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고 화석연료 사용 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면서 신재생 에너지가 미래의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신재생 에너지 는 기후 환경에 따라 출력 변동이 큰 단점을 가지고 있 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생산한 후 소비되지 않은 전 력을 저장하였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함으로써 전 력 사용 효율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 (energy storage system, ESS)가 필요하다[1-4]. ESS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의 핵심 구성 요소로 장기간 활용이 가능하고 운영 기간 동안 내구성 및 높은 에너 지 효율을 가지는 다양한 방식의 2차 전지가 주로 사용 되고 있다[5,6]. 리튬 이온 전지, 납 축전지, NaS 전지 그리고 레독스 흐름 전지(redox flow battery, RFB) 등 이 대용량 에너지 저장에 효율적인 2차 전지이다. 이 중 RFB는 가용성과 에너지 효율이 다른 경쟁 기술보다 높고 요구되는 자본 비용이 낮다. 또한, 독성이 낮으면 서도 수명이 길어 현재 2차 전지 시스템 중 가장 경쟁 력 있는 기술이다. 특히, RFB는 상온에서 작동하며 전 지의 출력과 용량을 서로 독립적으로 설계할 수 있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7-9].
한편 전해액 내의 활물질(active electrode material)이 산화-환원되어 충⋅방전되는 시스템인 RFB는 전해질에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을 용해시킨 후 외부 탱크에 각각 저장하고 필요 시 펌프를 이용하여 장치에 순환시키며 전기 에너지의 충전 및 방전을 일으킨다.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의 독립적인 저장으로 전해질 용액의 cross-over 를 방지할 수 있으며 수계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RFB의 활물질로 iron/ chromium, iron/titanium, all vanadium, vanadium/bromine, polysulfide bromine, zinc/bromine, zinc/cerium 등 다양 한 전위를 갖는 레독스 쌍을 선택할 수 있다[10,11]. Iron/chromium 쌍과 같이 음극과 양극에 서로 다른 레 독스 쌍을 가지는 경우에는 각 물질이 가지는 반응 속 도가 다르므로 멤브레인을 통한 전해질의 cross-over 현 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활물질의 cross-over는 자가 방 전(self-discharge)을 일으켜 RFB의 성능을 제한하므로 음극 및 양극 모두에서 동일한 물질을 레독스 쌍으로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12,13]. 그 대표적인 예가 양극과 음극 모두 바나듐 전해액을 사용하는 전 바나듐 흐름 전지(all-vanadium flow battery, VRFB)이다. VRFB 는 뛰어난 에너지 효율과 긴 수명, 높은 가격 경쟁력 등의 여러 장점을 가진다. Fig. 1에 VRFB 시스템의 구 조 및 충⋅방전 원리를 나타내었다.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고 화석연료 사 용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면서 신재생 에너지 가 미래의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신재생 에 너지는 기후 환경에 따라 출력 변동이 큰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생산한 후 소비되지 않은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함으로써 전력 사용 효율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장 치(energy storage system, ESS)가 필요하다[1-4]. ESS 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의 핵심 구성 요소로 장기 간 활용이 가능하고 운영 기간 동안 내구성 및 높은 에 너지 효율을 가지는 다양한 방식의 2차 전지가 주로 사 용되고 있다[5,6]. 리튬 이온 전지, 납 축전지, NaS 전 지 그리고 레독스 흐름 전지(redox flow battery, RFB) 등이 대용량 에너지 저장에 효율적인 2차 전지이다. 이 중 RFB는 가용성과 에너지 효율이 다른 경쟁 기술보다 높고 요구되는 자본 비용이 낮다. 또한, 독성이 낮으면 서도 수명이 길어 현재 2차 전지 시스템 중 가장 경쟁 력 있는 기술이다. 특히, RFB는 상온에서 작동하며 전 지의 출력과 용량을 서로 독립적으로 설계할 수 있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7-9].
