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과거로부터 인류는 에너지원에 대한 문제를 안고 살 아왔다. 특히, 현대에서 전기 에너지의 수요가 폭발적으 로 증가함에 따라 수요에 맞는 공급을 하는 문제가 매 우 중요해졌다[1-3]. 전기는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 이상으로 생산한 전기 에너지를 손 실 없이 저장하여 필요할 때 사용하는 문제도 중요하다 [4-6]. 전기 에너지는 최근 리튬-이온 전지, 연료전지, 슈 퍼커패시터 등 다양한 방향으로 연구되어 왔다[7-10]. 그 중 슈퍼커패시터는 적절한 전류 밀도와 전압 밀도를 가 지고 있으며, 최근 많은 연구가 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 이다[11-15].
슈퍼커패시터는 타 2차 전지에 비해 빠른 충전이 가 능하고 높은 전압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지속력이 강하 다. 이러한 슈퍼커패시터는 충⋅방전 방식에 따라 크게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EDLC)와 유사축전 커패시터(pseudo capacitor)로 나눠 진다. 이 중 EDLC는 화학 반응을 함께 이용한 유사축 전 커패시터에 비해 성능은 떨어지지만 상대적으로 가 격이 저렴한 탄소 전극 물질을 사용하며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므로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6-18]. 이 러한 탄소 전극 물질 중 가장 경제성이 좋은 물질 중 하나로 알려진 것이 활성탄(activated carbon, AC)이다 [19-21].
슈퍼커패시터의 성능은 전극 물질도 물론 중요하지 만 전해질의 성능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22-24]. 전해질 역시 물을 사용한 수계 전해질과 그렇지 않은 비수계 전해질로 나뉘는데, 수계 전해질은 물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비수계 전해질에 비해 높은 전도도를 가진 반 면, 물의 전기분해 반응의 한계로 인해 낮은 전압창 (potential window)을 가진다[25]. 따라서 이러한 수계 전해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계 전해질이 폴리비닐알코올 [poly(vinyl alcohol), PVA]과 인산의 혼합막 전해질이 다. PVA는 물과의 상호작용이 매우 좋은 고분자이며, 인산과 함께 건조하였을 때 고체 형태의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동시에 좋은 이온 전도도를 보인다[26].
앞에서 언급한 개념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PVA 계 열 고분자 물질을 자유 라디칼 중합법(free-radical polymerization) 을 통해 PVA-g-POEM [poly(vinyl alcohol)- graft-poly (oxyethylene methacrylate)] 그래프트 공 중합체를 합성하고, 이를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고체 전해질에 활용하였다. 본 공중합체는 기체분리막으로 활 용했던 적은 있으나, EDLC의 전해질로 사용된 적은 없 다[27]. 탄소 종이(carbon paper) 집전체에 탄소 전극 물 질로 활성탄과 카본 블랙(carbon black) 혼합물을 활용 하였으며, 양쪽 전극을 같은 물질로 제조하여 대칭형 커 패시터를 제조하였다. 합성한 공중합체는 적외선 분광 기(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를 통 해 확인하였으며, cyclic voltammetry (CV) 및 galvanic charge-discharge (GCD), ragone plot을 통해 제조한 커 패시터의 성능을 알아보았다.
2. 실험방법
2.1. 재료 및 시약
고분자 합성 시 단량체로 사용된 poly(vinyl alcohol) (PVA)와 poly(oxyethylene methacrylate) (POEM, Mn = 500 g mol-1), ATRP에서 개시제로 사용된 ceric ammonium nitrate (CAN), 전극 물질에 사용된 활성탄(100 mesh), 전극 물질에 사용한 바인더[PVDF, Poly(vinylidene fluoride), average Mw ~534,000 by GPC]는 Sigma-aldrich사에서 구매하였다. 전극 물질에 추가로 사 용된 carbon black은 alpha aesar에서 구입하였으며, 고 분자의 합성 용매인 dimethyl sulfoxide (DMSO) (99.9%), 합성한 고분자의 비용매로 사용된 2-propanol (IPA) 및 n-hexane (absolute, 99.9%)는 덕산(한국)에서 구매하였다.
2.2. PVA-g-POEM 그래프트 고분자 제조
PVA-g-POEM 공중합체는 기존에 사용했던 자유 라 디칼 중합법을 이용해 합성하였다[27]. 먼저,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3 g의 PVA와 95 mL의 DMSO 용매를 60 °C 조건에서 녹인다. 이와 동시에 0.25 g의 CAN을 5 mL의 DMSO에 용해시킨다. 완전한 용해가 이루어지고 나서 상온으로 다시 식힌 후, 7 mL의 POEM 단량체를 첨가한다. 고무마개로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밀폐시킨 뒤, 30분의 질소 퍼징을 통해 용액 내 산소 및 기타 기 체를 제거한다. 퍼징과 동시에 CAN 용액 5 mL를 주사 기로 반응 용액에 첨가 후 20시간, 60°C 조건에서 반응 을 진행한다. 반응이 끝난 용액을 IPA/n-hexane 1 : 1 부피비 혼합 비용매에 침전 과정을 거친 후, 같은 비용 매에 씻어준다. 이후 50°C에서 진공 오븐에 공중합체를 건조시킨다.
