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088(Print)
ISSN : 2288-7253(Online)
Membrane Journal Vol.31 No.1 pp.61-66
DOI : https://doi.org/10.14579/MEMBRANE_JOURNAL.2021.31.1.61

PEBAX-2533/Ag Salt/Al(NO3)3 Composite Using AgCF3SO3 for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Membrane

Soyoung Kim*, Sang Wook Kang*,**
*Department of Chemistry, Sangmyung University, Seoul 03016, Republic of Korea
**Department of Chemistry and Energy Engineering, Sangmyung University, Seoul 03016,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e-mail: swkang@smu.ac.kr, http://orcid.org/0000-0001-7211-4064)
December 21, 2020 ; January 26, 2021 ; January 26, 2021

Abstract


This study was a study on an facilitated transport membrane to replace the cryogenic separation method currently used in olefin/paraffin separation. Cost reduction is also a very important factor to commercialize facilitatedtransport membranes. However, AgBF4, which has been studied a lot, is a relatively expensive silver salt. To replace this, a PEBAX-2533/ AgCF3SO3/Al(NO3)3 composite film was prepared using relatively inexpensive AgCF3SO3. It was analyzed through SEM, FT-IR, and RAMA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ymer matrix affects the long-term stability.



올레핀 촉진수송 분리막용 AgCF3SO3를 활용한 PEBAX-2533/Ag Salt/Al(NO3)3 복합체

김 소 영*, 강 상 욱*,**
*상명대학교 화학과
**상명대학교 화학에너지공학과

초록


본 연구는 현재 올레핀/파라핀 분리에서 사용되는 극저온 분리법을 대체하기 위한 촉진수송 분리막에 대한 연구이 다. 촉진수송 분리 막을 상업화하기 위해서는 비용 절감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AgBF4 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은 염이기 때문에 이를 대체하기 위해 비교적 저렴한 AgCF3SO3를 이용하여 PEBAX-2533/AgCF3SO3/ Al(NO3)3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분리막의 특성은 SEM, FT-IR, RAMAN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고분자 매 트릭스가 장기 안정성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2020R1F1A1048176

    1. 서 론

    석유산업에서 올레핀/파라핀 분리는 매우 중요한 과 정 중 하나이다[1-3]. 현재는 극저온 증류를 올레핀 분 리에 이용하고 있다[4]. 증류공정은 혼합물의 끓는점 차 이를 이용하지만, 올레핀/파라핀의 경우 매우 비슷한 물 리,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분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극저온에서 100번 이상의 증류 과정을 거 쳐야 하며 그로 인해 많은 에너지가 소비된다[5]. 이러 한 과정은 매우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올레핀/파라핀 분 리를 위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중 분리막 방법의 경우 기존 증류법에 비해 분리 비용의 20~30% 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큰 관심을 받고 있다[6-8].

    대표적인 막 분리 방법으로는 은 이온을 이용한 촉진 수송 분리막이 있다. 촉진수송은 운반체를 활용함으로써 분리막에서 발생할 수 있는 trade-off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9]. 은 이온과 올레핀 사이에서는 올레핀의 π-전자가 은 이온 의 빈 s 오비탈로 이동하고 은의 d 오비탈의 전자가 올 레핀으로 back-donation 하면서 가역반응을 하기 때문 에 은 이온과의 착물 형성이 가능하다[10,11]. 반면 은 이온은 포화탄화수소인 파라핀과 착물을 형성할 수 없 어 올레핀 촉진수송의 운반체로 활용이 가능하다[12].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 염으로는 AgBF4가 있으며[13], AgBF4-cellulose acetate 분리막은 에탄/에틸렌, 프로판/ 프로필렌 분리 시험에서 선택도 200 이상으로 매우 높 은 선택도를 보여주었다[14]. 하지만 은 이온의 경우 환원으로 인한 성능 저하가 나타난다. 은 이온이 환원되 면 더 이상 운반체의 역할이 어렵고 은입자가 응집될 경우 interfacial defect이 생길 수도 있다[15]. 이를 해결 하기 위한 방법으로 첨가제인 Al(NO3)3를 사용하는 연 구가 진행되었다[16]. PEO/AgBF4/Al(NO3)3 복합막의 경 우 10일간 선택도 10, 투과도 20 GPU가 유지되었다. 첨 가제뿐만 아니라 이미 환원된 은 나노파티클의 표면 양 극성화시켜 이용한 촉진수송 분리막에 대한 연구도 활 발히 이루어졌다[17,18].

