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전 세계적으로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의 발달로 인한 기후온난화 현상이 나타나며 이로 인하여 물의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UN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2025년에 지구 인구수의 절반 이상이 물 부족 현 상을 겪게 되며 물 부족 현상으로 인한 문제를 겪을 것 이라고 경고하고 있다[1-3]. 또한, 지구 표면은 약 70% 가 물이지만 실제 인간이 식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물 의 양은 1% 미만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 한 기술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4-6]. 그 중 분리막을 이용한 공정은 친환경적인 공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공정과 분리막의 성능을 올리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수처리 분리공정은 먼저, 수인성 전염병인 콜레라, 장 티푸스와 같은 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빼앗아간 시대에 염소가 강한 살균력을 가진 동시에 물에 쉽게 용해된다 는 특징을 이용하여 1세대 슬러지 처리나 염소와 같은 화학적 공정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염소를 이용한 공정 은 염소반응에 의해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할 수 있는 문 제점을 지니고 있어 2세대 공정인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공정으로 발전하였고, 현재는 3세대라 불리는 막 분리 공정기술에 도달하였다[7,8]. 막 분리 공정은 고분자, 세라믹과 같은 유⋅무기 소재들을 가공하여 다 공성을 갖는 얇은 막 형태로 제조해 특정 크기 또는 서 로 다른 상(phase)으로 존재하는 물질을 사용자가 원하는 물질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원하는 물질만을 얻어낸 다[9,10].
분리막을 적용한 기술 중 하⋅폐수 처리기술은 초기 MBR (membrane bio reactor)을 중심으로 현재까지 적용 되고 있으나 최근 MBR 공정이 갖는 높은 에너지 소모 및 질소 처리 문제 등의 한계가 생기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MABR (membrane aeration bio reactor) 공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1,12].
MABR 공정은 생물학적 반응조에 기존 산기공정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membrane aerator를 이용한 고효 율 산기를 수행하고, membrane aerator 외부에 미생물을 부착 및 성장시켜 하⋅폐수 내 유기물 및 질소를 효과 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이다. MABR 공정은 높은 속도 및 효율로 산소를 전달하고 생물막 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 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기존 CAS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공정 대비 에너지 사용량 및 부지 소요가 적고 높은 부하변동 조건에서도 기존 공정 대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처리가 가능하며 슬러지 발생량이 적은 특 징을 갖고 있다[12,13]. 기존의 표준활성슬러지 공정과 MBR 공정, MABR의 개략도는 Fig. 1에 나타내었고 MABR 공정의 개념도는 Fig. 2에 나타내었다. 또한 기 존의 표준활성슬러지 공정과 MBR 공정, MABR의 특징 은 Table 1에 나타내었으며 대표적인 MABR 기업 막 의 특징을 Table 2에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MABR 공정시스템에 적용을 위하여 열유도 상분리법을 이용해 제조한 플라워 단면을 갖는 PVDF 중공사 분리막인 플라워멤브레인을 친수성 고분 자 코팅 후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MABR 공정을 적 용시키기 위해 분리막 소재는 기계적 물성과 내화학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poly(vinylidene fluoride) (PVDF)를 사용하였으며, 열유도 상분리법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중공을 갖고 단면 형태가 플라워 형태를 갖는 중공사 멤 브레인인 플라워멤브레인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플라 워멤브레인은 플라워 단면을 갖는 PVDF 다중공사 분 리막으로서 7개의 멀티보어를 갖는 형태이며 이러한 멀 티보어 타입은 기존의 중공사막의 장점인 높은 집적도 및 에너지 효율을 확보하면서도 강도의 문제를 보완하는 안정적인 구조이다. 그러나 PVDF 막은 매우 큰 소수성 을 갖는 고분자로서 MABR용으로 사용할 시에 친수성 이 부족하여 추가적인 코팅에 문제가 있거나, bio-film의 부착이 용이하지 않은 점이 있어서 친수성으로 표면을 변성시켜주어야 한다. 특히 MABR 공정 시스템에서 일 반적으로 요구하고 하루 산소투과량은 10 g O2/m2day 로, 이를 GPU로 환산하면 1.54 GPU 정도로, 친수성을 가지면서 추가 코팅으로 1.5~2.0 GPU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MABR용 중공사 막을 제조하기 위한 지지체가 필요하다. 이러한 지지체 위에 산소투과성이 우수한 소 재를 다시 코팅함으로써 산소를 기포 형태로 지속적인 확산속도로 공급할 수 있게 하고자 함이다. 산소투과성 이 우수한 소재를 직접 코팅하는 경우에 PVDF 중공사 와 코팅소재 간의 유사한 특성으로 PVDF의 내부기공으 로 코팅액이 침투하게 됨으로써 코팅 두께의 조절이 매 우 어렵고 코팅층의 부착력의 문제가 발생하는 등의 한 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친수성 코팅을 통 한 지지체의 제조가 필요하고, 그 친수성과 기체투과량 의 조절을 통한 최적화된 지지체 특성을 찾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PVDF의 소수성 표면을 친수성 고분자인 PEBAX 1657, 2533, 3533을 이용하여 딥 코 팅 방법으로 코팅 후 친수성의 변화와 기체투과량의 변 화를 관찰하여 MABR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최적의 지 지체 제조조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종 산소투과층 을 코팅한 MABR용 중공사 분리막의 특성과 MABR에 의 적용에 대한 내용은 향후 별도의 논문으로 보고하고 자 한다.
