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MBR (membrane bioreactor) 공법은 기존의 활성슬 러지 공법보다 처리효율이 우수하고 침전조가 불필요하 므로 소요 면적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 만, 아직까지 수처리 공정에 일반적으로 적용되지는 못 하는 실정이다. 주요한 이유로는 분리막 오염(fouling)과 운전에 소요되는 높은 에너지 등이다. 일반적으로 MBR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는 기존의 활성슬러지 공정과 비 교하여 2배 이상이 필요하고 이 밖에도 분리막 세척을 위한 추가적인 화학약품과 복잡한 배관 그리고 주기적 인 분리막의 교체가 필수적이다[1,2]. 따라서 막 오염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방법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3]. 예를 들면, 미생 물들 간의 신호전달 물질을 차단하는 quorum quenching [4], 응집제 투입[5], 간헐적 산기[6], 분리막에 나노 입자 를 첨가함으로써 막 오염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방법[7,8], 분말활성탄(powdered activated carbon)을 이용한 흡착 및 물리적 세척[9], 역세척(backwashing, BW)[10] 등 다 양한 방법이 있다. 이 밖에도 기존의 MBR 운전방식인 여과/이완(filtration and relaxation, FR) 과정을 통한 간 헐적 여과와 처리수를 일정한 유속이 아닌 사인파형 연 속투과 운전(sinusoidal flux continuous operation, SFCO) 방식도 개발 중이다[11].
이 중에서 역세척 방법은 중공사형 막모듈(hollow-fiber membrane module)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지만, 막 사이에 오염물이 엉켜 훼손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평막 모듈(plate membrane module)은 오염물의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막 모듈은 외 측 프레임에만 막이 접착되고 중간 부분은 고정되어 있 지 않아 역세척을 실시할 경우, 모듈 내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역세척 유량 및 시간이 경과하면 평막이 부풀어 손상되거나 또는 장 시간 역세척 시 평막이 모듈에서 탈착될 위험이 있어 적용 사례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세척이 가능하도록 자체적으 로 지지(self-supporting)가 가능한 평막을 이용하여 경제 적이고 효율적으로 막 오염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발하 고자 한다. 역세척이 가능한 평막을 반응기에 삽입하고 하부에서 주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순환되 는 구형 입자 또는 역세척의 효과를 FR 및 SFCO 운전 방식에 따른 막간차압을 비교하였다.
2. 실험 장치 및 실험 방법
2.1. 분리막 모듈
실험에 사용한 분리막은 ‘아모그린텍’사에서 제조한 역세척이 가능한 침지형 평막으로 Fig. 1과 같다. 분리막 은 Fig. 1(a)와 같이 자체적으로 지지가 가능한 0.4 cm 두께의 평막으로 역세척이 가능하다. 실험에 사용된 분 리막 모듈은 Fig. 1(b)와 같이 한 변이 13.8 cm인 정사각 형이며, 모듈에 장착된 분리막은 가로, 세로 각각 8 cm로 양쪽 면의 분리막 면적은 128 cm2이다.
2.2. 활성슬러지 특성
본 실험에 사용한 하수는 M 환경사업소에서 채취한 반송슬러지를 사용하였다. 활성슬러지의 농도유지를 위 해 Table 1과 같이 인공폐수를 매일 주입하였다. 활성슬 러지는 Table 2와 같이 MLSS 8,000 mg/L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MLSS는 Isek사의 Partech 74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pH 및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DO)는 Istek사의 125PD로 측정하였다.
2.3. 구형 입자
구형 입자의 밀도를 유체의 밀도와 같게 제작하여 부 력과 중력의 힘을 동일하게 하면 중성부력(neutral buoyancy) 을 유지하고 추가적인 에너지 없이 유체의 흐름만 으로 입자가 순환하며 분리막 표면을 효율적으로 세척 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지름이 1 cm이고 중간에 약 2 mm 크기의 원통형 공간이 있는 플라스틱 구형 입자 를 사용하였으며 밀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입자 중간 빈 공간에 에폭시 접착제를 소량 주입하여 구형 입자를 제 조하였다[12].
