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전 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 원인은 화석 연소의 사용 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꾸 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 특히 고분자 기체 분리막 은 에너지 소비량이 낮고, 산업공정 비용이 적으며 소 재의 다양성과 우수한 분리효율을 보이는 장점을 가지 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열적, 화학적, 기계적 안정 성과 재활용성이 떨어지고 투과도와 선택도가 반대의 경향을 보이는 trade-off 관계를 보이고 있다[2,3].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고분자를 화학적으로 개질시켜 물질의 구조나 성질을 변화시키거나 유기, 무기 물질을 혼입시 켜 개선하려는 등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4-7].
Poly(ether-block-amide) (PEBAX)는 열가소성 탄성 체이며 polyether block과 polyamide block으로 구성되 어 두 영역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는 공중합체이다. PEBAX의 polyether block은 자유부피가 크며 유동성 을 가지고 있고, polyamide block은 우수한 기계적 강 도를 가지고 있어 전기, 스포츠, 자동차 등 여러 분야에 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다[8-11]. 또한 polyether block은 CO2에 친화력이 크며 고무질 특성을 가 지고 있어 기체 투과도가 우수한 반면, polyamide block 은 유리질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기체의 비투과적인 성질 을 가지므로 PEBAX를 소재로 한 기체 분리막은 고무 질 고분자 분리막과 유리질 고분자 분리막이 가지고 있 는 장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2-15]. 그리 고 PEBAX는 polyether block과 polyamide block의 비 율에 따라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특히 polyether block 60 wt%와 polyamide block 40 wt%로 구성된 PEBAX- 1657과 polyether block 80 wt%와 polyamide block 20 wt%로 구성된 PEBAX2533이 주로 고분자 분리막의 소 재로 연구되고 있다. Rahman 등[16]은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로 개질된 polyethylene glycol (PEG)을 함유한 PEBAX1657과 PEBAX2533의 기체 투과 거동 연구에서 30 wt%의 PEG-POSS를 갖는 PEBAX1657과 PEBAX2533의 경우 단일막에 비해 선 택도에 큰 변화 없이 투과도를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Lee 등[17]은 1-propanol/n-butanol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제 조된 PEBAX2533 판형 분리막의 기체 투과거동을 조 사하였으며 CO2 투과도는 130~288 barrer, CO2/N2 선택 도는 5~8로 CO2의 투과선택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산업적으로 고분자 막이 상용화되기 위해서 는 기본적으로 높은 투과도를 가져야 하는데 선택막이 얇으면 투과도는 크게 증가하지만 막의 안정성이 떨어 지게 되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투과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지지체를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도 선 택층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지지체를 활용한 복합막의 형태로 막을 제조하였다. 지지체 막으로 흔히 사용되는 polyethersulfone (PES), polyetherimide (PEI), polysulfone (PSf) 등은 1993년 Huang과 Feng 등이 연구한 투과증 발 분리막, 한외 여과 막의 연구 등에서 다양한 용도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18-20]. 최근에는 Jomekian 등[21]은 co-casting 제조 기술을 사용하여 PES 지지막 위에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8 (ZIF-8)을 함유 한 PEBAX1657을 선택층으로 하고, 이를 통해 기체 투 과 거동을 연구한 결과 얇은 선택층에 의해 막의 투과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PEBAX1657과 ZIF-8의 CO2 흡착 증가로 인해 압력이 높을수록 높은 투과도와 일정 한 선택도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투과 성 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여러 고분자를 혼입한 혼성막이 나 유⋅무기 하이브리드 분리막이 많이 연구되고 있는 데 이들 막들은 단일 고분자 막에 비해 기체 투과도와 선택도의 trade-off 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고분자 에 무기 충진물이 첨가될 경우 고분자 내 무기 입자들 의 응집이나 고분자와 무기 입자 간 계면의 공극이 기 체 투과도와 선택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22].
