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해상(海上)을 통한 물류 운송량이 증가하면서 선박 사고로 인한 해양 기름유출 사고(태안, 모리셔스, 스리 랑카 등)가 증가하고 있으며, 석유, 식품, 섬유, 철강 산 업 등 산업분야에서 배출되는 함유폐수(含油廢水, oily wastewater)로 인해 생태계에 위협이 되고 있다[1,2].
함유폐수는 섞이지 않은 기름/물 혼합물(immiscible oil/water mixture), 에멀션 상태의 기름/물 혼합물(emulsified oil/water mixture), 계면활성제로 안정화된 에멀션 (surfactant-stabilized emulsions)으로 3가지로 구분된다 [3–5]. 이러한 함유폐수는 부유(flotation), 응집(coagulation), 생물학적 처리(biological treatment), 막 분리(membrane separation) 등으로 정수처리를 하고 있으며, 그 중 분리 막을 이용한 처리는 다른 방법보다 우수한 분리효율, 적은 에너지 소모, 낮은 운영비용 등의 장점으로 향후 기대되는 기술이다.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제거기술은 부유, 응집, 생물학적 처리 외 원심분리(centrifugation), 초음파 분리(ultrasonic separation), 증류(distillation) 등 의 방법도 있으나 에너지 소모가 크고 2차 오염을 유발 할 수 있으며, 물과 기름이 혼합된 상태가 아니거나 물 또는 기름 입자가 20~50 um인 상태의 분리에 한정적이다 [6–9]. 유수 분리(oil/water separation)에 사용되는 분리 막(membrane)은 기름 흡수 및 발수성(water-repellent) 을 가지므로 기름 성분에 대한 오염(fouling)으로 인한 투과도(flux)가 감소하게 된다[10,11].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화학적 처리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분리막의 수 명과 재활용성 감소로 작동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해결 하기 위한 방법으로 습윤성(special wettability)이 뛰어 난 분리막이 연구되고 있다[12–15].
폴리케톤(polyketone)의 단량체는 CH2CH2C=O이며 반결정성 플라스틱으로 높은 내화학성 및 기체 차단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난연성, 무해성 등의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자동차 연료 시스템, 전자 제품, 기어, 섬유, 필름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16–18]. 폴리케톤의 우수한 내화학성은 유기 용제 저항성 막 (organic solvent-resistant membrane)이나 유수 분리막 (oil-water separation membrane)에 적합하다는 논문과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19]. 폴리케톤 분리막은 비 용매유도 상분리(NIPS; 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방식으로 제조되나, NIPS는 비대칭(asymmetric)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오염수의 침투성이 낮아 분리의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20,21].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 기 위해 열유도 상분리(TIPS;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나 전기방사법(electrospinning)을 활용한 연 구가 진행되고 있다[12,22,23].
전기방사법(electrospinning method)은 나노섬유(nanofiber) 를 제조하는 방법 중 대표적이며 액상으로 용해된 고분자에 고압의 전기를 인가하여 바늘(tip)과 수집기 (collector)사이의 전압차를 이용해 섬유를 제조하는 방 법이다. 인가전압, 바늘 사이즈(tip size), 바늘과 수집기 사이의 거리(TCD; Tip to Collector Distance), 용액의 점도 등을 변화시켜 섬유의 직경 또는 형상을 쉽게 조 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나노섬유로 구성 된 분리막은 우수한 표면적과 기공도를 가지고있어 다 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24–27]. 하지만 폴리케톤 의 경우 우수한 내화학성으로 인해 용매의 선택폭이 좁 아 나노섬유 제조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을 전기방사 조건에 따른 섬유형상을 확인하고 마이크 로섬유와 나노섬유로 구성된 각각의 분리막을 제조하 고 특성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다양한 오일 또는 유 기물을 이용한 유수 에멀션 분리 실험을 통해 유수 에 멀션 분리막으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2. 실 험
2.1. 재료