2.4. MBR 반응기 제작
투과 실험에 사용한 MBR 반응기는 Fig. 2와 같이 투 명한 아크릴로 제작하였다. 반응기는 가로 16 cm, 세로 10 cm, 높이 30.5 cm로 내부 부피는 약 4 L이다. 반응기 내부에는 분리막 모듈을 장착할 수 있도록 분리막 모듈 두께 1.3 cm보다 조금 큰 1.4 cm의 공간을 확보하였다. 구형 입자가 분리막 표면과 접촉하면서 원활히 순환할 수 있도록 분리막 모듈 양쪽 면에 입자 직경인 1 cm보 다 큰 1.2 cm의 공간을 확보하였으며 두께 0.3 cm의 장 애판을 삽입하였다.
2.5. 실험 장치
FR 및 SFCO 운전방식의 MBR 장치 개략도는 Fig. 3 과 같다. 활성슬러지가 들어가 있는 4 L 크기의 MBR 반응기(1)에 에어 블로워(2)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였다. 공기의 유량은 유량계[(3), RMA-26-SSV, Dwyer]를 이 용하여 조절하고 산기관(4)을 통해 공기를 MBR 반응기 하부로 공급하였다. 반응기 하부에서 산기된 공기는 구 형 입자(5)를 유체와 함께 자연적으로 분리막과 장애판 (6) 사이를 순환하게 한다. 장애판 사이에 역세척이 가능 한 평막(7)을 설치하고 분리막과 연결된 펌프[(8), JWS 600, Jeniewell]를 통해 FR 및 SFCO 운전방식으로 분리 막을 투과시킨다. 투과액은 활성슬러지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MBR 반응기로 순환시켰다. 막간차압 은 압력계[(9), PTDC-500RCIA, Sensys]로 측정하고 컴 퓨터(10)로 일정 시간마다 자동으로 기록하였다.
역세척(BW)이 가능한 FR/BW 및 SFCO/BW 운전방 식의 MBR 장치 개략도는 Fig. 4와 같이, 역세척이 가능 하도록 역세용 펌프(8-b) 및 압력계(9-b)를 역세수 저장조 (12)와 추가적으로 연결하였다. 투과 운전은 펌프(8-a)를 통해 FR 또는 SFCO 방식으로 분리막을 투과하여 저장 조(11)에 축적한다. 역세척은 투과용 펌프(8-a)를 정지시 키고, 역세용 펌프(8-b)를 작동시켜 저장조의 물로써 역 세척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펌프(8)는 연동형 펌 프이므로 체크밸브 없이도 역류를 방지할 수 있었다.
2.6. 실험 방법
2.6.1. FR 및 SFCO 운전
본 실험은 1개의 분리막을 MBR 반응기 내에 침지시 키고 동일한 조건의 투과유속, 200 및 500 mL/min 산 기량에서 FR 또는 SFCO 방식으로 실험하였다. FR 운 전방식은 10분 투과 운전 후 2분 이완하는 주기로 반복 운전하였다. SFCO 운전은 12분 주기를 기준으로 1분마 다 투과 유량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매 주기당 투 과 유량이 FR 방식과 같은 부피가 되도록 Labview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투과 파형을 조절하였다[11].
2.6.2. 역세척 및 구형입자 세척
역세척 유량을 47, 33, 23, 14 L/m2⋅hr로 변화시키거 나, 또한 역세척 시간을 60, 30, 10 sec/cycle로 변화시 키면서 최적의 역세척 조건을 모색하였다.