본 연구에서는 polyether block의 비율이 높아 비교적 높은 기체 투과도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 PEBAX- 2533을 기체 분리막으로서의 기본 소재로 사용하였고, PEBAX2533의 투과선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EBAX- 2533에 poly(ethylene) glycoldiacrylate (PEGDA)와 ZIF-8 을 사용하였다. PEGDA는 에테르 구조에 의해 CO2와 친 화성이 있고, ZIF-8은 zeolite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metal organic framework (MOF)의 다공성 물질로 이미 다졸 리간드를 가지고 있으며 열적 화학적으로 안정하 고,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쉽고 빠르게 합성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ES을 지지체로 하고, 그 위에 PEGDA의 분자량을 250, 575, 700 g/mol으로 달리 하고, 각 PEGDA 분자량 별로 각각 10, 30, 50 wt%를 PEBAX- 2533에 첨가하여 혼합한 용액과 이 용액에 각 각 ZIF-8 함량을 10, 20, 30 wt%로 달리하여 혼합한 용액을 선택층으로 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PEBAX2533/PEGDA-PES와 PEBAX2533/PEGDA/ ZIF-8-PES 복합막에서의 CO2와 N2의 기체 투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2. 실 험
2.1. 재료 및 시약
Polyethersulfone (PES) membrane는 복합막의 기계적 안정성을 위해 지지체로서 사용되었으며 Hyundai Micro Co., LTD 사의 pore size 0.20 μm, diameter 47 mm인 제품을 사용하였다. 막 제조 시 용매로 사용된 n-propyl alcohol과 n-butanol은 각각 (주)대정화금(국산) 사의 순 도 99.5와 99%인 시약을 사용하였다. Poly(ether-block-amide) (PEBAX) 2533은 PolyAd Chem (국산) 사의 시약 을 사용하였고, poly(ethylene) glycoldiacrylate (PEGDA) 는 Aldrich Co. (미국) 사의 분자량 250, 575, 700 g/mol인 시약을 사용하였으며 ZIF-8 제조 시 사용된 2-methylimidazole과 zinc nitrate hexahydrate는 Aldrich Co. (미국) 사의 순도 99.0 +%를 사용하였다. 세척용으 로 사용된 methyl alcohol은 (주)삼전(국산) 사의 순도 99.9%를 사용하였고, distilled water는 대한사이언티픽 (국산) 사의 증류장치를 통한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기 체 투과 측정에 사용된 N2와 CO2는 순도 99.995%의 (주)대성산업가스(국산) 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Fig. 1에 PEBAX2533와 PEGDA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2.2. 복합막 제조
2.2.1. PEBAX/PEGDA-PES 복합막 제조
n-propanol/n-butanol (75 : 25 wt%) 혼합 용액에 PEBAX2533을 3 wt%로 하여 80°C에서 6 h 동안 교반 한다. 그리고 실온으로 두어 온도가 내려가게 한 후 각 PEGDA250, PEGDA575, PEGDA700 g/mol 분자량별로 PEBAX2533에 첨가되는 PEGDA 함량을 PEBAX2533 대비 0, 10, 30, 50 wt%로 하여 PEBAX 용액에 각각 넣고, 40°C에서 2 h 동안 교반한 다음 상온에 둔다. 따 로 n-hexane을 용매로 하여 1 wt% PDMS 용액을 만들 고, PES 지지체 위에 casting한다. 이 지지체 막을 30°C 에서 2 h 건조 후 다시 60°C에서 30 min간 건조한 다 음 30°C에서 4 h 동안 안정화시킨다. 그리고 PDMS 1 wt%를 코팅한 PES 지지체 위에 PEBAX/PEGDA 혼합 용액을 casting하고, 50°C 진공오븐에서 24 h 동안 건 조한다.
2.2.2. ZIF-8의 합성
Zinc nitrate hexahydrate 1.17 g을 증류수 8 g에 용해 시키고, 2-methylimidazole 16.21 g을 또 다른 증류수 80 g에 용해시킨다. 그리고 교반 하에서 Zinc nitrate 용액 을 2-methylimidazole 용액과 혼합시킨다. 이때 바로 유 백색으로 변한다. 6 h 동안 교반한 후 생성물을 원심분 리(4,700 rcf, 30 min)에 의해 수집하고, methyl alcohol 로 3회 세척한 다음 80°C의 진공오븐에서 24 h 건조시 켜 용매를 완전히 휘발시킨다.