방사용액은 기질 고분자로 폴리케톤(PK, Mw = 180,000 g/mol, Hyosung corporation)을 사용하였고, 용 매로 1,1,1,3,3,3-hexafluoro-2-propanol (HFIP, Daejung Chemical & Metals Co., Ltd.)과 methanol (Daejung Chemical & Metals Co., Ltd.)을 사용하였다. 첨가제로 sodium chloride (NaCl, Duksan Pure Chemical Co., Ltd), 분리막 환원제 sodium borohydride (NaBH4, Daejung Chemical & Metals Co., Ltd.)를 사용하였다. 환원 후 분리막 세척은 n-Hexane (Duksan Pure Chemical Co., Ltd.) 과 acetone (Deajung Chemical & Metals Co., Ltd.)을 사용하였다. 유수 에멀션의 기름 성분으로 toluene (Junsei Chemical Co., Ltd.), soybean oil (Deajung Chemical & Metals Co., Ltd.)을 사용하였으며, 계면활성제로 sodium dodecyl sulfate (SDS), TWEEN-80, SPAN-80을 sigmaaldrich 제품을 사용하였다. 증류수(Deionized water, D. I. water)는 초순수 제조장치(Human Power I+, Human Science)를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모든 시약은 별도 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2.2. 폴리케톤 분리막 제조
마이크로 섬유 분리막(PK-L, PK-H)은 폴리케톤 비드 (beads) 0.88 g (8 wt%)을 HFIP 10.12 g (92 wt%)에 용해시켰으며, 나노섬유 분리막(PK-LNC, rPK-LNC)은 폴리케톤 0.531 g (5.9 wt%)을 HFIP 혼합용액[94.1 wt%; HFIP 7.614 g (89.7 wt%), methanol 0.846 g (10.2 wt%), sodium chloride 0.009 g (0.1 wt%)]에 넣고 180 rpm으로 12시간 이상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용 해된 용액은 5 mL 주사기에 넣고 기포를 제거하기위해 수직으로 세워 최소 30분 방치하였다. 실린지 펌프 (KDS100, KD Scientific Inc.)를 이용하여 0.8 mL/h로 방사속도를 조절하였으며, tip에 고전압발생기(DC high voltage generator, CPS-60K02VIT, CHUNGPA EMT Co., Ltd.)를 연결하여 인가전압을 조절하였다. Table 1 에 각 시료에 따른 최적 방사조건을 나타내었다. 방사 후 잔여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40°C 진공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하였으며, 건조를 마친 분리막은 Table 2의 조건으로 프레스(heating press, DHP-2, Dad Heung Science, South Korea)를 이용한 후처리를 통해 8 layers 로 제조한 후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0.5 wt% NaBH4 수용액을 진공펌프 0.3 bar에서 30초간 PK-LNC 에 투과시켜 환원된 분리막을 rPK-LNC이라 명명하였 다. 환원이 완료된 rPK-LNC는 D. I. water, acetone 그리고 n-hexane 순서로 세척 후 상온에서 12시간 이상 완전건 조 하였다[28].
2.3. 분리막 특성분석
폴리케톤 분리막의 기공 특성은 capillary porometer (Porolux 1000, IB-FT GmbH)에 직경 2.5 cm으로 절단 된 원형 시료를 porewick (16.0 dynes/cm) 용액에 30 분간 함침 후 질소가스(99.99%)를 이용하여 wet down/dry down 방식으로 분석하여 평균 기공 크기(average pore size)를 측정하였다. 기공도(porosity)는 시료를 40 mm × 40 mm 크기로 준비하고 건조 상태의 무게와 digital thickness gauge (ABS Digimatic Thickness Gauge, Mitutoyo Corp.)로 두께를 측정하여 부피를 계산하였 다. 그 후, 시료를 n-butanol에 1시간 동안 함침 후 꺼내 어 수직으로 세운 유리판에 시료의 양 면을 각각 30초 간 붙여 n-butanol을 흘려보낸 후 젖은 상태의 무게를 측정하여 식 (1)로 porosity를 계산하였다.
기계적특성은 20 mm × 80 mm 크기로 준비한 시료 를 만능인장시험기(Tensometer 2020, Myungji tech)의 클램프에 상·하단 각각 10 mm 샘플을 고정시키고, 절 단도(cut off level) 100%, 측정 속도 500 mm/min 조건 에서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측정하였다.
2.4. 유수 에멀션 분리성능 측정
유수 에멀션 분리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2 종류의 oil-in-water 에멀션과 1 종류의 water-in-oil 에멀션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최적화된 유수 에멀션의 조성비 를 확보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의 함량 및 시간에 따른 분산안정성을 조사하였다[20,29,30]. 준비한 용액을 1,000 rpm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에멀션을 제조하 고 12시간 뒤 관찰하여 분산안정성을 확인하였으며 최 적화된 유수 에멀션의 비율을 Table 3에 나타내었다.