한편 전해액 내의 활물질(active electrode material)이 산화-환원되어 충⋅방전되는 시스템인 RFB는 전해질에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을 용해시킨 후 외부 탱크에 각각 저장하고 필요 시 펌프를 이용하여 장치에 순환시키며 전기 에너지의 충전 및 방전을 일으킨다.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의 독립적인 저장으로 전해질 용액의 cross-over 를 방지할 수 있으며 수계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RFB의 활물질로 iron/ chromium, iron/titanium, all vanadium, vanadium/bromine, polysulfide bromine, zinc/bromine, zinc/cerium 등 다양 한 전위를 갖는 레독스 쌍을 선택할 수 있다[10,11]. Iron/chromium 쌍과 같이 음극과 양극에 서로 다른 레 독스 쌍을 가지는 경우에는 각 물질이 가지는 반응 속 도가 다르므로 멤브레인을 통한 전해질의 cross-over 현 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활물질의 cross-over는 자가 방 전(self-discharge)을 일으켜 RFB의 성능을 제한하므로 음극 및 양극 모두에서 동일한 물질을 레독스 쌍으로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12,13]. 그 대표적인 예가 양극과 음극 모두 바나듐 전해액을 사용하는 전 바나듐 흐름 전지(all-vanadium flow battery, VRFB)이다. VRFB 는 뛰어난 에너지 효율과 긴 수명, 높은 가격 경쟁력 등의 여러 장점을 가진다. Fig. 1에 VRFB 시스템의 구 조 및 충⋅방전 원리를 나타내었다.
한편 멤브레인은 모든 RFB 시스템의 충⋅방전 성능 및 수명 등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레 독스 쌍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RFB에서는 양극과 음 극의 전해액의 혼합을 방지하고 이온 전도체의 역할을 하는 이온교환막이 주로 사용된다[14]. RFB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온교환막은 낮은 전기적 저항, 특정 이온에 대한 높은 선택 투과성, 용매에 대한 낮은 확산계수, 안 정한 화학적 및 열적 안정성이 요구되며, RFB의 경제성 을 좌우하는 요소이므로 가격이 저렴해야 한다[15]. 강산 성 조건에서 구동되는 VRFB 시스템의 특성을 함께 고 려할 때 이온교환막은 또한, 내산성, 내산화성이 높아야 하고 바나듐 양이온 대비 수소 이온에 대한 선택 투과성 이 우수해야 한다[16,17]. 이러한 관점에서 과불소계 양 이온교환막인 Nafion이 VRFB의 분리막으로 널리 사용 되고 있으나 고가이며 바나듐 이온의 cross-over가 발 생한다는 측면에서 대체 멤브레인의 개발이 요구된다. Nafion 막의 cross-over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최근 음이온교환막의 사용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18,19], 비싼 막 비용을 낮추기 위해 탄화수소계 이온교환막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탄화수소계 이온교환막의 경우 우수한 전지 효율에도 불구하고 보다 낮은 화학적 안정 성으로 인해 시스템에 적용하기 어려워 이에 대한 연구 가 시급한 상황이다[20-23]. 또한,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 시키며 이온교환막의 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부분 적으로 불소화된 이온교환막이 고려될 수 있다[24].
일반적인 상용 이온교환막의 경우 보강재(reinforcing fabric net)에 모노머와 rubber를 혼합한 paste를 침투시 켜 중합한 후 아민화 또는 술폰화 반응으로 이온 교환 기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제조하므로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높아진다. 한편 저렴한 다공성 고분자 지지 체에 이오노머를 충진하는 방식의 세공충진 이온교환막 은 얇은 막 두께로 인해 저항이 낮으며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물리적 강도가 강하여 다양한 에너지 전환 기술 및 수처리 공정에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25-27]. 균질막과 불균질막의 중간적인 형태인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은 저 렴한 지지체의 사용과 원료 사용량의 감소로 인해 제조 단가를 낮추면서도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지지체를 사용하여 모노머 혼합액을 함침시켜 막을 제조하는 세공충진 방법으로 VRFB 시스템에 최적화된 음이온교환막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얇은 막 두께와 동시에 우수한 화학적 및 물리 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다공성 PTFE 지지체를 사용 함으로써 전기적 저항이 낮고 화학적 및 물리적 안정성 이 우수하며 생산단가가 저렴한 이온교환막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특히, 친수도가 다른 두 종 류의 PTFE 지지체를 함께 검토함으로써 지지체의 특성 이 막의 물성 및 VRFB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 고자 하였다. 또한, 주 단량체인 4-vinylbenzyl chloride (VBC)와 styrene (Sty)에 열 개시제인 benzoyl peroxide (BPO)와 가교제인 divinylbenzene (DVB)를 지지체의 세공에 충진하고 in-situ 라디칼 중합을 통해 기저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기저막은 이후 quaternization 후처리 를 통해 음이온교환막으로 제조되었다. 또한, 상기 단량 체 용액에 불소기를 포함한 1H,1H,5H-octafluoropentyl methacrylate (OFPMA) 단량체를 혼합하여 부분 불소기 를 포함한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OFPMA 는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표면 코팅에 널리 사용되는 화학적으로 견고한 불소 단량체이며, 낮은 Tg와 낮은 표면 에너지를 특징으로 한다[28-31]. 부분적인 불소기 의 도입은 VRFB의 강한 산도 및 산화조건에서 효과적 으로 이온교환막의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Fig. 2에 본 연구에서 제조한 음이 온교환 고분자의 합성 과정을 도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는 특히 불소기의 함량이 막의 특성 및 VRFB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조사하였다.
