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최근, 음이온교환막(AEM, anion exchange membrane) 은 도금산업에서 유용한 금속의 회수 및 해수 담수화 등 을 위한 전기투석(ED, electrodialysis)[1-4], 연료전지 자 동차를 위한 연료전지(FC, fuel cell)[5-11], 염분차 발전 을 위한 역전기투석(RED, reverse electrodialysis)[12], 전 기 에너지의 저장을 위한 레독스 흐름 전지(RFB, redox flow battery)[13-19], 수소제조를 위한 수전해(WE, water electrolysis)[20,21] 등에 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연료전지, 수전해, 레독스 흐름 전지와 같은 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에 사용되는 AEM은 음이온 을 선택투과시킴과 동시에 양극 반응과 음극 반응을 분 리하는 역할을 담당하여야 하며 장치의 장기적 안정성 을 위해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한다[18,19]. 일반적 으로 높은 이온교환용량(IEC, ion exchange capacity)을 갖는 AEM은 높은 이온 전달 속도를 달성할 수 있지만, 물의 팽윤에 따른 기계적 물성이 감소하게 된다[1]. 높 은 이온교환기 함량에 의한 AEM의 물 팽창과 연료전 지, 수전해 또는 레독스 흐름 전지의 셀 스택 내부에서 의 장치 어셈블리와 유체에 의한 압력 상승은 막에 크 랙을 형성하고 확대시킬 수 있다[17]. 이러한 미세 균열 은 전해액을 누출시켜 배터리 또는 전지의 용량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최근, AEM의 분자구조를 블록 공중합 체로 형성함으로써 이온 그룹이 없는 폴리머 부분의 응 집력으로 막의 팽윤을 조절함으로써 AEM에서의 물 팽 창에 따른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고 보 고되고 있다[1,22,23].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은 에너 지 밀도가 낮고, 간헐적이기 때문에 원활한 전력의 공 급 및 운전을 위해 대용량 전력저장 기술이 필요하며, RFB는 그중의 하나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 히, 활물질로 바나듐을 사용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 지(VRFB, vanadium redox flow battery)는 재생에너지 의 원활한 전력공급과 부하 평준화, 비상용 전력을 위 한 전력저장 시스템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4,25]. VRFB에 사용되는 AEM은 iR 손실에 의한 전압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낮은 막 저항 또는 높은 이온전 도도를 가져야 하며, 전해액으로 사용되는 4가지 바나듐 이온(V2+, V3+, VO2+, VO2+)이 막을 통해 상대 전극으 로 이동하여 자기 방전함으로서 발생하는 전류효율의 저 하를 방지하기 위해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가 낮아야 한다. 또한 산화제로도 사용되는 5가 바나듐이온에 대 한 내구성이 높아야 하며, 가격도 낮아야 한다[26]. 이 러한 목적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VRFB용 AEM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4가지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 에 대한 연구결과는 많지 않다[13-17].
본 연구에서는 내산화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엔지니 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에테르설폰(PES, poly(ether sulfone))과 폴리페닐렌설파이드설폰(PPSS, poly(phenylene sufide sulfone))을 블렌딩한 폴리머(PES-PPSS)를 이용하여 클로로메틸화와 아민화에 의해 음이온교환막 을 제작하였다. 또한 제작한 AEM의 이온전도도, 이온교 환용량, 함수율과 같은 막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각 바 나듐 이온의 투과도를 측정하여 VRFB용 음이온교환막 으로 사용가능한지를 평가하였다.