이 밖에, 투과유속 20 L/m2⋅hr일 경우, 이상의 최적 역세척 조건에서 구형입자를 MBR 반응조에 투입되는 활성슬러지 3.5 L 기준 1.5 vol% 농도로 투입하여 구형 입자에 따른 추가적인 TMP 변화를 측정하였다.
2.7. 분리막 세척
매 투과 실험을 마친 뒤 분리막 표면을 부드러운 재 질의 스펀지로 20회 이상 닦아내 물리적 세척을 하였고 NaOCl 0.5 wt% 수용액에 15분간 침지시켜 15분간 화 학적 세척을 실시하였다. 그 후 분리막을 순수에 침지시 켜 TMP를 측정하고 초기 순수에 침지시켜 측정한 TMP 값과 10% 오차 범위일 때까지 화학적 세척을 반복 실 시하였다.
3. 실험 결과 및 고찰
3.1. 역세척 유량에 따른 TMP 변화
FR 및 FR/BW 운전방식은 MLSS 8,000 mg/L, 산기 량 200 mL/min 및 20 L/m2⋅hr 조건 하에 진행하였고 역세척 시간은 60 sec/cycle에서 역세척 유량을 47, 33, 23, 14 L/m2⋅hr로 감소시키면서 이에 따른 TMP 변화 를 측정하여 Fig. 5에 나타내었다. 역세척을 실시하지 않 을 경우, TMP는 급격히 증가하여 6번째 주기에서는 10.0 kPa까지 증가하였으며 이를 1번째 주기와 비교하면 2.2 배에 해당된다. 그러나 47 L/m2⋅hr로 역세척을 실시하 면 TMP는 6번째 주기에는 5.1 kPa까지 서서히 TMP가 증가하였으며 1번째 주기 TMP보다는 32% 상승하였다. 계속해서 역세척 유량을 33, 23, 14 L/m2⋅hr까지 감소 시킬 경우, 6번째 주기에서의 TMP는 각각 5.7, 6.1, 6.9 kPa까지 증가하였으며, 1번째 주기 TMP와 비교하면 각 각 27, 50, 90% 상승하였다. 역세척 유량이 가장 큰 47 L/m2⋅hr에서 FR에 대한 FR/BW의 역세척에 따른 TMP 감소 효과는 49%이었다.
SFCO 및 SFCO/BW 운전방식은 FR 및 FR/BW와 동 일한 조건에서 역세척 유량을 47 및 14 L/m2⋅hr로 변화 시키면서 이에 따른 TMP 변화를 측정하여 Fig. 6에 나 타내었다. SFCO 방식의 6번째 주기 최대 TMP는 31.7 kPa이었으며 이는 1번째 주기 최대 TMP의 9.1배에 해 당된다. 그러나 47 및 14 L/m2⋅hr 조건에서 역세척을 동반하는 SFCO/BW 방식 6번째 주기의 최대 TMP 값 은 각각 6.1, 15.7 kPa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1번째 주기 최대치의 각각 1.8 및 4.5배에 해당된다.