2.2.3. PEBAX/PEGDA/ZIF-8-PES 복합막 제조
위의 2.2.1. 과정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PEBAX/PEGDA 용액을 제조한 후 이 용액에 ZIF-8을 전체 고분자 대비 0, 10, 20, 30 wt%로 하여 각각 첨가하고, 12 h 교반한 다. 그리고 30 min 동안 sonication한 후 PDMS 1wt% 를 코팅한 PES 지지체 위에 PEBAX/PEGDA/ZIF-8 혼 합 용액을 casting한 다음 50°C 진공오븐에서 24 h 동 안 건조한다.
2.3. 특성분석
제조한 복합막들의 화학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Bruker (독일) 사의 Vertex 70 FT-IR를 이용하여 400~ 4,000 cm-1까지 확인하였다. 복합막의 열적 특성을 알아 보기 위해 DSC를 이용하였는데 DSC는 TA Instrument (미국) 사의 TA Q2000을 사용하여 질소분위기 하에서 10 °C/min의 속도로 0°C에서 130°C까지 승온하였고, 이 를 통해 제조한 막의 결정화도를 확인하였다. 복합막의 표면과 단면 분석은 JEOL (일본) 사의 JSM 5600LV SEM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XRD 분석은 Philips (네덜 란드) 사의 xpert system (1.2 kW, 2θ = 5~50°)을 이 용하였다. 기체투과 실험은 (주)B.S.Chem (국산) 사의 GPA 2001을 사용하였다.
2.4. 기체투과 실험
연속 흐름 방식을 이용하여 기체의 투과도를 측정하였 다. 기체 투과 장치에 사용된 mass flow meter (MFM) 의 용량은 1,000 SCCM이며, 장치와 연결된 computer에 서 투과, 압력 transient 곡선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데이 터를 얻는다[23]. 셀에 장착되는 막의 유효면적은 12.6 cm2이고, 직경은 4.7 cm이다. 기체 투과 실험은 25°C에 서 1.5 bar의 압력으로 측정하였다.
각 투과기체들의 기체투과도(P)는 식 (1)에 의해서 계 산되어진다.
여기에서 i는 투과기체이고, Vi는 분리막을 통해 투 과된 기체의 부피(cm3, STP), l은 분리막 두께(cm), A 는 분리막의 유효면적(cm2), t는 투과 시간(s), Δp는 분 리막 상부와 하부간의 압력차(cmHg)이다.
선택도(α)는 식 (2)에 의해 얻어진다.
여기에서 αi/j 는 기체 j에 대한 기체 i의 기체투과도 값의 비이다.
3. 결과 및 고찰
3.1. 복합막의 구조와 특성
3.1.1. XRD 분석
본 연구에서 합성한 ZIF-8과 참고문헌의 ZIF-8, 시뮬 레이트 된 ZIF-8의 XRD spectrum을 Fig. 2에 나타내었 다. 본 연구에서 합성한 Fig. 2(a) ZIF-8은 Fig. 2(b)와 (c)에서 제시된 참고문헌 XRD 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2 θ = 7.24, 10.29, 12.64, 14.61, 16.37, 17.95, 19.38, 22.05, 24.43, 25.53, 26.60, 28.61, 32.32의 위치에서 ZIF-8의 특징적인 피크들을 보여 ZIF-8의 합성이 잘 이 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24].