    이러한 은 염을 이용하는 촉진수송 분리막은 은의 높 은 가격으로 인한 상업화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구에 서 자주 사용되는 AgBF4는 다른 은 염에 비해 고가이 며,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보다 비교적 저렴한 AgNO3, AgClO4, AgCF3SO3 등을 사용한 연구도 계속해 서 진행되고 있다. AgClO4를 전구체로 한 PEBAX-5513/ AgNPs/TCNQ 복합체 분리막 연구가 시도되었고, AgNO3 를 이용한 은 나노입자 제조 및 NO3-이온 효과 분석이 이루어졌다[19,20]. AgCF3SO3를 사용한 이전 연구에서는 PVA/AgCF3SO3/Al(NO3)3와 PVP/AgCF3SO3/Al(NO3)3 분 리막이 제조되었으며, 두 복합막의 경우 각 선택도 12와 5가 관찰되었고, 투과도는 0.3과 0.5 GPU가 약 100시 간 이상 유지되었다[21,22]. 이번 연구에서는 저비용 은 염으로서 AgCF3SO3이 사용되었으며 고분자는 고 투과 성 소재로서 공중합체인 PEBAX-2533가 이용되었고, 은 이온의 환원을 방지를 위해 Al(NO3)3이 활용되었다.

    2. 실험방법

    2.1. 재료 및 시약

    이번 실험에서 사용된 고분자 PEBAX-2533는 ARKEMA에서 제공 받았으며, silver trifluoromethanesulfonate (AgCF3SO3, 98%), Aluminium nitrate [Al(NO3)3]는 Sigma-Aldrich사에서 구입하였다. 분리막 지지체로 polysulfone (Toray Chemical Korea Inc.)을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시약은 구매 상태 그대로 사용되었다.

    2.2. 분리막 제조

    PEBAX-2533 고분자를 EtOH : H2O/7 : 3 혼합용매에 녹여 3 wt% 비율로 제조하였다. PEBAX-2533 용액에 AgCF3SO3를 1 : 3 weight ratio로 첨가하고 약 10분간 교반시켰다. AgCF3SO3가 완전히 용해된 PEBAX-2533 용액에 Al(NO3)3를 은 염 대비 1 : 0.4 mole ratio로 첨가 후 교반시켜 주었다. PEBAX-2533/Ag ion/Al(NO3)3은 RK Control Coater (Model 202)을 사용하여 polysulfone 지지체에 코팅되었다. 코팅된 막은 15시간 동안 진공 오 븐에서 건조시켰다.

    2.3 기체 투과 실험

    에탄과 에틸렌(50 : 50 vol. %)의 가스 혼합물을 제조 된 PEBAX-2533/AgCF3SO3/Al(NO3)3 분리막에 투과시 켰다. 가스의 흐름은 mass flow controller (MFC)를 통 해 조절하였으며 투과도는 bubble flow meter 통해 측 정되었다. 선택도는 gas chromatography (GC)를 사용 해 측정되었다. 가스 투과는 GPU [1 GPU = 1 × 10-6 cm3(STP)/(cm2 s cmHg)]로 나타냈다.