2.3. PVA-g-POEM 전해질 및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EDLC) 제조
0.3 g의 PVDF를 17 mL의 NMP에 3시간 교반하여 녹인다. 고분자가 완전히 용해된 후, 0.3 g의 카본 블랙 과 2.7 g의 활성탄을 차례로 넣어서 분산시킨다. 분산 과정은 초음파 발생기 및 교반을 활용한다. 이렇게 제 조된 전극 슬러리(slurry)를 집전체인 탄소 종이에 RK coater를 활용하여 코팅한다. 활성 면적은 2 × 2 cm2가 되도록 한다. 코팅 후 전극을 80°C 조건에 밤새 건조한 다. 전극 물질은 평균 5 mg 코팅된다.
다음으로 1.5 g의 PVA-g-POEM 공중합체를 12.75 mL의 증류수에 80°C 조건에서 용해시킨 후, 상온으로 용액을 식힌다. 이후에 2.25 mL의 인산을 공중합체 용 액에 첨가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교반 시킨 용액을 제조한 전극 위에 드랍 캐스팅(drop casting) 방법으로 코팅한 후 상온에서 밤새 건조한다. 이후, 전 해질 용액 한 방울을 전극에 올린 후 샌드위치 방식으 로 조립한다.
2.4. 분석
합성한 PVA-g-POEM 공중합체의 작용기는 적외선 분 광기(FT-IR, Spectrum 100, PerkinElmer, USA)를 이용 하여 4,000~500 cm-1 파수 범위에서 측정 및 분석을 진 행하였다. 전극 물질을 코팅할 때는 RK coater (Model 101, Control RK Print-Coat Instruments Ltd., UK)를 이용하였으며, 전기화학 성능은 임피던스/전기화학 분 석기(ZIVE MP1, 원아테크, 한국)를 이용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PVA-g-POEM 그래프트 공중합체 합성
PVA를 주사슬로 사용한 PVA-g-POEM 그래프트 고 분자 합성 과정을 Fig. 1에 나타내었다. PVA는 하이드 록시기를 포함하며, 본 연구에서 주사슬 역할을 하는 고분자이다. 특히, 인산을 첨가했을 때, 물과 함께 팽윤 현상이 일어나며, 이는 높은 이온 전도도를 얻는데 큰 역할을 한다. POEM의 경우, 산화 에틸렌 반복 단위를 가지는 단량체로, 이온 전도도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중합체의 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주사슬, 단량체 및 합성한 공중합체에 대해 적외선 분광법을 활용하였다 (Fig. 2). PVA의 특징적인 밴드는 3,281 cm-1에 나타나 며, 이것은 하이드록실기 그룹을 나타낸다. 또한, POEM 의 단량체 역시 특징적인 밴드가 나타난다. 이는 1,717 cm-1, 그리고 1,100 cm-1이 대표적이며, 각각 C=O 결합 의 신축 진동 및 에테르 작용기 내 C-O 결합의 신축 진 동을 의미한다.
또한, 단량체의 특징으로서 1,637 cm-1 밴드에서 C=C 이중결합 신축 진동이 나타난다. 각각의 주사슬 및 단 량체는 그래프팅을 통해서도 작용기를 여전히 가지기 때문에 특징적인 밴드가 여전히 관찰되지만, 각각 작용 기의 결합 세기는 동일하지 않으므로 밴드의 위치에 변 화가 생기게 된다. 먼저, 하이드록실기가 발견되던 3,281 cm-1 밴드는 3,308 cm-1로 27 cm-1 만큼이나 이동하였으 며, 이는 O-H 결합이 강해졌음을 의미한다. 이는 POEM 의 결합을 통해 결합에 입체 장애가 생기게 되었으며, 이는 O-H 결합 강화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특히 Fig. 1에서 볼 수 있듯이, POEM 결합에 직접적으로 이 작용기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더욱 밴드가 많이 움직였 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POEM 단량체 내의 C=O 결합 밴드 역시 1,717 cm-1에서 1,726 cm-1로 이동하였으며, 이는 O-H 결합 이동과 같은 이유이다. POEM 단량체 의 경우에 이중결합으로 상대적으로 자유롭던 C=O 이 중결합이 Fig. 1과 같이 결합하면서 상대적으로 입체 장 애가 생겼기 때문이다[27]. 1,100 cm-1에서 밴드를 나타 내던 에테르 작용기 내 C-O 결합이 1,092 cm-1로 이동 한 이유는 PVA에서 C-O 결합이 나타내는 1,088 cm-1 밴드와 겹쳤기 때문이다. 또한, 결합 후 단량체의 특징 인 C=C 이중결합(1,637 cm-1) 밴드가 사라진 것까지 종 합해 봤을 때, 자유 라디칼 중합 반응을 통한 PVA-g- POEM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합성이 성공적으로 이루 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Fig. 3