2. 실 험
2.1. PES-PPSS 음이온교환막의 제조
2.1.1. PES-PPSS 블렌딩 고분자의 제조
PES-PPSS 블렌딩 고분자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6 g의 4,4’-dichlorodiphenylsulfone (DCDPS)를 반응 기에 넣고, 120 mL의 유기용매인 1-methyl-2-pyrrolidinone (NMP)로 용해시키고, 4.6 g의 sodium sulfide hydrate (SSH)와 6.1 g의 촉매인 lithium acetate dehydrate (LAD)를 넣어, 100°C와 질소분위기하에서 1 hr 동안 교 반하면서 중합시켰다(Scheme 1). 여기에 13.2 g의 폴리 에테르설폰(PES, Sigma aldrich Co., pellets type)을 첨 가하고, 질소가스를 흘려주면서 160°C까지 승온 시킨 후, 160°C에서 4 hr 동안 블렌딩시켰다. 블렌딩이 완료되는 시점에 반응정지제인 3-chloro-2-methyl-1-propene (CMP) 를 서서히 주입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이 정지된 후 생성된 NaCl, 미 반응물과 과량의 반응정지제를 제 거하기 위해 증류수와 메탄올을 이용하여 세척하였으며, 세척한 반응물은 메탄올에 24 hr 이상 침적시켜 남은 미 반응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침적물은 50°C에서 30 min 건조한 후 실온에서 12 hr 이상 건조하여 PES-PPSS 블렌딩 고분자를 얻었다.
2.1.2. 클로로메틸화
제조한 PES-PPSS 블렌딩 고분자에 음이온교환기인 아 민기를 도입하기 위해 클로로메틸화(chloromethylation) 를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52 wt.%의 제조한 PES-PPSS 블렌딩 고분자, 31 wt.% 의 chloromethyl methyl ether (CMME), 10 wt.%의 촉 매인 tin(II) chloride dihydrate (TCD)를 반응기에 넣고, 50 mL의 1,1,2,2-tetrachloroehtane (TCE)로 용해시킨 후, 110°C에서 약 4 hr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미 반응물과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와 메탄올 을 이용하여 세척하였으며, 세척한 반응물은 메탄올에 24 hr 이상 침적시켰다. 침적물은 50°C에서 10 min 건조하 여 클로로메틸화된 PES-PPSS (Scheme 2)를 얻었다.
2.1.3. 아민화와 음이온교환막의 제작
클로로메틸화된 PES-PPSS (CBCP)에 음이온교환기인 아민기의 도입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2 g의 클로로메틸화된 PES-PPSS를 10 mL의 TCE로 용해시킨 후, 110°C에서 교반하면서 trimethylamine (TMA)를 CBCP와 무게비로 1 : 1이 되도록 첨가한 후 약 4 hr 동안 반응시켰다. 아민화된 용액을 닥터블레이 드를 이용하여 캐스팅한 후 드라이 오븐을 이용하여 110 °C에서 1 hr 동안 건조하여 Fig. 1과 같은 분자구조를 갖는 음이온교환막을 얻었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FFI Co., Quanta 200 model)을 이용하여 표면과 단면을 분석하였으며,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XS, Bruker Co., Quantax EDS system)를 활 용하여 20 keV에서 막 내부의 원소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Jacso Co., 4100 model)를 이용하여 600~4,000 cm-1의 파장범위에서 음이온교환기의 도입여부를 확인하였다.
2.2. 막 특성 측정
2.2.1. 막 저항
막 저항은 Fig. 2의 장치와 1 M (mol/L) 황산 수용액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 M H2SO4 수용액에서의 막 저항은 실온과 1~100 kHz의 주파수에서 LCR메터(Furuka Co. PM-6304)를 이 용하여 측정하였다. 막 저항은 식 (1)로부터 계산하였다. 막의 유효면적은 0.75 cm2이다.
여기서, R은 막 저항(Ω⋅cm2), R1은 막을 주입했을 때 의 저항(Ω), R2는 막을 주입하지 않았을 때의 저항(Ω), S는 막의 유효면적이다.
이온전도도(IC, ionic conductivity)는 식 (2)로부터 계 산하였다.
여기서, IC는 이온전도도(S/cm), R은 막 저항(Ω⋅cm2), t는 막의 두께(mm)이다.