2. 실 험
2.1. 재 료
분리막은 (주)퓨어엔비텍에서 PVDF 소재를 이용해 열유도상분리법으로 제조한 플라워 중공사 멤브레인을 제공 받아 사용하였고, 사용한 PVDF 플라워 단면을 갖 는 중공사 막은 Fig. 3에 제공받은 플러워 단면을 갖는 중공사 막의 표면, 내면 및 단면의 SEM 사진을 제시하 였으며 Fig. 3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3.26 mm의 지름을 갖고 한 개의 보어가 평균 669 μm를 갖는 7개의 보어를 갖는 플라워 형태의 분리막을 에탄올(Daejung, Korea) 을 이용해 추가 세척하여 사용하였다. 분리막 코팅에 사 용한 코팅소재로는 PEBAX 2533 (PA20/PE80%), 3533 (PA30/PE70%), 1657 (PA40/PE60%)을 ARKEMA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고, 코팅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에탄 올(99.9%), 이소프로판올(99.9%) 그리고 n-부탄올(99.5%) 은 Sigma Aldrich에서 구매하였다.
2.2. 분리막 코팅용액 준비
플라워 단면 구조를 갖는 중공사 분리막의 표면을 코 팅하기 위하여 코팅소재는 PEBAX 2533, 3533, 1657을 이용하였으며, 코팅에 사용한 PEBAX 고분자의 특징은 Table 3에 정리하였다. 코팅이 용이한 용액으로 만들기 위하여 PEBAX 1657은 증류수 : 에탄올(3 : 7), PEBAX 2533은 이소프로판올 : n-부탄올(7 : 3), PEBAX 3533 은 이소프로판올을 이용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하였고, 각 용액은 PEBAX를 기준으로 1, 3, 5, 7 wt%의 비율로 열교반기를 이용하여 100°C에서 250 rpm으로 6시간 동 안 reflux를 유지하면서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2.3. 분리막 코팅
분리막 코팅을 위해 중공사 분리막을 15 cm 크기의 길이로 자른 후 에탄올을 이용해 세척 후 이용하였다. 분리막은 우레탄 튜브 6 mm를 이용해 분리막 한쪽 끝 에 붙이고 다른 한쪽은 에폭시를 이용하여 한쪽을 막아 코팅용액이 들어가지 않게 준비하였다. 이후, PEBAX 1657, 2533, 3533의 코팅용액을 1회에 30초를 기준으 로 1, 3, 5회 코팅하였다. 코팅 방법으로는 Fig. 4에 보 는 바와 같이 딥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을 실시하였 으며 코팅 후 heating gun을 이용하여 표면을 바로 건 조시켰으며 이후 건조오븐을 통해 60°C에서 24시간 동 안 건조하여 용매가 완전히 제거된 샘플을 제조하였다.
2.3.1. 접촉각 측정
코팅한 중공사 분리막의 친수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 하여 중공사 표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사용한 접촉각 측정 장비는 SEO, Phoenix 300 Touch 이었으며, 막의 표면에 1 mm의 일정한 물방울을 떨어뜨 려 각기 다른 코팅용액이 코팅된 중공사 표면의 접촉각 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14-17].
2.3.2. 모폴로지 관찰
코팅한 분리막의 모폴로지를 확인하고 코팅층의 두 께를 파악하기 위해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Philips XL30 S FEG, The Netherlands, FE-SEM)을 사용하였 다. 코팅된 분리막을 물에 침지하여 충분히 막표면과 내부에 수분을 머금게 한 후, 액체 질소를 이용하여 분 리막을 급냉 시킨 뒤 순간적으로 부러뜨려서 단면 측정 을 위한 샘플을 얻었으며, 측정하고자 하는 단면을 이 온 코팅기(JEOL JFC-1100E)를 이용하여 진공 하에서 300초 동안 5 mA로 금 코팅을 한 후 시료의 구조를 관 찰하였다.
2.4. 분리막 기체투과 특성평가
중공사 분리막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분리막 한가닥을 사용하여 기체투과도 측정을 위한 유효 면적이 10 cm인 실험실용 소형 모듈을 제조하였다(Fig. 5). 이후, 산소의 기체투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1 bar의 조건에서 약 3시 간의 안정화 시간을 가진 뒤 기체투과를 평가하였다. 기체 투과는 투과량에 유효막면적과 압력, 시간을 나눈 GPU 단위로 나타내었으며 GPU의 자세한 식은 식 (1) 에 나타내었다[18,19].