역세척에 의한 TMP 감소효과는 일정한 투과유속에서 지속적으로 오염되는 FR 운전방식보다는 투과유속이 변 하여 오염도가 운전시간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는 SFCO 운전방식에서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2. 역세척 시간에 따른 TMP 변화
FR 및 FR/BW 운전방식은 MLSS 8,000 mg/L, 산기 량 200 mL/min 및 20 L/m2⋅hr 조건 하에 수행하였고 역세척 유량은 47 L/m2⋅hr에서 역세척 시간을 60, 30, 10 sec/cycle로 감소시키면서 이에 따른 TMP 변화를 측정하여 Fig. 7에 나타내었다. 역세척을 실시하지 않을 경우, TMP는 급격히 증가하여 6번째 주기에서는 10.0 kPa까지 증가하였으며, 이는 1번째 주기 TMP보다 123% 증가한 값이다. 그러나 60 sec/cycle로 역세척을 실시하면 TMP는 6번째 주기에는 5.1 kPa까지 서서히 TMP가 증 가하였으며 1번째 TMP보다는 32% 높은 값이다. 또한 역세척 시간을 30 sec로 감소시키면 6번째 주기에서의 TMP는 5.6 kPa까지 증가하였으며 계속해서 10 sec/cycle까지 감소시킬 경우, 6번째 주기에서의 TMP는 5.7 kPa까지 약간 증가하였다. 따라서 비록 짧은 시간동안 역세척을 실시하더라도 TMP의 상승을 제어 가능한 것 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SFCO 및 SFCO/BW 운전방식은 FR 및 FR/BW의 운 전방식과 동일한 조건에서 역세척 시간을 60 및 10 sec/ cycle로 변화시켰으며 이에 따른 TMP를 Fig. 8에 나타 내었다. 60 sec/cycle 역세척 조건에서 6번째 주기에서의 최대 TMP는 6.1 kPa이었으며, 역세척이 없는 SFCO 운 전방식의 최대 TMP 값인 31.7 kPa와 비교하면 81%의 TMP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역세척 시간을 10 sec/ cycle까지 감소시키면, 6번째 주기에서의 최대 TMP는 7.7 kPa로 약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FR, FR/BW, SFCO 및 SFCO/BW의 모든 운전방식에 서 주기당 총 투과량은 42.6 mL/cycle이다. 47 L/m2⋅ hr, 60 sec/cycle 조건으로 역세척할 경우, 필요한 역세 척수는 10 mL/cycle이며 투과수중 일부를 역세척수로 사용한다면 유효 투과수량은 32.6 mL/cycle로써 투과수 회수율은 77%에 해당한다. 하지만, 47 L/m2⋅hr, 10 sec/ cycle 조건으로 역세척할 경우는 1.7 mL/cycle의 역세 척수가 소모되며 투과수 회수율은 96%에 이른다. 따라 서 투과수 회수율과 TMP 상승에 따른 공정비 증가를 고려하여 경제적인 역세척 조건을 결정하여야 한다.
3.3. 역세척 및 구형 입자에 따른 TMP 변화
MLSS 8,000 mg/L, 산기량 500 mL/min 및 20 L/m2 ⋅hr 조건하에서 구형 입자의 농도를 0 또는 1.5 vol%, 역세척 조건은 47 L/m2⋅hr, 10 sec/cycle에서 FR 및 FR/BW 방식으로 운전하면서 TMP 변화를 측정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구형입자가 없는 FR 및 FR/BW 운전 방식에서 TMP는 6번째 주기에서 각각 43.1, 13.1 kPa 까지 상승하였다. 계속해서 구형입자 1.5 vol%를 투입 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FR 및 FR/BW 방식으로 운전할 경우, 6번째 주기에서의 최대 TMP는 각각 37.3, 9.6 kPa 이었다. 따라서 구형 입자를 추가한 FR 및 FR/BW 방 식의 TMP 감소 효과는 각각 14, 27%로, 역세척을 동반 하는 경우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SFCO 및 SFCO/BW 방식도 동일한 조건에서 운전하 면서 TMP 변화를 측정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구형 입자가 없는 SFCO 및 SFCO/BW 방식의 6번째 주기에 서의 최대 TMP는 32.0, 9.9 kPa이었다. 구형입자를 투 입할 경우, SFCO 및 SFCO/BW 방식의 6번째 주기에 서의 최대 TMP는 각각 25.9, 7.6 kPa이었다. 따라서 구 형 입자를 추가한 SFCO 및 SFCO/BW 방식의 TMP 감 소 효과는 각각 19, 23%로, FR 운전방식에서와 같이 역 세척을 동반하는 경우가 조금 더 효과적이었다.
4. 결 론
역세척이 가능한 침지형 평막을 사용하여 FR 및 SFCO 운전방식으로 역세척 또는 구형입자에 따른 TMP 변화 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