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물과 에너지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 며, 에너지 효율적인 폐수 처리 공정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1]. 혐기성 폐수 처리 공정은 미생물을 이용 해 오염물을 분해하는 방법으로 부산물로서 바이오가 스를 생산하고, 에너지 자원 회수 가능성, 낮은 가동 비 용, 유용한 부산물 생성 등의 장점을 가져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2]. 하지만, 생산되는 CH4 중 45%에 달하는 양이 혐기성 처리수에 녹아서 배출되며, 저온 공정의 경우 더 많은 양이 녹아서 배출된다[3,4]. 이러한 바이 오가스는 중요한 에너지 자원이자 환경오염을 일으키 는 온실가스이므로 이를 회수하는 방법의 개발이 반드 시 필요하다.
기존의 탈기 기반 폐수 처리 방법들은 기체/액체상이 접촉해 있어 한정된 물질 이동면적과 flooding 등의 문 제점을 갖고 있다[5]. 반면에, 막접촉기(membrane contactor) 는 기체/액체상을 막으로 분리해 운전하면서 폐 수 속에 있는 바이오가스를 회수하는 기술로, 높은 물 질 전달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 하여 바이오가스 회수에 매우 적합하다[6-10]. 또한, 막 접촉기는 종래의 탈기 장치와 비슷한 CH4 회수율을 가 지면서도 높은 부피당 물질 전달 영역을 갖고 있어 스 케일 업 용이성을 가지며 고효율, 저비용으로 운전이 가능하다[11]. 기체/액체 막접촉기의 핵심 요소는 두 상 을 분리하는 막의 표면의 소수성인데, 그 이유는 낮은 소수성을 갖는 대부분의 고분자 막은 액체상이 기공으 로 침투하는 현상인 습윤(pore wetting)이 일어나 물질 전달 계수의 감소가 일어나기 때문이다[12].
중공사막의 습윤을 제어하기 위해서 여러 방법으로 막 표면에 소수성을 도입하였는데, 대표적으로 소수성 을 갖는 실란(silane) 커플링이나[13], 소수성 고분자인 polydimethylsiloxane으로 코팅하는 방법들이 있다[14]. 그중 하나인 무기 나노 입자를 이용한 막 표면의 불화 (fluorination)는 효율적인 소수성 도입 방법으로 제시되 었는데, 대표적으로 TiO2[15]와 SiO2[16,17]를 막 표면 에 코팅한 뒤 불화 나노 입자로 전환하는 연구가 진행 되었다. 본 연구진도 이런 방법을 적용하여 중공사막을 성공적으로 개질한 바 있다[17].
본 연구에서는 상용 polyetherimide (PEI) Ultem®으 로 제조한 중공사막에 불화 실리카로 표면 소수성을 향 상시킨 후에 중공사막 접촉기의 바이오가스의 회수 성 능을 연구하였다. 불화 실리카 코팅을 통해 표면 소수 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했으며, 중공사막 표면과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주사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사진을 통해 비교하 였다. 복합 중공사막 모듈의 CH4, CO2 투과 성능은 상 용막과 비교 평가했다.
2. 실 험
2.1. 재료 및 시약
중공사막 소재로 사용된 Ultem®1000은 GE에서 구매 하였고, N-methyl-2-pyrrolidone (NMP, > 99.5%, Merck), lithium chloride (LiCl, anhydrous, Merck), polyethylene glycol (PEG, MW200, Samchun Pure Chemical)과 같이 방사용액 제조에 사용하였다. 중공사 실리카 코팅과 불화 개질에는 (3-aminopropyl) trimethoxysilane (APTMS, 97%, Aldrich),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 99%, Merck), 1H,1H,2H,2H-perfluorodecyltriethoxysilane (PFTS, 97%, Aldrich)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이외 막 세척 및 용매로 2-propanol (IPA, 99.9%), ammonium hydroxide (26% NH3⋅H2O), ethanol and n-hexane (96%)을 Merck 에서 구매하여 사용했다. 분리막 성능의 비교평가를 위 해서 상용 폴리프로필렌(PP) 탈기막(Edgecross-ETC; suzhoue edgecrosss membrane technology)을 구매하였 다. 상용막은 내경, 외경 그리고 평균 기공 크기가 각각 58 μm, 296 μm, 61 nm이다.