2.2.2. 이온교환용량
이온교환용량(IEC, ion exchange capacity)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을 증류수에 하루 정도 침적시킨 후, 1 M NaOH 수용액에 2일 동안 재침적 시킴으로써 막을 OH-기를 갖는 형태로 전환하였다. 이때 1 M NaOH 수용액은 4 hr마다 교환하였다. 다음으로 막을 증류수 로 세척한 후, 4 hr 동안 증류수 침적시켜 알칼리를 대 부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막은 휴지로 가볍게 물 기를 제거한 후, 30 mL의 0.01M HCl 수용액에 24 hr 동안 침적시켰다. 이온교환용량은 이 용액을 산-염기 적 정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용량은 식 (3)에 의해 계산하였다.
여기서 IEC는 이온교환용량(meq./g-membrane), M0,HCl 은 적정 전 HCl의 몰(mol), ME,HCl은 적정 후 HCl의 몰 (mol), W는 막의 건조 질량(g)이다.
2.2.3. 함수율
이온교환용량 측정이 끝난 막을 24 hr 동안 증류수에 침적시키고, 막을 꺼내 휴지로 표면의 물기를 가볍게 제 거한 후, 적은 상태에서의 막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다 음으로 이 막을 드라이 오븐을 이용하여 60°C에서 막 의 중량이 변하지 않을 때까지 건조하였다.
함수율(WC, water content)은 식 (4)에 의해 계산하 였다.
여기서, WC는 함수율(%), WB는 막의 젖은 질량(g), WA는 막의 건조 질량(g)이다.
고정이온 농도는 이온교환용량과 함수율 값을 활용하 여 식 (5)에 의해 계산하였다.
여기서, FIC는 고정이온 농도(meq./g-H2O), IEC는 이 온교환용량(meq./g-membrane), WC는 함수율(%)이다.
2.3. 바나듐 이온의 막 투과도 측정
막을 통한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는 Fig. 3의 장치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한쪽의 삼각 플라스크에는 1 M 황산 수용액을 넣고, 다른 한쪽의 삼각 플라스크에는 각 바나듐 이온 수용액 을 넣었다. 4가(VO2+) 바나듐 이온 수용액은 1 M VOSO4 를 1 M H2SO4 용액에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3가(V3+)와 5가(VO2+) 바나듐 이온 수용액은 4가 바나듐 이온 수용 액을 전해-환원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2(V2+)가 바나듐 이온 수용액은 3가 바나듐 이온 수용액을 전해-환원하 여 제조하였다. 각 삼각 플라스크의 용액 양은 50 mL로 하였다. 두 용액을 실온에서 막으로 분리된 셀을 통해 순환시켰다. 막의 유효면적은 40 cm2이었다. 5, 15, 30, 60 및 180 min에 5 mL의 샘플을 황산용액이 있는 삼 각 플라스크로부터 채취하였다. 채취한 샘플에 있는 바 나듐은 ultraviolet-visible (UV-vis) 분광 광도계를 이용 하여 분석했다.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는 식 (6)에 의해 계산하였다.
여기서 P는 투과도(cm2/min), L은 막의 두께(mm), A 는 막의 면적(cm2), VB는 황산수용액의 체적(cm3), CB는 일정 시간 후 황산용액에 있는 바나듐 이온의 농도(mol), CA는 바나듐 이온 용액에서의 바나듐 이온의 농도(mol), t는 시간(min)이다.