2. 실험 방법
2.1. 소재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의 제조를 위해 다공성 PTFE 필름(T020A142C; H020A142C) 2종을 Advantec MFS사 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사용된 다공성 PTFE 지지 체의 기본 사양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세공충진 이오 노머를 구성하는 주 단량체로 VBC 및 Sty를 사용하였 으며 열중합 개시제로는 BPO, 가교제로는 DVB를 사용 하였다. 기저막의 quaternization 후처리를 위해 trimethylamine (TMA)를 사용하였다. 불소부를 포함하는 단량체 로 OFPMA를 TCI사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OFPMA를 제외한 모든 시약은 Sigma-Aldrich 사에서 구매하였으며 별도의 정제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다. 또한, 특성 비교를 위한 상용 탄화수소계 막 으로 Astom사의 표준 음이온교환막인 ASE를 사용하였다.
2.2. 강화 음이온교환막 제조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의 제조를 위해 먼저 다공성 PTFE 필름을 단량체 혼합액에 함침하였다. 이때 단량 체 혼합액은 VBC와 OFPMA를 1:2, 1:3, 1:4의 몰 비율 별로 제조하고 가교제 DVB는 20 wt%로 그리고 개시제 인 BPO는 2 wt%를 첨가하여 교반기에서 충분히 혼합 시켰다. 자세한 단량체 혼합액의 조성은 Table 2에 정리 되었다. 그 후 이형필름(SG05, Young Tech. Film) 2장 사이에 단량체가 충진된 지지체를 밀착시켰다. 이후 80°C dry oven에서 3시간 동안 라디칼 중합을 실시하였 다. 중합이 완료된 후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제조된 기저 막을 1.0 M TMA 수용액에 침지시켜 60°C dry oven에 서 5시간 동안 quaternization 반응을 진행하였다. 제조 된 이온교환막은 증류수 및 에탄올로 세척 후 0.5 M NaCl에서 보관하였으며 이 후 막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2.3. 이온교환막 특성 평가
이온교환막의 전기적 저항(membrane electrical resistance, MER)은 VRFB 시스템의 내부 저항과 연관되 며 최종적으로 전압 효율을 결정하는 인자이다. 이온교 환막의 전기적 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먼저 이온교환막 시료가 평형 상태에 도달하도록 0.5 M NaCl에 5시간 이상 담가 놓았다. Lab-made clip cell을 이용하여 0.5 M NaCl 용액의 blank 저항(R2)을 측정하고 이후 준비된 시료를 삽입하여 0.5 M NaCl에 침지시켜 막 저항(R1) 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막 저항과 blank 저항을 식 (1) 에 대입하여 전기적 저항을 계산하였다[32].
여기서 A는 clip cell을 구성하는 백금 전극의 유효 면 적이다.
또한, 식 (2)를 통해 앞서 구한 전기적 저항과 막의 두께를 고려하여 막의 이온전도도(σ)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L은 막의 두께이다.
함수율(water uptake, WU)을 측정하기 위해 2 × 2 cm2의 크기의 이온교환막 시료가 평형 상태에 도달하 도록 증류수에 담가 놓았다. 그 후 필터 페이퍼로 시료 표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한 뒤 젖은 상태의 무게 (Wwet)를 측정하고 80°C dry oven에서 6시간 이상 건조 시켰다. 건조된 시료의 무게(Wdry)를 측정한 후 식 (3)에 각각의 값을 대입하여 함수율을 계산하였다.