3.1.2. FT-IR spectrum 분석
Fig. 3은 PEBAX 막과 PEBAX/PEGDA 복합막들 중 의 대표적은 것으로 PEBAX2533에 가해지는 PEGDA- 250 g/mol의 함량이 10, 30, 50 wt%로 제조된 복합막 의 FT-IR spectrum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Fig. 3(a)를 보면 PEBAX을 구성하는 PEO의 ether (C-O-C) 그룹의 대칭 진동에 의한 피크를 1,100 cm-1에서 확인하였고, PEBAX2533을 구성하는 polyamide (PA)의 -N-H- 결합 에 의한 피크를 3,290 cm-1에서 확인하였다[25-27]. 그 리고 PEGDA250 g/mol의 함량이 많아지는 Fig. 3(a)에 서 (d) 순으로 PEBAX에 PEGDA가 첨가되면서 PEBAX 내 amide group과 PEGDA 내 acrylate group 사이의 결 합이 강화되어 1,732 cm-1 위치에서 -N-H-와 -C=O와의 결 합에 의한 피크 세기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Fig. 4에 ZIF-8과 ZIF-8 함량에 따른 PEBAX/ ZIF-8의 FT-IR spectrum을, Fig. 5에 복합막들 중 대표 적으로 PEBAX2533에 PEGDA250 g/mol을 30 wt%로 첨가하여 제조된 PEBAX/PEGDA에 ZIF-8을 함량별로 첨가한 PEBAX/PEGDA/ZIF-8 복합막의 FT-IR spectrum을 나타내었다. 먼저 Fig. 4(e)는 ZIF-8의 것으로 ZIF-8의 imidazole이 imidazolate로 변환되면서 생기는 C-H stretching 피크를 1,147 cm-1에서 확인하였고, ZIF-8 고리의 신축 진동에 의한 피크를 600~1,500 cm-1의 넓 은 영역에서 확인하였으며 주요 피크를 760 cm-1에서 확 인하였다[28]. 그리고 Figs. 4와 5를 함께 보면 PEBAX/ ZIF-8과 PEBAX/PEGDA/ZIF-8의 복합막내에서 ZIF-8 을 나타내는 1,147, 760 cm-1의 주요 피크들은 첨가되는 ZIF-8 함량이 많아지는 순으로 피크의 세기가 커지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3.1.3. DSC 분석
DSC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Table 1에 PEBAX2533 과 PEGDA 분자량 별 첨가되는 함량에 따른 PEBAX- 2533/PEGDA의 유리전이 온도(Tg)와 용융 엔탈피 값을 나타내었고, 결정화도(χ)를 Fig. 6에 도시하였다. 결정 화도는 용융점 영역을 적분하여 얻은 용융 엔탈피 값을 식 (3)에 적용하여 구하였다.
위 식에서 ΔH(blend)는 제조한 복합막의 용융 엔탈 피 값이며, ΔHc(PEO)는 166.4 J/g을 이용하였다[29]. PEBAX의 경우 PA 함량이 20 wt%로 PEO 함량 80 wt%보다 적기 때문에 DSC 분석 결과에서 PA 용융점 영역의 피크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PEBAX2533의 경우 유리 전이 온도는 -77.04°C로 문헌 값 -77.1°C와 거의 일치하였다[16]. 그리고 Table 1과 Fig. 6에서 보 면 같은 분자량으로 제조된 복합막에서는 PEBAX 내에 첨가된 PEGD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Tg가 높아지 고 결정화도가 증가하는데 이는 PEBAX 내의 amide group과 PEGDA의 acrylate group과의 결합력이 생기고, PEGDA 함량이 증가하면서 점차 polymer chain mobility를 억제하여 자유부피가 감소되면서 결정화도가 증 가된 것으로 생각된다[30].
3.1.4. SEM 분석
Fig. 7(a)~(d)는 복합막 표면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하 여 PEBAX-PES 막과 PEBAX/PEGDA-PES 복합막들 중의 대표적인 것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SEM 이미지를 살펴보면 PEBAX는 PA의 lamella와 PEO의 amorphous으로 두 개의 microphase로 나누어지는데 PEBAX 내에 PEGDA의 함량이 많아지면서 PEBAX 내의 두 상과의 결합력이 강해지고, 서로 뭉쳐지는 현 상이 심해져 표면이 점차 거칠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Fig. 8(a)~(c)는 대표적으로 PEBAX/PEGDA250 g/mol 30 wt%에 ZIF-8를 첨가하여 제조한 PEBAX/ PEGDA/ZIF-8 복합막의 표면 SEM 이미지로 ZIF-8를 첨가한 복합막에서 ZIF-8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막 표면 상에 많은 양의 ZIF-8이 응집되어 분산되어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Fig. 8(d)는 대표적인 복합막의 단면사 진이다.