    3. 결과 및 고찰

    3.1. 에틸렌/에탄 혼합 가스에 대한 분리막의 성능

    Figs. 12는 에틸렌/에탄 혼합 가스에 대한 분리막의 선택도와 투과도 성능을 보여준다. 이번 연구에서는 초 기 성능이 가장 좋았던 PEBAX-2533/Ag ion 1/3 weight ratio와 Ag ion/Al(NO3)3 1/0.4 mole ratio의 막으로 진 행되었다. 이전 AgCF3SO3가 사용된 연구인 PVA/ AgCF3SO3/Al(NO3)3와 PVP/AgCF3SO3/Al(NO3)3 분리 막들의 경우 각각 선택도 10, 투과도 0.3 GPU와 선택도 5, 투과도 0.5 GPU로 100시간 이상의 장시간 안정성이 유지되었다. 하지만 PEBAX-2533/Ag ion/Al(NO3)3 복 합막의 초기 선택도는 약 5로 측정되었지만 35시간 안 에 선택도 1.6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막 내 부의 은 이온이 환원되면서 선택도 감소가 나타난 것으 로 생각되었다. 투과도의 경우 초기 약 0.5 GPU가 나 타났지만 25시간 이후로 급격히 상승하여 35시간 후 16.8 GPU까지 증가하였다. 25시간 이후로 급격한 투과 도의 증가가 나타났다. 이는 환원된 은입자들이 응집되 고 응집된 입자들에 의해 막 표면에 interfacial defect 생 기게 되면서 올레핀뿐 아니라 파라핀도 함께 커진 pore 로 투과되면서 급격히 증가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3.2. SEM 분석

    Fig. 3은 neat polysulfone의 구조와 polysulfone 지지 체 위에 코팅 된 PEBAX-2533/Ag ion/Al(NO3)3 복합막 의 단면을 나타낸다. 복합막의 선택층은 약 2.5 μm로 확 인되었으며 용액이 균일하게 코팅되어 polysulfone 지 지체 위에서 selective layer가 일정한 두께를 보이는 것 으로 관찰되었다.

    3.3 FT-IR 분석

    PEBAX-2533의 작용기와 은 염, Al(NO3)3 사이의 상호 작용과 그 변화에 대해 관찰하기 위해 FT-IR를 측정하 였다. PEBAX-2533/Ag ion 1/3 weight ratio로 고정하 였고, Ag ion/Al(NO3)3 1/0.4 mole ratio로 고정된 막을 분석하였다. Neat PEBAX-2533의 ether기와 carbonyl기 는 각각 1030과 1635 cm-1에서 피크가 나타났다. 여기에 AgCF3SO3를 첨가했을 때 1020과 1610 cm-1으로 ether 기와 carbonyl의 streching band가 각각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Ag 이온에 의해 작용기의 산소로부터 전자를 제공해 주면서 상호작용이 발생해 결합의 세기 가 약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Al(NO3)3을 첨가 후에는 1026과 1618 cm-1으로 stretching band가 다시 강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 연구인 PVA/AgCF3SO3/ Al(NO3)3와 PVP/AgCF3SO3/Al(NO3)3 막은 Al(NO3)3를 첨가했을 때 peak의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 서는 변화가 나타났는데 이는 비교적 많은 양의 Al(NO3)3 가 첨가되면서 Al3+와 Ag+ 사이에 상호작용 경쟁이 발생 하고 응집된 Al(NO3)3가 Ag+를 방해하여 C-O와 C=O 결합이 다시 강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Ag 이온이 안정화되지 못하고 더 쉽게 환원될 수 있기 때 문에, long-term 시험에서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한 것으 로 생각되었다.

    3.4. TGA 분석

    PEBAX-2533/Ag ion/Al(NO3)3 막의 열적 안정도를 확 인하기 위하여 TGA 측정이 이루어졌다. Neat PEBAX- 2533의 경우 약 400도에서 한 번의 열분해가 일어나며 높은 열적 안정도를 보여주었다. 이는 고분자 간의 수 소결합으로 인한 현상으로 판단되며, 은 염을 첨가했을 때 Ag 이온이 작용기와 상호작용을 하여 수소결합이 약 해져 가소화되어 결과적으로 열적 안정도가 낮아진 것 을 확인할 수 있다. Al(NO3)3를 첨가했을 때, 응집된 Al(NO3)3가 free volume을 증가시키고 interfacial defect 또한 발생시켜 열적 안정도가 더 감소한 것으로 추측되 었다.