3. 결과 및 고찰
3.1.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모폴로지
Fig. 4는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SEM으로 측정한 표 면과 단면을 나타낸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은 마이크로 기공이 없는 표면을 가지며 마이크로미터 캘리퍼(micrometer caliper)로 측정 한 두께는 110~280 μm이었다. 단면을 보면 기공이 보 이나 이 기공들은 채널이 닫혀 있기 때문에 수용액들은 통과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5는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EDXS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은 C, S, O, Cl과 N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원자 비율은 C는 64.67%, S는 8.10%, O는 16.05%, Cl은 7.21%, N은 3.97%를 가지고 있다. Fig. 5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에는 PES 고분자 구조에 있는 -O-, PPSS 고분자 구조에 있는 -S-, 클로로메틸화에 따른 -Cl-과 아민화에 따른 -N-이 막의 고분자 구조에 결합되어 있다. EDXS의 분석 결과로부 터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은 음이온교환기를 가지고 있음 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6은 FT-IR로 측정한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I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IR 스펙트럼의 투과율 값은 719.5 cm-1에서 C-Cl의 신축진동, 765 cm-1, 1,011.7 cm-1, 1,072.9 cm-1과 1,150.9 cm-1에서 하나의 치환기를 가지는 벤젠환의 면외 변각진동, 1,486 cm-1에서 CH3-N의 CH3 대칭 변각진동, 1,406 cm-1에서 CH3-NH의 굽힘진동, 1,577.9 cm-1에서 벤젠 및 그 유도체의 면내 골격진동 을 보이고 있다. FT-IR의 분석 결과로부터 제작한 음이 온교환막은 음이온교환기인 아민의 진동을 보이고 있음 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막 특성
Table 1은 제작한 음이온교환막과 시판의 음이온교환 막의 막 저항과 이온전도도를 나타낸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이온전도도는 PAME-1에서 0.015 S/cm, PAME-2에서 0.083 S/cm를 보였다. 시판 의 음이온교환막의 이온전도도는 APS에서 0.037 S/cm, AFN에서 0.03 S/cm를 보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과 시판의 음이온교환막의 이온 전도도는 PAME-1 < AFN < APS < PAME-2의 순서로 높은 값을 보였다. 이 결과로부터 제작한 음이온교환막 은 시판의 음이온교환막과 비교하여 이온전도도 면에서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able 2는 제작한 음이온교환막과 시판의 음이온교환 막의 이온교환용량과 함수율을 나타낸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용량은 PAME-1에서 6.05 meq./g-membrane, PAME-2에서 5.89 meq./g-membrane를 보였다. 시판의 음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용량은 APS에서 0.78 meq./g-membrane, AFN에서 0.79 meq./ g-membrane를 보였다. 함수율은 PAME-1에서 30.8%, PAME-2에서 40.0%, APS에서 60.3%, AFN에서 49.8% 를 보였다. 고정이온 농도는 PAME-1에서 19.7 meq./ g-H2O, PAME-2에서 14.7 meq./g-H2O, APS에서 1.29 meq./g-H2O, AFN에서 1.58 meq./g-H2O를 보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과 시판의 음이온교환막의 이온 교환용량은 APS ≒ AFN < PAME-2 < PAME-1의 순 서로, 함수율은 PAME-1 < PAME-2 < AFN < APS의 순서로, 고정이온 농도는 APS < AFN < PAME-2 < PAME-1의 순서로 높은 값을 보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용량과 고정이온 농 도는 시판의 음이온교환막과 비교하여 높은 값을 보이 고 있으며, 함수율은 시판의 음이온교환막과 비교하여 약간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서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높은 이온교 환용량을 갖는 AEM은 높은 이온 전달 속도를 달성할 수 있지만, 물의 팽윤에 따른 기계적 물성이 감소한다 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에서 이러 한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 향후 황산 수용액에서의 시간 에 따른 막 특성 변화를 측정하는 내구성과 이에 따른 기계적 강도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3.3.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바나듐 이온 투과도
각 바나듐 이온(V2+, V3+, VO2+, VO2+)의 투과도는 시 판의 양이온교환막인 Nafion 117, 시판의 음이온교환막 인 AFN과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인 PAME-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Table 3은 Nafion 117, AFN, PAME-2막에서 각 바 나듐 이온의 투과를 나타낸다.
양이온교환막인 Nafion 117막에서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는 2가 바나듐 이온(V2+)의 경우 1.86 × 10-6 cm2/min, 3가 바나듐 이온(V3+)의 경우 2.33 × 10-6 cm2/min, 4가 바나듐 이온(VO2+)의 경우 6.04 × 10-6 cm2/min, 5가 바나듐 이온(VO2+)의 경우 2.65 × 10-6 cm2/min를 보였다.