3.2. 복합막의 기체투과 특성
3.2.1. PEBAX/PEGDA 복합막의 투과도와 선택도
본 연구에서는 PES 지지체를 사용해 복합막을 제조 하고, 이 복합막의 기체투과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모든 복합막을 제조할 때 지지체로 사용된 PES 기 공에 선택층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PES 지 지체 위에 PDMS 1 wt%를 코팅하였고, 이 지지체가 선택층의 기체투과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 과 PEBAX 단일막보다 PEBAX-PES 복합막이 높은 투 과도와 낮은 CO2/N2 선택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본 연 구 앞서 기체투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Fig. 9(a) 는 PEBAX에 PEGDA을 250, 575, 700 g/mol 분자량 별 로 각각 10, 30, 50 wt% 가하고, PEGDA 함량에 따른 PEBAX/PEGDA-PES 복합막의 기체 투과도 결과를 나 타낸 것이다. Fig. 9(a)를 보면 같은 PEGDA 분자량 내 에서 첨가되는 PEGDA 함량이 증가할수록 N2와 CO2의 투과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는데 예를 들어 N2의 경우 PEBAX-PES는 725.1 GPU에서 PEBAX/PEGDA700 g/mol 50 wt%-PES는 0.23 GPU까지 감소하였고, CO2의 경우 PEBAX-PES는 962.8 GPU에서 PEBAX/PEGDA- 700 g/mol 50 wt%-PES는 1.63 GPU까지 감소하였다. 앞서 Table 1과 Fig. 6의 DSC 분석 결과에서 유리 전이 온도가 PEBAX-PES의 -77.04°C에서 PEBAX/PEGDA- 700 g/mol 50 wt%-PES의 -30.51°C로 증가하고 결정화 도가 PEBAX-PES의 7.46%에서 PEBAX/PEGDA700 g/mol 50 wt%-PES의 11.03%로 증가하는데 유리 전이 온도가 증가하는 것은 PEBAX/PEGDA 복합막의 자유 부피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낮아진 자유부피와 증가된 결정화도에 의해 결과적으로 기체 투과도가 감 소하게 된다고 생각한다[30].
그리고 같은 PEGDA 분자량 내 같은 함량에서 N2보 다 CO2의 투과도가 높았는데 이는 분리막 내의 기체 분 자의 확산성과 용해성에 따른 영향으로 생각된다[30]. 두 기체 N2와 CO2의 kinetic diameter는 각각 3.64, 3.3 Å으로 분리막 내에서 기체의 확산은 기체 분자의 크기 와 관련되어 있고, N2와 CO2의 임계온도는 각각 126.2와 304.2 K로 CO2는 N2보다 응축성 기체이다. 결과적으로 막의 ether group과 응축성 기체인 CO2와의 친화력으로 용해도가 증가하고, CO2는 N2보다 kinetic diameter가 작아 더 높은 기체투과도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 리고 이러한 투과성질을 지닌 복합막 내에 PEGDA 함 량이 증가되면 고분자 내의 자유부피 감소로 확산성과 흡착성에 의한 효과가 크게 낮아져 상대적으로 많은 함 량에서는 큰 폭으로 감소된 CO2 투과도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Fig. 9(b)는 PEGDA 분자량별 함량에 따른 PEBAX/ PEGDA-PES 복합막의 CO2/N2 선택도를 나타낸 것이 다. PEGDA 각 분자량에서 PEGDA의 함량 변화에 따른 선택도는 0~30 wt% 첨가되었을 때까지는 약간 증가하 거나 거의 비슷한 값으로 일정하다가 30 wt% 이상으로 첨가되었을 때 선택도가 증가하였다. 이는 PEGDA 함 량이 증가하면서 다이아크릴레이트 그룹이 많아지고 PEGDA의 에테르 구조에 의해 CO2와의 친화성이 커져 선택도가 증가했을 것으로 보인다[30]. 특히 PEBAX-PES 의 경우 1.33에서 PEBAX/PEGDA250 50 wt%-PES의 경우 15.1까지 CO2/N2 선택도는 크게 증가하였는데 높 은 분자량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분자량에서 이러한 효 과가 크게 나타났다. Ghadimi 등의 보고에서도 PEBAX- 1657에 PEGDA를 첨가하여 CO2/N2와 CO2/CH4 선택 도를 조사하였는데 PEGDA 함량증가에 따라 N2와 CH4 보다는 CO2에 더 용해성과 확산성이 높아 선택도가 증 가한다고 보고하였다[30].