분리막의 유수분리 실험은 소수성인 PK-H와 친수성 인 rPK-LNC을 이용하여 dead-end mode로 진행하였다 (Fig. 1). 11.34 cm2의 유효 면적을 가지는 분리막을 수 직으로 세운 두 개의 유리관 사이에 위치하고 테플론 테이프를 이용하여 밀봉하였다. 그 후, D. I. water 또는 준비한 에멀션을 위쪽 유리관에 부어 용액의 높이가 10 cm(약 0.01 bar)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모든 분리 실험 은 상온에서 진행하였으며 인공적인 가압을 하지 않고 오직 중력압(수압)에서 총 10분간 분리를 진행하였다.
분리 전과 후의 에멀션의 오일 함량은 총 유기탄소 분석기(TOC; total organic carbon analyzer, TOC-L, Shimadzu)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총 탄소(TC; total carbon)에서 무기탄소(IC; inorganic carbon)를 제외한 총 유기탄소를 구하였다. 또한 제거 특성을 보충하기 위해 탁도계(HI83414, HANNA instrument)를 이용하여 분리 전과 후 용액의 탁도(turbidity)를 측정하였다.
3. 결 과
3.1. 구조 및 표면 분석
SEM 이미지를 통해 전기방사법으로 제조한 폴리케 톤 마이크로 및 나노섬유 분리막의 표면 및 섬유 직경 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2에 나타내었다. 낮은 습도(30% 이하)에서 제조한 PK-L [Fig. 2(a)]와 달리 높은 습도(70% 이상)에서 제조한 PK-H [Fig. 2(b)]는 섬유 표면이 거칠게 형성된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tip을 통해 섬유 형상으로 수집기로 방사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용매 함량이 높은 부분(solvent rich regions)이 물 입자와 접촉하여 비용매 기상 전이 (non-solvent vapor-induced phase separation)가 일어남 에 따라 거친 섬유 표면이 형성된 것으로 예상된다.
Fig. 2(c)와 (d)는 PK-LNC와 환원을 진행한 rPK-LNC 을 나타내었다. 염을 첨가 후 PK-H와 PK-L과 동일한 방사조건에서 비드(bead)가 형성되고 섬유의 수집량이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인가전압과 tip size를 조 절하여 최적의 방사조건을 확립하였다(Table 1). 염을 첨가한 후 섬유의 직경이 약 2,990 nm (PK-L)에서 약 271 nm (PK-LNC)로 90.0%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용액에 인가되는 전압이 PK-L보다 증가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표면장력이 빠르게 깨져 섬유 형성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직경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기공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공 크기와 기공도를 측 정하여 Fig. 3에 나타내었다. Fig. 2 (a)와 (b)에서 PK-H와 PK-L은 유사한 섬유 직경을 가지나 PK-H가 PK-L보다 기공크기가 50% 감소하였으며 기공도 또한 PK-H (61.1%)가 PK-L (82.2%)보다 25% 감소한 것으 로 확인되었다. 이는 PK-H의 거친 섬유 표면[Fig. 2(b)] 이 마치 기어처럼 서로 맞물리게 되어 기공 크기와 기 공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나노 직경을 가지 는 PK-LNC를 환원시킨 rPK-LNC는 표면처리를 하였 으나 두께(PK-LNC: 58 um, rPK-LNC: 57 um)와 기공 도(PK-LNC: 82.6%, rPK-LNC: 81.7%)의 큰 변화는 없 으나 기공 크기(PK-LNC: 0.192 um, rPK-LNC: 0.213 um)가 소폭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Fig. 2(c), (d)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환원으로 인해 섬유의 직경 이 소폭 증가하였고, 환원 후 분리막에 미세한 swelling 이 발생하여 layer와 layer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기 공 크기가 증가한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현상은 환 원 시간을 더 연장할 경우(30초에서 3분) 분리막의 swelling이 명확해지고, layer의 분리를 더욱 뚜렷하게 볼 수 있었으나, 기공크기와의 관계는 더 자세히 연구 되어야 할 부분이다.