음이온교환막인 AFN막에서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 는 2가 바나듐 이온(V2+)의 경우 1.03 × 10-6 cm2/min, 3가 바나듐 이온(V3+)의 경우 1.72 × 10-6 cm2/min, 4가 바나듐 이온(VO2+)의 경우 5.90 × 10-6 cm2/min, 5가 바 나듐 이온(VO2+)의 경우 8.09 × 10-6 cm2/min를 보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인 PAME-2막에서 각 바나듐 이 온의 투과도는 2가 바나듐 이온(V2+)의 경우 1.08 × 10-6 cm2/min, 3가 바나듐 이온(V3+)의 경우 1.25 × 10-6 cm2/min, 4가 바나듐 이온(VO2+)의 경우 0.28 × 10-6 cm2/min, 5가 바나듐 이온(VO2+)의 경우 0.43 × 10-6 cm2/min를 보였다.
Table 3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음이온교환막인 AFN 의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는 5가 바나듐 이온을 제외하 고 양이온교환막인 Nafion 117보다 낮은 값을 가졌다. 또한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인 PAME-2막의 바나듐 이온 의 투과도는 4가지 바나듐 이온에서 Nafion 117보다 낮 은 값을 가졌다. 일반적으로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는 양이온교환막과 비교하여 음이온교환막이 낮은 값을 갖 는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높은 바나듐 농 도와 황산 수용액에서 크게 나타날 것이다[18,25].
2가, 3가, 4가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는 Nafion 117 > AFN > PAME-2의 순서로, 5가 바나듐 이온의 투과는 AFN > Nafion 117 > PAME-2의 순서로 낮은 값을 보 였다. 또한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인 PAME-2의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는 Nafion 117과 비교하여 2가와 3가 바 나듐 이온의 경우 약 1/2의 값을, 4가 바나듐 이온의 경 우 약 1/30의 값을, 5가 바나듐 이온의 경우 약 1/6의 값을 보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는 시판의 양이온교환막인 Nafion 117과 시판의 음이온교환막인 AFN막보다 낮은 값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은 각 바나듐 이온의 낮은 투과도와 함께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격막으 로 사용이 가능하며, 바나듐 이온의 투과에 의한 전류효 율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내산화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엔지니어 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에테르설폰(PES, poly(ether sulfone))과 폴리페닐렌설파이드설폰(PPSS, poly(phenylene sufide sulfone))을 블렌딩시킨 폴리머(PES-PPSS)를 활용하여 클로로메틸화와 아민화에 의해 음이온교환막 (AEM)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AEM의 이온전도도와 이 온교환용량과 같은 막 특성과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 를 측정하여 VRFB용 음이온교환막으로 사용가능한지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1) EDXS와 FT-IR 분석에 의해 제작한 음이온교환막 에 음이온교환기가 도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2) 1 M H2SO4 수용액에서 이온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이온전도도는 0.015~0.083 S/cm 를 보였으며, 시판의 음이온교환막인 APS와 AFN과 비 교하여 이온전도도 면에서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3)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용량은 5.89~6.05 meq./g-membrane을 보였으며, 시판의 음이온교환막인 APS와 AFN보다 높은 값을 가졌다.
-
4) 제작한 음이온교환막(PAME-2)의 바나듐 이온 투과 도를 측정한 결과, 2가 바나듐 이온(V2+)의 경우 1.08 × 10-6 cm2/min, 3가 바나듐 이온(V3+)의 경우 1.25 × 10-6 cm2/min, 4가 바나듐 이온(VO2+)의 경우 0.28 × 10-6 cm2/min, 5가 바나듐 이온(VO2+)의 경우 0.43 × 10-6 cm2/min를 보였다.
-
5) 제작한 음이온교환막(PAME-2)의 바나듐 이온 투 과도는 시판의 음이온교환막인 AFN보다 낮은 값을 가 졌으며, 시판의 양이온교환막인 Nafion 117과 비교하여 2가와 3가 바나듐 이온의 경우 약 1/2의 값을, 4가 바나 듐 이온의 경우 약 1/30의 값을, 5가 바나듐 이온의 경 우 약 1/6의 값을 보였다.
-
6)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은 각 바 나듐 이온의 낮은 투과도와 함께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격막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바나듐 이온의 투과 에 의한 전류효율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 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