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088(Print)
ISSN : 2288-7253(Online)
Membrane Journal Vol.29 No.1 pp.44-50
DOI : https://doi.org/10.14579/MEMBRANE_JOURNAL.2019.29.1.44

Highly-permeable Mixed Matrix Membranes Based on SBS-g-POEM Copolymer, ZIF-8 and Ionic Liquid

Dong A Kang, Kihoon Kim, Jong Hak Kim†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50 Yonsei-ro, Seodaemun-gu, Seoul 03722, South Korea
Corresponding author(e-mail: jonghak@yonsei.ac.kr)
February 20, 2019 ; February 26, 2019 ; February 26, 2019

Abstract


In this paper, we developed mixed matrix membranes (MMMs) consisting of SBS-g-POEM block-graft copolymer, ionic liquid (EMIMTFSI) and ZIF-8 nanoparticles to separate a CO2/N2 gas pair. The SBS-g-POEM is a rubbery block-graft copolymer synthesized through low-cost free-radical polymerization. The EMIMTFSI was dissolved into the SBS-g-POEM matrix and solution synthesized ZIF-8 nanoparticles were also dispersed into the copolymer matrix.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anufactured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X-ray diffraction (XRD), which showed that the components we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gas separation performance was confirmed by time-lag measurements showing CO2 permeability of 537.0 barrer and CO2/N2 selectivity of 15.2. The result represents the EMIMTFSI and ZIF-8 nanoparticles improves the gas permeability more than two-times, without significantly sacrificing the CO2/N2 selectivity.



SBS-g-POEM 공중합체, ZIF-8, 이온성 액체에 기반한 고투과성 혼합 매질 분리막

강 동 아, 김 기 훈, 김 종 학†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초록


본 논문에서는 SBS-g-POEM 블록-그래프트 공중합체, 이온성 액체(EMIMTFSI) 및 ZIF-8 나노 입자를 사용하여 CO2/N2 기체를 분리하기 위한 혼합 매질 분리막(MMMs)을 개발하였다. SBS-g-POEM은 낮은 비용이 드는 자유 라디칼 중합 법을 통해 합성된 유연한 블록-그래프트 공중합체이다. EMIMTFSI는 SBS-g-POEM 매트릭스에 용해시켰으며, 합성된 ZIF-8 나노 입자들 역시 공중합체의 매트릭스에 분산시켰다. 제조된 시료들의 특성은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법(FT-IR), 시차 주사 열 량계(DSC), 주사 전자 현미경(SEM), X선 회절 분석(XRD)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분석 결과 각 성분들은 서로 간의 좋은 혼화성 을 나타내었다. 기체 분리 성능은 time-lag measurements를 통해 확인되었으며, 537.0 barrer의 CO2 투과도와 15.2의 CO2/N2 선택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첨가된 EMIMTFSI와 ZIF-8 나노 입자는 CO2/N2 선택도를 크게 희생시키지 않고 기체 투과 도를 두 배 이상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7R1A4A1014569
    2017K1A3A1A16069486

    1. 서 론

    최근, 가스 배출 저감 기술은 대기로의 유해 가스 배 출을 줄이기 위한 기술로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으 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학적, 물 리적 흡착 또는 분리막과 같은 기술 등이 고려되고 있 다[1-5]. 그중 고분자 분리막 기술은 산업적, 상업적 응 용을 위한 방법으로서 집중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다른 여타 기술들과 비교하여 고분자 분리막 기술은 높은 에 너지 효율성, 낮은 운영 비용 및 환경 친화성이라는 탁 월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6,7]. 분리를 목적으로 여러 가 스 쌍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그중 CO2/N2 기체 분 리 역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주제 중 하나이다. 많은 연구와 통계에 따르면 CO2 배출원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곳은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에너지 발전소이다[8,9]. 연도 가스(flue gas)에서 CO2는 약 20%, N2는 약 70%를 차지하기 때문에 CO2/N2 기체 분리는 대기로의 CO2 배출 감소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적인 목표이다[10].