3.2.2. PEBAX2533/PEGDA/ZIF-8 복합막의 투과도와 선택도
앞서 Fig. 10에서 보면 PEBAX2533에 가해지는 각 분자량별 PEGDA 함량 0~30 wt% 범위는 복합막들의 CO2/N2 선택도가 거의 일정한 구간으로 이 범위에 ZIF-8 이 첨가되었을 때 ZIF-8 함량 증가에 따라 기체 투과성 질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로 하였고, 그 결과를 Fig. 10에 나타내었다. Fig. 10(a)~(d)에서 보면 먼저 전 체적으로 같은 ZIF-8 함량으로 제조된 복합막에서 N2 투 과도보다 CO2 투과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앞서 Figs. 9와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2보다는 CO2에 대 해 투과성이 좋은 PEBAX/PEGDA의 투과성질을 유지 하였고, 여기에 첨가된 충진물인 ZIF-8은 3.4 Å의 기공 크기를 가지고 있어 큰 kinetic diameter를 가지는 N2 (3.64 Å)보다 작은 kinetic diameter를 가지는 CO2 (3.3 Å)를 선택적으로 투과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31-33]. 또한 복합막들의 전체적인 경향은 대체적으로 ZIF-8의 적은 함량 범위에서는 ZIF-8의 첨가로 인하여 기체투과 도는 감소하지만, 일정 함량 이상의 범위에서는 첨가되 는 ZIF-8 함량이 증가할수록 기체의 투과도가 증가하였 다. 적은 함량 범위에서는 고분자 내에 ZIF-8가 가해지 면서 ZIF-8이 기체들의 투과 경로를 방해하여 기체 투 과도가 감소하였고, ZIF-8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ZIF-8 의 다공성 구조에 의해 투과도가 점차 증가하면서 특히 ZIF-8 20 wt%가 첨가된 경우 SEM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ZIF-8의 응집 현상에 의해 막의 계면이 생기고 계면을 통한 투과가 일어나기 때문에 투과도가 급격하 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내에 충 진물이 첨가되었을 때 서로간의 상호작용이 강한 경우 에는 고분자 사슬의 운동을 제한시켜 기체투과도를 감 소시킨다고 한다[34]. 본 연구에서도 zeolite 달리 고분 자와 무기 충진물 사이의 계면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ZIF를 첨가하였기 때문에 고분자와의 친화력이 어느 정 도 작용하였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일정 함량 이 상에서는 오히려 고분자와의 친화력보다는 무기 충진물 끼리의 응집력이 더 강하여 응집물과의 cavity가 점차 커지고 이를 통해 기체 투과가 이루어져 그 결과로 과 량의 함량에서는 충진물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기체투 과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ZIF-8은 N2와 CH4에 비해 상대적으로 CO2에 더 강한 흡착성을 보여 결과적으로 ZIF-8 함량 증가에 따라 용해성이 더욱 증 가하여 CO2에 대한 투과도 값이 증가하였으리라 생각 된다. 그리고 Fig. 10(c)와 (d)의 높은 분자량인 PEGDA- 575와 PEGDA700 g/mol으로 제조된 복합막에서는 대 체적으로 ZIF-8 함량이 많아지면서 급격히 증가하여 ZIF-8을 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더 높은 기체 투과도를 보였다. ZIF-8이 20~30 wt% 범위에서는 상대적으로 고 분자의 분자량이 커질수록 고분자 내 ZIF-8의 분산성이 떨어지고, ZIF-8 사이의 응집성이 강해져 ZIF-8의 응집 물과 고분자 계면 사이의 cavity가 커지는데 ZIF-8 함량 이 많은 20~30 wt% 범위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가장 크 게 나타나 기체 투과도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Fig. 11은 ZIF-8 함량 증가에 따른 PEBAX/PEGDA/ ZIF-8-PES 복합막 전체의 CO2/N2 선택도를 종합하여 나타낸 것이다. 