제조된 막의 이온교환용량(ion-exchange capacity, IEC)을 측정하기 위해 2 × 2 cm2의 크기의 막 시료를 준비하였다. 시료를 0.5 M NaCl 용액에 6시간 이상 담 가 놓아 이온교환기가 Cl-로 치환되어 평형 상태에 도 달하도록 한 뒤 증류수로 여러 차례 세척하고 막 표면 의 수분을 필터 페이퍼로 제거하였다. 그 후 0.25 M Na2SO4 수용액에 3시간 이상 담가 놓아 이온교환기의 Cl-가 SO42-로 치환되도록 하였다. K2CrO4 지시약과 0.01 M AgNO3 수용액을 적정액으로 사용한 은법 적정 을 통해 용액에 존재하는 Cl-의 양을 측정하였다. 최종 적으로 측정값을 식 (4)에 대입하여 시료의 이온교환용 량을 계산하였다.
여기서 V는 용액의 부피이고 C는 적정을 통해 측정 된 이온의 농도이다.
이온교환막의 이온수송수(transport number, for anion) 는 2-compartment diffusion cell에서 한 쌍의 Ag/AgCl 전극을 이용하여 막 전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되었으며 계산식은 식 (5)와 같다[33].
위 식에서 Em은 측정된 막 전위, R은 기체상수, T는 절 대온도, F는 Faraday 상수, 그리고 CL과 CH는 NaCl 용 액의 농도(각각 1 mM과 5 mM)이다.
제조된 이온교환막의 산화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2 × 2 cm2 크기의 시료를 3% H2O2와 3 ppm Fe2+를 함유 하는 수용액(즉, Fenton 시약)에 담근 후 80°C 조건에 서 8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경우 이온교환막 은 Fe2+ 이온의 존재 하에 H2O2에 의해 형성된 자유 라 디칼(·OH 및 ·OOH)에 의해 산화 분해된다[34]. 따라서 0 (fresh), 4, 8시간 동안 반응시킨 각각의 시료를 증류 수로 여러 번 세척한 후 80°C dry oven에서 6시간 이 상 건조시킨 후 무게를 측정하여 시료의 무게 감소를 확인하였다.
바나듐 이온이 막을 교차하는 정도(cross-over)를 판 단하기 위해 2-compartment diffusion cell 실험을 수행 하였다. 먼저 이온교환막 시료가 평형 상태에 도달하도 록 2.0 M H2SO4에 3시간 이상 담가 놓았다. 2.0 M H2SO4를 기반으로 제조한 2.0 M MgSO4과 2.0 M VOSO4 용액을 2-compartment diffusion cell의 각 챔버 에 230 ml씩 채운 후 같은 속도로 교반하였다. 이후 15, 30, 60, 90, 120 분 간격으로 MgSO4 용액을 5 ml 씩 채취하였다. UV-vis spectrophotometer (UV 2600, SHIMADZU)를 이용한 흡광도 측정을 통하여 채취한 시료에 포함된 바나듐 이온의 농도를 알아내었다. 또한, 이 결과로부터 바나듐 이온의 cross-over rate를 나타내 는 총괄 투석 계수(overall dialysis coefficient)를 식 (6) 으로 부터 계산하였다[35].
위 식에서 는 2.0 M VOSO4 용액 중의 바나듐 초기 농도(mol/L), 는 2.0 M MgSO4 용액 중의 바나듐 농도 (mol/L), kV는 두 용액의 부피비, V II는 2.0 M MgSO4 용액의 부피(m3), τ는 시간(s) 그리고 A는 막의 면적 (m2)이다.
2.4. VRFB 성능 평가
VRFB의 충⋅방전 성능 평가는 lab-made RFB unit cell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음극 전해액은 2.0 M V2(SO4)3/2.0 M H2SO4 수용액을 사용하였고 양극 전해 액으로 2.0 M VOSO4/2.0 M H2SO4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전극으로 carbon felt (GF20-3, Nippon Graphite)를 사 용하였으며 전극 및 막의 유효면적은 12.5 cm2이었다. Automatic battery cycler (WBCS 3000, Wonatech)를 이용하여 20 mA/cm2 전류밀도에서 1.9 V까지 충전한 후 0.9 V까지 방전하였다. 충⋅방전 성능 평가를 위한 전 류 효율(coulombic efficiency, CE), 전압 효율(voltage efficiency, VE), 그리고 에너지 효율(energy efficiency, EE)는 각각 다음 식 (7)-(9)를 통해 산출되었다.