2.2. 중공사막 제조와 표면 개질
중공사막은 두 가지 타입으로 제조되었는데 Table 1에 그 조성을 표기하였다. Ultem®과 LiCl은 사용 전 하루 동안 50°C 진공 오븐에서 건조되었다. 방사용액은 자켓 플라스크에서 고분자, NMP와 첨가제(PEG와 LiCl)를 60°C로 가열하며 단일상이 될 때까지 교반 시켜서 제조 하였고, 하루 동안 상온, 진공에서 탈포과정을 거쳤다. 중공사 막은 Table 2의 조건을 이용해 dry-jet wet 방사 로 제조되었다. 제조된 중공사는 수조에 이틀간 담가서 첨가제와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후 수축 방지를 위해 글 리세롤/물(1 : 1)로 중공사막을 세척하고 상온에서 건조 하였다.
불화 실리카 개질 방법과 표면 합성법은 이전 연구[16] 에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 imide의 개환(ring opening) 반응과 중공사막 표면에 코팅된 실리카 나노 입자를 perfluoroalkylation 시키는 방법을 참조했다. PEI-A, PEI-B 에 불화 실리카가 붙은 복합 중공사막은 PEI-fSiO2-A, PEI-fSiO2-B로 명명하였다.
2.3. 분석 방법 및 장비
중공사막 표면과 단면은 SEM (JSM-7200F JOEL, operation voltage 5kV)로 관찰했으며 건조된 막을 액체 질소로 절단해 백금 코팅된 샘플을 촬영하였다. 순수투 과도(pure water permeability; PWP)는 물질 전달이 가 능한 실제 기공의 비교를 위해 측정했다. 측정은 교차흐 름(cross-flow) 장치를 이용해 1 bar의 압력 하에서 중 공사막의 루멘(lumen) 측으로 초순수를 통과시키며 진 행되었다. 기공 크기는 capillary flow porometer (CFP- 1500A, Porous Material Incorporated)을 이용해 0~500 psi에서 질소 흐름과 압력 강하를 측정해서 계산하였다. 막 공극률은 전체 막 부피 대비 기공 부피를 통해 계산 했으며 이는 이전 연구[16,18]에서 사용된 방법과 같다. 물과의 접촉각은 동적방식으로 tensiometer (DCAT11 Dataphysics)로 측정하였다. Liquid entry pressure of water (LEPw)는 막 기공으로 물이 침투하는데 필요한 최 소압력으로 끝이 막힌(dead-end) 중공사막 모듈로 측정 했다.
2.4. CH4, CO2의 회수 실험
중공사막 접촉기는 내경이 0.68 cm 길이가 16 cm인 Teflon® 튜브로 만들어졌다. 피드 용액은 수돗물에 모델 바이오가스(40 : 60 CO2/CH4)를 포화 용해시켜서 사용 했다. 실험 동안 포화된 피드를 유지하기 위해 바이오가 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했다. 용해된 CH4의 농도는 센서 (Mini-Pro CH4 sensor, Pro-Oceanus)로 모니터링했으며 0~30 mg CH4/L 사이 용액을 측정할 수 있게 보정되었 고 최대 오차는 ± 2%이다. 회수 가스로는 질소가 사용되 었고 부피 유량은 digital bubble meter (Bios DefenderTM 530L)로 기록했다. 투과된 기체의 조성 분석은 가스 크 로마토그래피(490 Micro GC Biogas Analyzer, Agilent Technologies)로 분석되었다(Fig. 1). 막접촉기 시스템에 서 측정한 데이터들은 모두 상온과 정상상태에서의 것 이다. 가스의 회수 유량은 식 (1)으로 계산되었다.
