCl3 수용 액에 5 min간 함침시켜 Ppy 층을 막 표면에 도입하였 으며 이어 0.1 M HCl 용액에 30 min간 함침하여 산 처리하였다. Fig. 10에 Py 함량에 따른 막의 apparent permselectivity와 전기적 저항의 변화 결과를 도시하였 다. 약 0.5 wt% Py 함량으로 개질한 경우 가장 높은 apparent permselectivity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 의 함량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높은 Py 함량에서의 permselectivity의 감소는 Ppy 층의 두께 증 가에 따른 정전기적 반발력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사료 된다. 한편 막의 전기적 저항은 전기적으로 중성에 가 까운 Ppy 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수치가 증가함을 나 타내었다. 그러나 가장 높은 apparent permselectivity 수치를 나타낸 0.5 wt% Py 조건에서는 Ppy 층 도입에 따른 전기적 저항의 증가는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었 다. 또한 산 처리를 한 경우 표면 정전기적 반발력의 증가로 apparent permselectivity가 크게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ig. 11 및 Table 4에 상용막 및 세공충진 음이온교 환막을 사용한 RED 스택의 발전 성능을 나타내는 결 과를 정리하였다. 이 실험에서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 은 앞서 도출된 최적 지지체 두께(~50 μm) 및 단량체 조성(VBC/Sty = 0.2) 조건으로 제조되었다. 또한, 이전 실험에서 가장 높은 apparent permselectivity 증가율을 나타내었던 Py 0.5 wt%/HCl 산처리 조건으로 표면 개 질을 하였다. 그 결과, Ppy 표면 개질 세공충진 음이온 교환막은 상용막 대비 우수한 apparent permselectivity 및 OCV, 그리고 gross power density를 나타내었다. 이 상의 실험을 통해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의 특성 인자와 RED 성능 간의 상관관계를 면밀하게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상용막을 능가하는 성능을 가진 세공충 진 이온교환막을 성공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 였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두께 및 기공율을 가지는 PE 다공성 지지체를 이용하여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고 이온교환 고분자의 조성과 막 두께가 이온교 환막 특성과 이를 적용한 RED의 발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하게 조사하였다. 먼저 VBC와 Sty의 몰 비 율을 조절함으로써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의 IEC를 0.75~2.20 meq./g 범위에서 제어하였다. IEC는 1 meq./g 정도에서 threshold 값을 나타내었으며 RED의 발전 성 능은 본 연구의 조건에서는 막의 전기적 저항보다는 apparent permselectivity에 더 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의 전기적 저항이 상용막 대비 충분히 낮은 수준이기 때문으로 판단되었 다. 결과적으로 RED stack의 gross power density는 Sty:VBC = 1:0.2 몰비율(i.e. IEC = 1.12 meq./g)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다양한 두께의 다공성 고분 자 지지체를 이용하여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을 제조 하여 막 두께가 RED 발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의 조건에서는 약 50 μm 이 상의 두께에서 막의 apparent permselectivity 및 RED 스택의 발전 성능이 크게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즉,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은 막 두께가 얇아 낮은 전기적 저 항을 가지지만 반면 permselectivity의 저하 등의 문제 가 있을 수 있으므로 종합적인 관점에서 최적의 IEC, 가교도 및 막 두께를 결정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막의 apparent permselectivity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Ppy를 이용하여 표면을 개질하였으며 약 0.5 wt% 의 Py 용액으로 얇은 Ppy 층을 만들고 HCl 산처리를 한 경우 RED 발전 성능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최적 조건으로 제조된 세공충진 음이온교환 막(W-scope-50 (VBC 0.2 / Sty 1) + Ppy 0.5 wt% / HCl, Pgross = 2.247 W/m2 @ 5 pairs)은 상용막(AMX, Pgross = 2.089 W/m2 @ 5 pairs) 대비 우수한 발전 성능을 나 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