    고분자 막은 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 개발돼 왔지만 기체 투과도와 선택도 사이의 관계는 ‘Robeson upper bound’라는 명확한 한계가 있다[11]. 일반적으로 가스 투과도가 증가하면 선택도는 감소한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고분자 매트릭스에 유/무기 필러(fillers)를 삽입한 혼합 기질 막(mixed matrix membranes, MMMs) 이 개발되고 있다[12]. 여러 종류의 필러 중에서, metal organic frameworks (MOFs)은 가스 분리막에 가장 많 이 연구 및 적용되고 있는 물질이다[13-15]. MOF는 금 속 이온을 중심으로 유기 분자(organic linkers)가 둘러 싼 구조를 가지며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을 지니고 있 다[16,17]. 또한 특징적인 미세 다공성 구조로 인해 기 체 분리막에 적용 시 molecular sieving mechanism 통 하여 어느 정도 선택성을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기체 투 과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양한 MOF 물질 중 Zn 이 온과 2-methylimidazole linkers로 구성된 ZIF-8는 기공 크기가 CO2와 N2의 kinetic diameter 사이인 3.4 Å이다. 따라서 ZIF-8은 CO2와 N2를 분리하기 위한 필러의 후 보 물질로 연구되고 있다[18].

    Room temperature ionic liquids (RTILs)는 실온 이하 의 녹는점을 갖는 액체 상태의 염이며, 일반적으로 유기 양이온 및 무기 또는 유기 음이온으로 구성된다[19]. 높 은 열적 안정성, 낮은 증기압 및 CO2와 같은 특정 가스 분자에 대한 높은 용해도 때문에, RTIL는 막의 분리 성 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분자 분리막의 첨가제로 활용 될 수 있다[20]. 몇 가지 종류의 RTIL 중 상업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 imide (EMIMTFSI)는 녹는점이 약 -15°C 이하이며 양이온의 imidazolium 때문에 CO2 용해도가 높다[21]. 또한, TFSI 음이온은 여러 종류의 음 이온 중 상대적으로 높은 CO2 친화성을 갖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22].

    본 논문에서는 poly(styrene-b-butadiene-b-styrene)-g- poly(oxyethylene methacrylate) (SBS-g-POEM) 블록-그 래프트 공중합체를 폴리머 매트릭스로, ZIF-8을 필러로, EMIMTFSI를 첨가제로 사용하여 MMM을 제작하였다. SBS-g-POEM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우수한 기체 분리 성 능을 가지는 고분자이다[20]. 독특한 유동성과 전하 특성 으로 인해 RTIL은 MOF/폴리머 매트릭스에 적용될 경 우 일종의 wetting agent로 작용하여 MOF의 분산을 향 상시키고 MOF와 폴리머 매트릭스 사이의 빈 공간을 채 울 수 있다[23]. 여기에서 제조된 시료들은 FT-IR, DSC, XRD, SEM을 사용하여 특성 분석을 하였다. 기체 투과 성능은 35°C에서 time-lag measurements를 통해 측정하 였다. Scheme 1

    2. 실 험

    2.1. 시약 및 재료

    Poly(styrene-block-butadiene-block-styrene) (SBS, styrene 30 wt%, Mw = 140,000 g mol-1),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 (POEM, Mn = 500 g mol-1), zinc nitrate hexahydrate (99%), 2-methylimidazole (MeIm, 99%), dicumyl peroxide (DCP, 98%), 1-Ethyl- 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EMIMTFSI, 98%)는 Sigma-Aldrich에서 구매하였다. Toluene (99.5%), methanol (MeOH, 99.5%), and tetrahydrofuran (THF, 99.5%)는 J.T. Baker에서 제조한 물품 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2.2. SBS-g-POEM 블록-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합성

    먼저, SBS 8 g을 실온에서 toluene 100 mL에 2시간 이상 격렬히 교반해 용해시켰다. 이어서, 24 g의 POEM 및 0.6 g의 DCP를 첨가하고, 균일한 용액이 얻어질 때 까지 혼합물을 하룻밤 정도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그 다음 용액을 250 mL 둥근 플라스크로 옮기고 N2 가스 로 약 40분 가량 퍼지(purge)하였다. 그 후 플라스크를 반응기로 옮기고 100°C에서 16시간 동안 고분자 중합 반응을 진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용액을 과량의 MeOH에 부어 침전시켰다. 생성된 고분자를 MeOH로 수 회 세척하여 미 반응 잔류물을 제거하였다. 생성물인 SBS-g-POEM 블록-그래프트 공중합체를 50°C의 진공 오븐에서 완전히 건조 시켜 남은 용매를 제거하였다.