G는 inert gas의 유속(mol/s), AT는 막 외경을 기반해 계산된 물질 전달 영역의 넓이, Vmi는 각 기체의 표준 상태에서의 몰 부피(cm3/mol), Yout와 Yin은 기체상 안에 서 CO2, CH4와 inert gas 사이의 몰 비로 각 기체의 몰 분율(Yi)에 기반한 아래 식 (2)와 (3)으로 계산되었다.
3. 결과 및 고찰
3.1. 다공성 중공사막 제조
바이오가스 회수를 위한 중공사막은 높은 다공성과 동시에 막 접촉기로 작용하기 위한 소수성 표면 특성을 가져야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고분자 소재는 소수성이 충분히 높지 않아 다공성막에서 습윤이 일어나 물질 전 달 저항이 급격히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특 성을 모두 갖추기 위하여 우선 높은 기공도를 갖는 중 공사 지지체를 만들고, 후에 표면을 개질하는 두 단계 의 과정을 거쳐서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불화 실리카 표면 개질 반응에 앞서 다공성 중공사막을 제조해서 표 면과 단면, 물성에 대해 조사했다. Fig. 2는 중공사 표 면과 단면의 SEM 사진이다. LiCl만이 첨가된 PEI-A는 용매-비용매 교환이 즉각적으로 일어나 finger-like macrovoids가 형성되었다[Fig. 2(a)]. 반면, PEG와 LiCl 이 같이 첨가된 PEI-B는 스펀지구조가 많이 생성되었 고 macrovoids가 크게 형성되었다[Fig. 2(b)]. 단면 사진 을 통해 PEG가 첨가된 방사 용액의 점도가 높아져 용 매-비용매 교환 속도를 늦추었기 때문에 finger-like 구 조가 비교적 줄어들고 스펀지구조가 생긴 것을 알 수 있다. 정량적으로 분석된 중공사막 PEI-A와 PEI-B의 특 성은 Table 3에 기재되었다. 이전 연구[17]와 비교했을 때, 비슷한 기공 크기에서 더 큰 순수투과도와 높은 다 공성을 갖는 중공사막이 제조되었다.
3.2. PEI-불화 실리카 복합 중공사막 특성
바이오가스 회수를 위해서는 높은 다공성과 동시에 막 습윤을 피하기 위한 소수성이 높은 분리막이 필요하 다. 막 표면에 불화 실리카를 이용한 소수성 개질 반응 이 성공적으로 일어났는지 보기 위해 SEM 사진 및 소 수성 관련 특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Fig. 3에 나타난 PEI-fSiO2-A와 PEI-fSiO2-B의 표면 SEM 사진을 보면 중공사의 내부와 외부 모두가 성공적으로 개질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외부보다 내부 표면에 더 많은 실리카 나노입자가 코팅되었음을 알 수 있다. PEI-불화 실리카 막의 변화된 특성은 Table 4에 정리되어 있다. PEI-A와 PEI-B 모두 접촉각이 75°에서 120° 이상으로 증가해 불 소화한 그룹이 붙은 실리카에 의해 소수성이 크게 향상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증가된 소수성을 가진 복합 중공 사막은 모두 높은 LEPw를 가져 저압에서는 기공으로 쉽게 물이 침투해 들어올 수 없다. 앞서 PEI-fSiO2-B 막 이 PEI-fSiO2-A 막보다 기공 크기가 작고 접촉각 실험결 과로 확인한 소수성이 높았는데 이는 LEPw가 더 높은 결과와 일관성을 보인다. 반면에 공극률은 스펀지층과 macrovoids가 동시에 생성된 PEI-fSiO2-B가 PEI-fSiO2-A 보다 높았다.