3. 결과 및 고찰
먼저 제조된 막 표면의 모폴로지를 확인하기 위해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JSM- 7500F, JEOL Ltd., Japan) 분석을 수행하였다. Fig.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막 제조 후 지지체의 기공이 고분자 로 완전히 채워졌으며 open pore는 없는 것으로 보여졌 다[36]. 또한, 제조된 막의 단면 이미지를 확인한 결과 (Fig. 4) 기공이 완전히 고분자로 충진되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Fig. 5에 다공성 PTFE 지지체 및 제조된 PFAEM의 FT-IR 스펙트라를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모든 PFAEM의 FT-IR 스펙트라에서 1,446, 975, 890, 및 812 cm-1에서 관찰된 흡수 밴드로부터 quaternary ammonium group의 도입을 확인하였다[37-40]. 또한, 1,640 및 1,390 cm-1에 서 발견된 흡수 밴드로부터 aromatic rings의 존재를 확 인하였다[41,42]. 지지체의 종류에 따른 FT-IR 스펙트 라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1,208 및 1,147 cm-1 에서 각각 CF2 symmetrical stretching 및 asymmetrical stretching 흡수 밴드[43]가 관찰되었으나 불소 고분자 인 PTFE 지지체 밴드와의 중첩으로 인해 이온교환 교 분자의 불소부 도입을 FT-IR 스펙트라로부터 직접적으 로 확인할 수는 없었다. 종합적으로 단량체의 세공충진 및 in-situ 라디칼 중합, 그리고 후처리 반응을 통해 PFAEM의 제조가 성공적으로 되었다는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상용막 및 제조된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의 다양한 특 성을 Table 3에 정리하였다. 세공충진막은 VBC, Sty, 그리고 OPFMA를 몰 비율에 따라 제조한 뒤 막의 특 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VBC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상대 적으로 OPFMA의 비율은 감소하여 불소부의 함량은 감소하게 된다. 불소부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VBC에 도 입되는 이온교환기의 양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이온 교환능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친수도에서 큰 차 이를 나타내는 지지체의 종류에 따른 함수율의 차이는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온교환막의 함수율은 세공에 충진된 이오노머의 특성에 의해 결정됨을 확인 시켜주는 결과이다. 또한, 이온교환능의 증가로 인해 이 온교환막의 함수율 및 이온전도도도 증가하고 전기적 저항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전기적 저항은 상용 막에 비해 크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주로 상대적으로 얇은 막 두께에 기인한 결과이다. 소수성 PTFE을 지지체로 사용한(HPho-PFAEM) 경우, 상대적 으로 두껍기 때문에 전기적 저항이 친수성 PTFE 지지체 를 사용한 막(HPhi-PFAEM)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 내었다. 이온교환막의 상대이온에 대한 선택투과도를 나타내는 이온수송수는 검토된 모든 멤브레인들이 > 0.99 이상의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제조된 막 의 기공이 완전히 이오노머로 충진되었음을 간접적으 로 증명하는 결과이다. 지지체의 종류에 따라 제조된 이온교환막의 함수율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Table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접촉각은 어느 정도 차이가 있 음을 알 수 있다. 즉, 사용된 지지체의 친수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제조된 이온교환막의 표면 특성이 지지체 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는 막에서 바나듐 이온의 cross-over나 산화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ig. 6에 펜톤 산화 안정성 평가 실험 중 이온교환막 의 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정리 도시하였다. 실험 결과, 두 가지 지지체 모두 불소부가 가장 많이 함유된 PFAEM-1이 가장 우수한 산화 안정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불소부의 함량이 줄어듦에 따라 산화 분 해에 따른 무게 감소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불소부의 도입으로 인해 산화 안정성이 현저하게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다.