    2.3. ZIF-8 나노 입자의 합성

    먼저, 3.6 g의 zinc nitrate hexahydrate 및 8.0 g의 MeIm을 600 mL의 비커 내에서 각각 200 mL의 MeOH에 용해시켰다. 균일한 용액을 얻은 후, 이들을 1 L 비커 로 옮기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강하게 교반 하면서 혼 합하였다. 그런 다음 ZIF-8 나노 입자를 여러 번의 원 심 분리 및 세척 공정을 통해 얻었다. 마지막으로, ZIF-8 나노 입자를 50°C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120°C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2.4. SBS-g-POEM/IL/ZIF-8 MMM 제조

    0.3 g의 SBS-g-POEM을 5 mL의 THF에 용해시켰다. EMIMTFSI 0.06 mL를 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6시간 이상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0.06 g의 ZIF-8을 용액 에 첨가하고 나노 입자를 잘 분산시키기 위해 실온에서 24시간 이상 강하게 교반하였다. 그 후 용액을 테플론 접시에 붓고 실온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잔류 THF를 완 전히 제거하기 위해 접시를 진공 오븐으로 옮기고 실온 에서 6시간 이상 더 건조시켰다. SBS-g-POEM/IL/ZIF-8 을 기반으로 한 MMM은 테플론 접시에 남은 막을 물리 적으로 때어내 얻었다. 대조군으로 사용된 순수 SBS-g- POEM 막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2.5. 특성 분석

    합성된 공중합체, MOF, RTIL 및 제조된 막은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를 통해 4,000- 380 cm-1의 범위에서 스캔하였다. 고분자 및 막의 열적 특성은 시차 주사 열량계(Discovery DSC, TA instrument, USA)를 사용하여 20 °C/min의 가열 속도로 공기 중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시료를 -80°C에서 250°C로 가열한 다음, 재 냉각한 후 -80°C에서 250°C로 다시 가 열하였다. 두 번째 스캔 데이터가 공중합체와 막의 열 적 특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었다. ZIF-8의 결정 구조 는 Cu Kα 방사선(λ = 0.154 nm)을 사용하며, 2 °/min 의 주사 속도로 45 kV 및 200 mA에서 작동하는 고해 상도 X 선 회절 장치(SmartLab, 2θ = 5~85°)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JSM-7610F, JEOL Ltd., Japan) 이미지는 샘플을 10 mA에서 백금으 로 100초 동안 코팅한 후 15 kV에서 촬영하였다.

    2.6. 기체 투과도 측정

    막의 기체 투과 및 분리 성능은 Airrane Co., Ltd. (대 한민국)으로부터 구매한 일정 부피/가변 압력 시스템에 서의 time-lag technique를 통해 측정되었으며, 동시에 SepraTek Inc. (대한민국)에서 구매한 투과 기체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가스 투과 성능을 이중 확인하였다. 기체 투과 실험 동안 하부 압력은 상류 압력보다 훨씬 낮은 2 torr 이하로 유지되었다. 기체가 막을 투과함에 따라, 하부 압력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투과도 값을 결 정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기록되었다. 이 값은 고정된 하 부 부피의 압력 증가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신호가 최 대 값에 도달하고 일정하게 유지되면 측정이 중단된다. 모든 투과 실험은 35°C에서 수행되었다.

    3. 결과 및 고찰

    3.1. 고분자, MOF 합성 및 분리막의 제조

    합성된 공중합체, MOF 및 제조된 막의 조성은 Fig.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FT-IR 측정으로 확인하였다. 우 선, 순수 ZIF-8의 경우 420 및 1,585 cm-1에서의 흡광 은 각각 Zn-N과 C=N 결합에서 기인한다[24]. 합성을 통해 얻어진 ZIF-8 나노 입자의 입체 구조는 Fig. 2에 나타낸 SEM 이미지와 XRD 패턴을 통해 확인했다. 위 합성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MOF 입자는 실온에 서 빠르고 손쉬운 방법으로 합성됐으며, SEM 이미지에 서 볼 수 있듯 입자의 직경은 약 50~60 nm 정도이다. 또한 XRD 분석 결과 얻어진 패턴은 전형적인 ZIF-8의 결과와 같다[25]. 따라서 ZIF-8 나노 입자는 성공적으로 합성되었다 결론 내릴 수 있다. EMIMTFSI 역시 EMIM 양이온의 imidazolium 그룹에 포함된 C=N 결합을 갖고 있으며, TFSI 음이온에 기인한 1,350, 1,186 및 1,056 cm-1에서 강한 흡광을 보여준다[21]. SBS-g-POEM 블록-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합성 성공 여부 또한 FT-IR 측정 을 통해 확인하였다. 첫째로, 1,102 cm-1에서의 강한 흡광 은 C-O-C 결합에 해당하고 1,726 cm-1에서의 약한 흡광 은 C=O 결합에 기인한다. 또한, 1,450 cm-1 흡광은 SBS 블록 공중합체에 포함된 styrene기의 방향족 C=C 결합 으로 인한 것이다[26,27]. SBS-g-POEM/EMIMTFSI/ZIF-8 의 조성은 MMM으로 제조된 후 확인되었다. Fig. 1. (iv)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성분들에 속하는 상기 작용기 들의 흡광이 MMM의 결과에서 모두 존재하기 때문에, 막의 제조 과정에서 화학적 변성 또는 분해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순수 성분과 MMM을 비교 시 명확한 피크 이동이 없기 때문에 성분 간 강한 화학 적 상호 작용이 없거나 공중합체, 필러 및 첨가제 사이 에 약한 secondary bonding만 형성되었을 것이다.