3.3. 막 접촉기의 CH4, CO2의 투과 성능
중공사막 접촉기를 통해 혐기성 공정 폐수로부터 바 이오가스를 회수하는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Fig. 1과 같은 시스템을 사용했다. 이 실험에서 피드 용액은 쉘 (shell)측으로 주입되었고 회수 가스가 루멘(lumen)측으 로 흐르는 역방향 흐름 형태로 모듈을 운전하였다. 이 시스템에서 기체상에서의 유속에 따라 바뀌는 가스/막 경계층은 물질 전달 저항에 영향을 주지 않아 이전 연 구에서도 무시할 수 있는 요소로 보고되었다[17]. Fig. 4a는 기체상에서의 유속은 10 ml/min으로 고정하고, 다 양한 피드 용액 유속 하에서 두 종류의 분리막이 갖는 CH4 회수 유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액상 유속이 증가 할수록 CH4 회수 유량이 증가하는데, 이는 액상/막 사 이의 경계층에 의한 물질 전달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이 다. 막접촉기에서는 액체상에서의 경계층이 물질 전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며 따라서 액체의 유속 증가는 기체의 플럭스 향상에 도움이 된 다. 하지만 실제 운전에서는 높은 액상 유속이 바이오 가스의 회수율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에서 제어가 필요하다. 실험 조건 내에서는 PEI-fSiO2-A 막 이 액상 속도 0.0145 m에서 최대 43%의 회수율을 보 였다. 본 연구는 새로 제조한 분리막의 성능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실제 공정에서 높은 회수율을 달성하기 위 해서는 접촉 시간과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막접촉기가 설 계되어야 한다. 분리막의 성능을 비교해보면, 기공 크기 가 미세하게 크면서 finger-like voids가 많이 생성된 PEI-fSiO2-A 막이 회수 유량이 더 크게 측정되었다. 이 는 막접촉기에서 분리막의 저항을 줄여주기 위해서는 기 공도가 높고 유체의 흐름이 유리한 구조로 분리막을 제 조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Fig. 4b는 모델 혐기성 유출수에서 두 분리막이 CO2의 플럭 스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O2는 CH4보다 높은 용해도 를 갖는 기체로 피드 용액에 더 많이 녹아 있기 때문에, 두 분리막에서의 CO2 회수 유량은 CH4에서 값보다 크 게 측정되었다. 두 분리막의 바이오가스 회수 성능을 이전 연구에서 측정한 상용 폴리프로필렌(PP)막의 CH4 회수 유량과 비교한 결과(Fig. 5), PEI-fSiO2-A 막이 상 용막보다 높은 바이오가스 투과율을 갖는다는 것을 확 인하였다. 이는 바이오가스 회수에 적합하도록 제조된 PEI-불화 실리카 복합막이 우수한 기공도와 높은 소수성 을 특징으로 갖기 때문이다. 다만, 이 연구에서 제조된 분리막은 상용막과 달리 외부에 피드를 공급하여 테스 트하였기 때문에 보다 세부적인 정량적인 비교 평가는 수행하지 못하였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혐기성 처리수에 용해된 CH4를 회수 하기 위한 중공사막과 막접촉기 모듈을 제작했다. 다공 성과 동시에 소수성을 갖는 막을 제작하기 위해, PEI로 제조된 다공성 중공사막 위에 불화 실리카 나노입자를 코팅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결과적으로 복합막은 모델 혐기성 처리수에서 성공적으로 CH4 회수 성능을 보였 고, 높은 소수성을 띄는 표면을 가져 운전 상 문제가 될 수 있는 막 습윤에 대한 내성을 갖추었다. 높은 기공도 를 갖고 유체의 저항이 적은 finger void 구조의 중공사 막에 소수성 표면 특성을 부여하였을 때, 상용 탈기막 보다 성능이 우수한 바이오가스 회수용 분리막을 성공 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