3.2. 슈퍼커패시터의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탄소 전극 물질과 합성한 PVA-g-POEM 및 인산을 전 해질로 활용한 슈퍼커패시터의 cyclic volammetry (CV) 곡선을 Fig. 4에 나타냈다. 이 곡선은 주사 속도(scan rate)를 2, 3, 4, 10, 20, 50, 100 mV s-1 순서로 측정했 으며, 수계 전해질이므로 물의 전기 분해의 영향을 받 지 않는 0.8 V의 전위창을 적용하였다. 주사 속도가 증 가함에 따라 곡선의 면적이 점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축전 용량은 83.1, 64.9, 45.8, 32.6, 36.1, 20.4, 15.8 F g-1로 측정되었다. 83.1 F g-1은 기존의 PVA/H3PO4 전해질을 활용한 성능인 38.3 F g-1[28]에 비해 우수하다. 이는 PVA에 비해 그래프트 고 분자인 PVA-g-POEM이 더 높은 이온전도도를 가질 것 으로 예상된다. 또한, 주사 속도가 50 mV s-1까지는 이 상적인 평행사변형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우수한 슈퍼커패시터의 지표이다. 다만, 낮은 주사 속도인 2 mV s-1에서 측정된 83.1 F g-1의 높은 축전 용량에 비해 20.4 F g-1 (24.5%)까지 떨어지는데, 이는 차후 연구에 서 보충할 예정이다.
다음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를 위해 다양한 전류 밀도 에 따라 galvanic charge/discharge (GCD) 곡선을 나타 내었다. 전류 밀도를 다양하게 적용하여(0.5, 1, 1.5, 2, 2.5, 3, 4, 5 A g-1) 측정했으며, 이에 따라 축전 용량은 22.9, 19.8, 17.3, 15.1, 15.0, 14.9, 12.2, 9.9 F g-1로 측 정되었다. 전류 밀도의 감소에 따라 충전 및 방전 시간 이 길어지는 일반적인 현상을 보였다. 방전 시간을 바 탕으로 비축전용량을 계산한 결과, 0.5 A g-1의 전류밀 도에서 보인 결과는 3 A g-1의 전류밀도에서의 비축전 용량(전류밀도 0.5 A g-1에 비해) 65.0%까지 보존되었 으나, 고전류밀도에서는 9.9 F g-1의 비축전용량(전류밀 도 0.5 A g-1에 비해) 43.1%까지 떨어졌다. 고전류밀도 에서의 급격한 성능 저하는 전해질의 낮은 전류 밀도에 서 충전 속도 한계 때문이며 차후에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할 예정이다. Fig. 5
전류 및 전압 밀도는 슈퍼커패시터에서의 중요한 성 능 중 하나이다. 이를 측정한 GCD 및 축전 용량을 바 탕으로 ragone 그래프를 나타내었으며, 식 (1), (2)를 통 해 계산하였다(Fig. 6)[15].
위에서 E 는 에너지 밀도(Wh g-1), P 는 전압 밀도(kW kg-1), C 는 축전 용량(F g-1), t는 방전 시간(s), ΔV는 전 압창(V)을 의미한다. 전압창은 CV 그래프와 같이 0.8 V를 적용하였다. 측정 결과, 0.2 kW kg-1의 전압 밀도 에 2.03 Wh g-1을 보였으며, 이는 0.4, 0.6, 0.8, 1.0, 1.2, 1.6, 2 kW kg-1로 전압 밀도가 변화하면서 1.76, 1.54, 1.34, 1.33, 1.32, 1.08, 0.88 Wh g-1로 감소하면서 일반 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는 전류 밀도가 전압 밀도와 축 전 용량에서 계산한 결과로 축전 용량과 같은 경향성이 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PVA 계열 공중합체인 PVA-g-POEM 를 합성하여 이를 슈퍼커패시터 중 하나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해질에 활용하였다. PVA와 마찬가지로 자유 라디칼 중합을 통해 합성한 공중합체 역시 물을 활용하였으며, 인산을 첨가하여 활용하였다. 합성한 PVA-g-POEM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슈퍼커패시터용 고 체 전해질로는 처음으로 활용한 사례이다. POEM 단량 체를 그래프팅하여 PVA 고유의 구조가 변화하였으며, 이는 FT-IR이나 전기화학 성능 실험 결과를 통해 확인 하였다. 그 결과, CV 그래프에서 2 mV s-1의 주사 속도 에서 83.1 F g-1의 축전 용량의 높은 성능을 확인하였으 며, 이는 새로운 PVA 계열 그래프팅 고분자의 활용성을 보여준 연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