    4. 결 론

    본 연구는 기존에 사용되던 AgBF4보다 저렴한 Ag- CF3SO3를 사용함으로써 촉진수송 분리막의 상업화에 기 여하고 공중합체인 PEBAX-2533을 사용해 선택도 및 투과도 증가를 위해 진행되었다. PEBAX-2533/Ag ion/ Al(NO3)3 복합막은 약 35시간 만에 선택도 1로 감소하 였으며 16 GPU로 급격한 증가를 보여주어 장기간 안 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EM 분석결과 polysulfone 지지체 위에 고르게 코팅되었다. FT-IR 결 과 많은 양의 Al(NO3)3로 인해 뭉쳐진 Al(NO3)3가 Ag 이온의 작용기 간의 상호작용을 방해해 Ag 이온의 환 원을 방지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GA 분석 결 과 또한 Ag 이온과의 상호작용으로 분자 간 수소결합이 깨져 가소화 현상이 나타났으며 Al(NO3)3로 인한 free volume의 증가와 interfacial defect로 열적안정도가 더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전 연구인 PVA/AgCF3SO3/ Al(NO3)3와 PVP/AgCF3SO3/Al(NO3)3 막은 장기안정성 이 유지된 반면 PEBAX-2533/Ag ion/Al(NO3)3 막의 경 우 초기 성능을 기준으로 장기안정성 유지가 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고분자/은 염/알루미늄염 복합 체 분리막에서 장시간 안정성을 위해서는 고분자매트릭 스의 작용기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판단되었다.

    감 사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2020R1F1A1048176)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Figures

    MEMBRANE_JOURNAL-31-1-61_F1.gif

    Mixed gas (ethylene/ethane) selectivities of PEBAX- 2533/Ag ion/Al(NO3)3 composite membranes.

    MEMBRANE_JOURNAL-31-1-61_F2.gif

    Mixed gas (ethylene/ethane) permeance of PEBAX- 2533/Ag ion/Al(NO3)3 composite membranes.

    MEMBRANE_JOURNAL-31-1-61_F3.gi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s of (a) neat polysulfone support and (b) PEBAX-2533/Ag ion/Al (NO3)3 composite membranes coated onto polysulfone.

    MEMBRANE_JOURNAL-31-1-61_F4.gif

    FT-IR spectra of neat PEBAX-2533, PEBAX-2533/ Ag ion, and PEBAX-2533/Ag ion/Al(NO3)3 composite membrane.

    MEMBRANE_JOURNAL-31-1-61_F5.gif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of neat PEBAX- 2533, PEBAX-2533/Ag ion, and PEBAX-2533/Ag ion/ Al(NO3)3 composite membrane.