Fig. 7에 탄화수소계 상용막인 ASE (Astom Corp.) 막을 적용한 VRFB의 충⋅방전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총 10회의 사이클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충⋅방전 효 율은 6~10회 사이클의 결과를 평균 내어 산정되었다. 또한, Figs. 8과 9에 본 연구에서 제조한 친수성 PTFE 지지체를 사용한 강화 음이온교환막(HPhi-PFAEM) 및 소수성 PTFE 지지체를 사용한 강화 음이온교환막(HPho- PFAEM)의 VRFB 충⋅방전 결과를 각각 도시하였다. 또한, 충⋅방전 실험을 통해 결정된 전류 효율(CE), 전압 효율(VE), 그리고 에너지 효율(EE)을 Table 5에 정리하여 보고하였다. 실험 결과, 막의 VBC 몰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온교환용량이 증가하고, 전기적 저항은 감소하 여 전압 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41].
결과적으로 두 가지 지지체 모두 불소부 비율이 가장 높은 PFAEM-1이 가장 낮은 전압 효율을 나타내었으나 다른 막들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한편 전류 효율의 경우에는 불소부가 가장 많이 포함된 PFAEM-1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막의 불소부 함량 이 증가함에 따라 함수율 및 친수도가 감소하였고 이로 인해 활물질인 바나듐 양이온의 cross-over가 감소한 결과 로 해석될 수 있다. HPhi-PFAEM과 HPho- PFAEM의 비교에서 HPho-PFAEM의 전류 효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막의 친수성과 연관이 있으며 또한, 두께의 영향도 있는 것으로 사료 된다. 즉, 막의 두께가 2배 크고 소수성이 강한 HPho- PFAEM이 HPhi-PFAEM에 비해 바나듐 양이온의 cross-over를 억제하는 데 유리함을 알 수 있다. Fig. 10 에 2-compartment 확산셀 실험 결과를 도시하였으며 이 로부터 계산된 총괄 투석 계수를 Table 6에 정리하였다. 이 총괄 투석 계수는 바나듐 이온의 cross-over rate와 비례하는 파라미터이다. 가장 두터운 상용막(ASE)가 가장 낮은 총괄 투석 계수 값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얇 고 친수성이 높은 HPhi-PFAEM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상대적으로 두껍고 소수성이 강한 HPho- PFAEM은 상기 두 막 사이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러 한 경향성은 전류 효율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반 면에 막의 전기적 저항과 관련된 전압 효율은 HPhi- PFAEM이 HPho-PFAEM보다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HPhi-PFAEM의 경우 불소부의 함량이 가장 큰 HPhi-PFAEM-1이 가장 우수한 에너지 효율(84.7%)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전류 효율의 경향과 일치하는 결과 이다. 또한, HPho-PFAEM의 경우 전류와 전압 효율의 trade off 관계를 통해 HPhi-PFAEM-2 조건에서 최대 에너지 효율(87.0%)을 나타내었다. 비교를 위해 측정한 상용 탄화수소계 막인 ASE의 에너지 효율은 81.8%로 본 연구에서 제조한 HPhi-PFAEM 및 HPho-PFAEM의 최적 성능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주로 두터운 상용 이온교환막의 상대적으로 큰 전기적 저항 에 기인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VRFB 응용을 위해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다공성 PTFE 필름을 지지체로 사용하 고 불소부를 포함한 이오노머를 세공에 충진하여 두께 가 얇은 강화 음이온교환막을 개발하였다. VBC 및 OFPMA 단량체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막의 전기화학 적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였다. 또한, 친수도가 다른 2가지 지지체를 비교하여 지지체의 특성 이 막의 물성 및 VRFB 성능이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 였다. 제조된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은 얇은 막 두께로 전기적 저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펜톤 시약을 이용한 산화 안정성 평가 결과 PTFE 지지체의 사용 및 불소부의 도입을 통해 산화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막의 불소부 함량이 증가할수 록 이온교환용량의 감소로 막의 전기적 저항이 증가하 고 이로 인해 전압 효율은 낮아졌으나 전류 효율은 증 가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전류 효율의 향상 은 막의 친수도 및 두께와 바나듐 양이온의 cross-over 간의 관계로부터 결정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과적 으로 전류 효율과 전압 효율의 trade off 관계를 통해 상대적으로 막의 친수도가 낮으며 두께가 큰 소수성 PTFE 지지체를 사용한 강화 음이온교환막(HPho-PFAEM, EE = 87.0%)이 친수성 PTFE 지지체를 사용한 막(HPhi- PFAEM, EE = 84.7%)보다 더 우수한 VRFB 충⋅방전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화 안정성의 측면 에서도 소수성 지지체의 사용이 더 바람직함을 본 연구 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