1 GPU = 1 × 10-6 cm3 / cm2⋅sec⋅cmHg
3. 결과 및 고찰
3.1. 코팅 조건에 따른 코팅층의 변화
코팅한 중공사 분리막의 단면 모폴로지 및 코팅층을 비교하기 위해 전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각각 다른 코팅액 농도와 코팅 횟수의 따라 제조한 코팅된 중공사 분리막의 표면의 코팅층의 단면 두께와 모폴로지를 확 인하였다. Figs. 6~8에서는 코팅농도와 코팅회수에 따 른 코팅층을 나타내었다. Figs. 6~8에서 보듯이 중공사 표면 위에 코팅된 코팅층은 코팅액의 농도가 높아질수 록 두께가 두꺼워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PEBAX 1657 코팅액을 사용한 경우가 PEBAX 2533와 3533을 사용한 경우보다 코팅층의 두께가 더 두꺼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코팅액의 농도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 였을 시에 코팅액의 농도가 5 wt%에서 7 wt%로 높아질 때 코팅층이 크게 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든 코팅 용액의 코팅농도가 높아질수록 코팅층의 두께가 높아 지고 코팅횟수가 3회에서 5회에서 변할 때 코팅층이 크 게 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코팅에 따른 중공사 표면의 친수화
Figs. 9~11에서 접촉각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접 촉각은 PEBAX 2533과 3533의 경우 매우 비슷한 접촉 각을 가지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더 낮은 접촉각을 가짐 을 확인하였다. 또한 PEBAX 1657이 PEBAX 2533과 3533보다 접촉각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코팅의 농도가 높을수록 점점 더 낮은 접촉각이 나타나며, 7 wt% 농 도에서 5회 코팅 시 23.10°로 가장 낮은 접촉각을 나타 냈다. 이는 Table 2에서와 같이 PEBAX 1657의 친수성 고분자인 폴리아미드의 비율이 60%로 가장 높기 때문 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PEBAX 1657을 이용한 코 팅을 실시한 경우에서 가장 큰 친수화 특성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3. 분리막 기체투과 특성평가
코팅한 분리막의 기체투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산 소기체의 투과특성을 파악하였다. 코팅농도와 코팅횟수 에 대한 자세한 기체투과 데이터는 Table 4에 나타내었 으며, Fig. 12에 산소기체의 투과량에 대한 그래프를 나 타내었다. Table 4와 Fig.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팅 한 농도가 높아질수록 산소의 기체투과량은 점차 낮아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코팅층의 두께가 두 꺼워지고 일부는 중공사의 기공으로 침투함에 따라서 기공의 크기가 줄어듦에 따라 기체투과량이 낮아진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특히 코팅용액이 7 wt% 농도 로 5회 코팅 시 산소투과도량은 PEBAX 1657은 본 연 구의 실험조건에서는 기체투과량을 측정할 수 없었지만, PEBAX 2533은 1.12 GPU, PEBAX 3533은 0.65 GPU 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친수화 정도가 가장 높은 PEBAX 1657의 코팅에서 5 wt% 코팅용액으로 3 회 코팅일 때 산소의 기체투과량은 23.58 GPU로서 향 후 2차 코팅이 가능하고, 2 GPU 이상의 최종 기체투과 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플라워 모양의 단면을 갖는 중공사에 PEBAX 공중합체를 이용한 코팅액으로 코팅을 실시하 였을 시에 소수성의 PVDF 중공사의 표면을 효율적으 로 친수성으로 코팅할 수 있는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코팅액으로 사용한 PEBAX 공중합체 고분자는 공중 합체의 조성에 따라서 다른 친수성-소수성 특징을 갖고 있었으며, 코팅액의 농도와 코팅횟수에 따라서 소수성 PVDF 고분자의 표면에 친수성 코팅이 적절하게 이루 어지는 조건을 찾을 수 있었다.
PEBAX 코팅액의 농도와 코팅횟수가 증가할수록 PVDF 표면 위에 코팅된 PEBAX 코팅층이 점차 두꺼 워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모든 PEBAX의 코팅액 농 도가 7 wt%에서 5회일 때 코팅 두께가 66.0 μm에서 71.5 μm 사이로 코팅액 농도가 7 wt%에서 3회일 때와 26.6 μm에서 55.5 μm 사이로 비교하여 급격히 증가하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한 PEBAX 코팅 액의 농도가 높아지고 코팅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접촉 각이 낮아져서 소수성 표면이 친수성으로 변화됨을 확 인하였으며, 이는 코팅액의 농도가 높아지고 코팅횟수 가 증가할수록 소수성 PVDF의 표면이 효율적으로 친 수성 고분자에 의해서 코팅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사 료된다. 코팅된 중공사의 기체투과도는 코팅농도와 코 팅횟수가 증가할수록 점점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친수성 소재의 2차 코팅을 적용시키기 위한 조건 으로 친수화 정도가 높은 PEBAX 1657에서 5 wt% 코 팅용액으로 3회 코팅일 때가 코팅층이 12.3 μm이며 접 촉각이 34.29°, 산소기체투과도가 23.58 GPU로 MABR 용 중공사막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1차 코팅 시 최적의 조건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