우선 PEBAX-PES의 경우 CO2/N2 선택 도는 1.33에서 ZIF-8 10 wt% 첨가되었을 때 1.94로 가 장 높았고, 그 이후의 함량에서는 점차 감소하였다. 복 합막들에서 가장 높은 CO2/N2 선택도를 가지는 막은 PEBAX/PEGDA250 g/mol 30 wt%/ZIF-8 20 wt%-PES 로 CO2/N2 선택도 3.4이었는데 이는 ZIF-8의 기공 크기 에 의한 선택적인 투과성과 함께 ZIF-8이 N2에 비해 CO2 에 대해 상대적으로 강한 용해성을 보여 ZIF-8의 함량 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된 선택도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 다. 보고에 의하면 ZIF-8은 CO2에 대해 강한 흡착성을 보인다고 하는데[35,36] Bushell 등은 PIM-1에 가해지 는 ZIF-8의 함량에 따른 CO2의 흡착성을 연구하였고, 더 많은 ZIF-8의 함량에서 CO2의 흡착성질이 높아진다 고 하였다[36]. 그러나 그 이상으로 많은 함량이 첨가되 면 오히려 선택도가 감소하는데 그것은 ZIF-8이 과량으 로 첨가되었을 때 ZIF-8 사이의 응집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ZIF-8의 기공 크기에 의한 선택적인 투과성 과 CO2의 응축성에 대한 효과가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 로 생각된다. 그리고 PEGDA575, PEGDA700 g/mol의 높은 분자량을 갖는 복합막보다는 PEGDA250 g/mol의 낮은 분자량을 갖는 복합막의 경우가 대체적으로 더 높 은 CO2/N2 선택도를 보였는데 높은 분자량일수록 고분 자 체인이 길어져 구조적으로 ZIF-8에 의한 효과를 나 타내기가 어려웠을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Fig. 10의 PEGDA 분자량별 CO2/N2 선택도가 거의 비슷한 값으 로 일정한 PEGDA 0~30 wt% 범위에서는 PEGDA250 g/mol의 경우 PEBAX/PEGDA에 ZIF-8의 도입이 CO2 의 선택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4. 결 론
본 연구는 PEBAX에 PEGDA와 ZIF-8을 사용하여 복합막에서의 기체투과 성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PEBAX-PES와 PEBAX/PEGDA-PES 복합막의 기체 투 과도 측정 결과 첨가되는 PEGDA 함량이 증가할수록 고 분자 내의 자유부피 감소로 N2와 CO2의 기체투과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PEGDA 함량이 30 wt% 이상으로 많아지면서 CO2/N2 선택도는 점차 증가하였고, 특히 PEBAX-PES의 경우 1.33에서 PEBAX/PEGDA- 250 g/mol 50 wt%-PES의 경우 15.1로 크게 증가하였 다. 이는 PEGDA 함량이 증가하면서 다이아크릴레이트 그룹이 많아지고 PEGDA의 에테르 구조에 의한 CO2 친 화성이 커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선택도가 거의 일정한 범위인 PEGDA 0~30 wt%의 복합막에서는 대체적으로 첨가되는 ZIF-8 함량이 증가할수록 기체투과도가 감소 하다가 일정 함량 이상에서는 ZIF-8 사이의 응집성이 강 해져 응집물과 고분자 계면 사이의 cavity로 N2와 CO2 의 투과도가 점차 증가하였다. 그리고 CO2/N2 선택도는 PEBAX/PEGDA250 g/mol 30 wt%/ZIF-8 20 wt%-PES 복합막에서 3.4로 가장 높았는데 이는 N2보다 CO2에 대 해 ZIF-8의 기공크기로 인한 선택적인 투과성과 CO2의 응축성 효과 때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