    Tables

    References

    1. J. P. Jung, C. H. Park, J. H. Lee, J. T. Park, J. Kim, and J. H. Kim,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through membranes consisting of partially polarized silver nanoparticles and PEMA-g-PPG graft copolymer”, J. Membr. Sci., 548, 149 (2018).
    2. S. Jeong, H. Sohn, and S. W. Kang, “Highly permeable PEBAX-1657 membranes to have long-term stability for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Chem. Eng. J., 333, 276 (2018).
    3. H. Nan, C. Zhang, A. Venkatesh, A. J. Rossini, and J. L. Anderson, “Argentation gas chromatography revisited: Separation of light olefin/paraffin mixtures using silver-based ionic liquid stationary phases”, J. Chromatogr. A, 1523, 316 (2017).
    4. A. C. C. Campos, R. A. dos Reis, A. Ortiz, D. Gorri, and I. Ortiz, “A perspective of solutions for membrane instabilities in olefin/paraffin separations: A review”, Ind. Eng. Chem. Res., 57(31), 10071 (2018).
    5. B. Jiang, H. Dou, B. Wang, Y. Sun, Z. Huang, H. Bi, L. Zhang, and H. Yang, “Silver-based deep eutectic solvents as separation media: Supported liquid membranes for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ACS Sustain. Chem. Eng., 5(8), 6873 (2017).
    6. K. Solvik, J. A. Weaver, A. M. Brockway, and J. Schrier, “Entropy-driven molecular separations in 2D-nanoporous materials, with application to high-performance paraffin/olefin membrane separations”, J. Phys. Chem. C, 117(33), 17050 (2013).
    7. W. Qiu, L. Xu, Z. Liu, Y. Liu, P. Arab, M. Brayden, M. Martinez, J. Liu, A. Roy, and W. J. Koros, “Surprising olefin/paraffin separation performance recovery of highly aged carbon molecular sieve hollow fiber membranes by a super-hyperaging treatment”, J. Membr. Sci., 620, 118701 (2020).
    8. J. Hou, P. Liu, M. Jiang, L. Yu, L. Li, and Z. Tang, “Olefin/paraffin separation through membranes: From mechanisms to critical materials”, J. Mater. Chem. A, 7(41), 23489 (2019).
    9. M. Sakai, Y. Sasaki, T. Tomono, M. Seshimo, and M. Matsukata, “Olefin selective Ag-exchanged Xtype zeolite membrane for propylene/propane and ethylene/ethane separation”, ACS Appl. Mater. Interfaces, 11(4), 4145 (2019).
    10. D. J. Safarik and R. B. Eldridge, “Olefin/paraffin separations by reactive absorption: A review”, Ind. Eng. Chem. Res., 37(7), 2571 (1998).
    11. L. C. Tomé, D. Mecerreyes, C. S. Freire, L. P. N. Rebelo, and I. M. Marrucho, “Polymeric ionic liquid membranes containing IL-Ag for ethylene/ethane separation via olefin-facilitated transport”, J. Mater. Chem. A, 2(16), 5631 (2014).
    12. S. J. Kim, J. P. Jung, C. H. Park, and J. H. Kim, “Olefin separation membranes based on PEO/ PDMS-g-POEM blends containing AgBF4/Al(NO3)3 mixed salts”, Membr. J., 25(6), 496 (2015).
    13. R. Zarca, A. C. C. Campos, A. Ortiz, D. Gorri, and I. Ortiz, “Comprehensive study on PVDF-HFP/ BMImBF4/AgBF4 membranes for propylene purification”, J. Membr. Sci., 572, 255 (2019).
    14. J. H. Ryu, H. Lee, Y. J. Kim, Y. S. Kang, and H. S. Kim,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by reversible olefin coordination to silver ions in a dry cellulose acetate membrane”, Chem. Eur. J., 7(7), 1525 (2001).
    15. S. Y. Kim, Y. Cho, and S. W. Kang,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BAX-5513/AgBF4/BMImBF4 membranes for olefin/paraffin separation”, Polymers, 12(7), 1550 (2020).
    16. D. Song, Y. S. Kang, and S. W. Kang, “Highly permeable and stabilized olefin transport membranes based on a poly(ethylene oxide) matrix and Al(NO3)3”, J. Membr. Sci., 474, 273 (2015).
    17. I. S. Chae, S. W. Kang, and Y. S. Kang, “Olefin separation via charge transfer and dipole formation at the silver nanoparticle-tetracyanoquinoid interface”, RSC Adv., 4(57), 30156 (2014).
    18. T. C. Merkel, R. Blanc, I. Ciobanu, B. Firat, A. Suwarlim, and J. Zeid, “Silver salt facilitated transport membranes for olefin/paraffin separations: Carrier instability and a novel regeneration method”, J. Membr. Sci., 447, 177 (2013).
    19. S. W. Kang, “Fabrication of poly (ethylene oxide)/ Ag nanoparticles/p-benzoquinone composite membrane using AgNO3 precursor for olefin/paraffin separation”, Membr. J., 28(4), 260 (2018).
    20. S. Kim and S. W. Kang, “Preparation of PEBAX- 5513/Ag nanoparticles/7,7,8,8-tetracyanoquinodimethane composites for olefin separation and analysis of anions”, Membr. J., 29(5), 246 (2019).
    21. Y. S. Park, Y. S. Kang, and S. W. Kang, “Cost-effective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membranes consisting of polymer/AgCF3SO3/Al(NO3)3 with long-term stability”, J. Membr. Sci., 495, 61 (2015).
    22. Y. S. Park and S. W. Kang, “Study on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phenomena of poly(vinyl alcohol)/ AgCF3SO3/Al(NO3)3 electrolyte”, Membr. J., 26(1), 32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