3.2. 기계적 특성 분석
폴리케톤 분리막의 기계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인 장강도와 연신율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PK-LNC는 PK-L과 PK-H보다 인장강도는 우 수하였으나 연신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K-L과 PK-H의 섬유 직경이 PK-LNC보다 굵기 때문 에 연신이 잘 일어나지만, 인장강도의 경우 상대적으로 섬유 밀집도가 낮아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환원을 진행한 rPK-LNC의 경우 Fig. 2(c), (d)에서 섬유의 형 상 변화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PK-LNC보다 인장강도와 연신율이 약 20%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기 공크기 변화와 같이 환원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swelling 현상이 섬유 표면에 손상을 가하게 되고, 섬유 사이 및 layer와 layer 사이에서 결합을 약화시키는 변 화가 있었을 것이라 예상된다. PK-H의 인장강도의 경 우 비슷한 섬유 굵기를 가지는 PK-L보다 400% 우수한 강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Fig. 2(b)에서 PK-H가 섬유표 면의 맞물림 현상으로 인해 PK-L보다 상대적으로 섬유 간의 결합이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3.3. 폴리케톤 분리막의 유수분리 실험
유수분리 실험은 마이크로 직경을 가지는 PK-H와 수 백나노 직경을 가지는 rPK-LNC의 분리막의 표면 특성 을 고려하여 진행하였다[31]. 환원처리를 통해 초 친수 성을 띄는 rPK-LNC의 유수 에멀션 분리 능력을 알아 보기 위하여 toluene-in-water, soybean oil-in-water 분 리를 진행하였으며, Fig. 5와 Fig. 6에 나타내었다. Fig. 5에서 분리 전 용액(feed solution)은 불투명하였으나 분리 후 용액(filtrated solution)은 투명하게 변한 것을 통해 계면활성제로 분산되어 있던 기름성분이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6은 정량적 분석을 위해 분리 전과 후 용액의 TOC와 turbidity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TOC의 경우 toluene-in-water는 90.6%, soybean oil-in-water는 81.1%의 제거율이 확인되었고, turbidity의 경우 toluenein- water 96.9%, soybean oil-in-water 99.9%로 TOC 결 과와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OC는 수용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총 유기탄소를 분 석하는 방법으로 oil뿐만 아니라 잔여하는 계면활성제 도 분석되지만 turbidity는 에멀션화 되어있는 oil 입자 의 수에 의해 결정됨으로 TOC보다 제거율이 높게 분 석된 것으로 판단된다.
PK-H 분리막은 환원처리를 진행하지 않아 소수성을 나타내므로 water-in-toluene 분리를 진행하였으며 용액 관찰결과와 turbidity를 이용한 제거율을 Fig. 7에 나타 내었다. Fig. 7(a)에서 water-in-toluene도 toluene-in-water [Fig. 5(a)]와 동일하게 안정적으로 에멀션화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필터 후 분리 전 용액이 투명하게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urbidity를 이용하여 제거율을 측정한 결과 96%의 제거율을 보여줌으로써 마 이크로 섬유를 이용한 오일 내 물의 분리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전기방사법 조건에 따라 폴리케톤 마 이크로섬유 분리막과 나노섬유 분리막을 제조하였으며, 특성 평가를 통해 유수 에멀션 처리용 분리막으로의 활 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저습도 환경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섬유(PK-L)는 매끈 한 섬유 표면이 형성된 반면, 고습도 환경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섬유(PK-H)는 거친 섬유 표면이 형성되었다. PK-H의 거친 섬유 표면으로 인해 PK-L과 다른 기계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노섬유 분리막(PK-LNC)의 SEM 결과에서 섬유의 굵기가 마이크로 섬유에 비해 약 10분의 1 크기로 감소하였다. PK-LNC의 기공크기 는 PK-L이나 PK-H 보다 작았으나, 기공도는 PK-L과 유사하였으며 환원 후에도 기공도의 80% 이상이 유지 되었다.
유수 에멀션 처리용 분리막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 인하기 유수 에멀션을 제조하고 dead-end mode로 중력 하에서 분리 실험을 진행하였다. 환원을 통해 친수성인 rPK-LNC는 oil-in-water 분리에서 TOC 제거율이 최소 81%에서 최대 90.6%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turbidity 또한 90% 이상 감소하였다. 소수성인 PK-H의 water-in-oil 분리에서도 turbidity가 95% 이상 감소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비용매 유도 상분리법으로 국한되어 있 던 기존 폴리케톤 분리막의 제조법을 전기방사법으로 확장하였고 유수 에멀션 분리막으로써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폴리케톤 섬유를 기반 으로 한 분리막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 이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