    SBS-g-POEM 블록-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구조를 Fig. 3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DSC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SBS 블록 공중합체는 유연한 butadiene과 단단한 styrene으로 인해 -42°C와 102°C에서 유리 전이점(glass transition points)을 보였다. 자유 라디칼 중합을 통한 고 분자 중합 뒤, SBS 주 사슬에 연결된 POEM 사슬로 인 해 유리 전이점이 -60°C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POEM 사슬에서 반복되는 19개의 ethylene oxide 그룹으로 인 한 사슬 간 서로 쌓이려는 경향으로 인해 36°C에서 강 한 용융 피크가 나타났다. 이 현상은 결정 구조가 형성 되었기 때문이며 이는 고분자 막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 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8]. 제조된 막들의 사진 은 Fig. 4에 나와 있다. 첫째로, SBS-g-POEM 막은 완 전히 투명하여 이는 고분자의 무정형 구조를 증명한다. EMIMTFSI와 ZIF-8 나노 입자를 첨가한 후 제조된 막 은 어느 정도 불투명한 상태로 바뀌지만 완벽하게 균일 한 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ZIF-8 나노 입자들이 SBS-g- POEM/EMIMTFSI 용액에 분산이 잘 되었음을 알 수 있다.

    3.2. 기체 투과 성능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막의 성능은 일정 부피/가변 압력 시스템에서 time-lag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결과는 Fig. 5 및 Table 1에 요약되어있다. 첫 번째로, 순수 SBS-g-POEM 막은 261.7 barrer의 CO2 투과도와 18.6의 CO2/N2 선택도를 보여주며 이는 고 투과성 분리 막으로서 합리적인 성능이다. 이 결과는 SBS-g-POEM 블록-그래프트 공중합체의 무정형 구조에 의해 유도된 높은 diffusivity 및 POEM 사슬의 CO2 친화적인 ether 작용기로 인한 높은 CO2 solubility에 의해 달성된다. EMIMTFSI와 ZIF-8을 첨가한 후 기체 투과도는 CO2의 경우 261.7에서 537.0 barrer로, N2의 경우 14.1에서 35.4 barrer로 두 배 이상 증가한다. 기체 선택도의 큰 감소 없이 달성된 투과도의 향상은 MOF 및 IL 의해 유도된 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ZIF-8은 3.4 Å의 기공 크기 를 갖는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CO2와 N2를 구 별할 수 있다[18]. 또한, 이온성 액체는 일반적으로 고 분자에 가소화 효과를 가하여 사슬 간 거리를 증가시키 고 이는 기체의 diffusivity만이 강화돼 분리막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EMIMTFSI의 양이온과 음이 온 모두 CO2에 대한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막에 첨가제 로서 활용되어도 CO2/N2 선택도의 감소 없이 투과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Fig. 6에 나타낸 Robeson plot은 제조된 막의 성능이 상한선에 거의 가까움을 증 명한다[11].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CO2/N2 기체 분리막을 개발하고자 하 였으며 이를 위해 자유 라디칼 중합법으로부터 합성된 SBS-g-POEM 블록-그래프트 공중합체에 이온성 액체와 ZIF-8 나노입자를 혼합하여 MMM을 제조하였다. DSC 분석 결과 합성된 SBS-g-POEM 블록-그래프트 공중합 체는 SBS와 POEM의 특성에서 기인한 반결정성 구조를 가진다. FT-IR을 통해 확인 시 MMM의 성분들 간 강한 상호작용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제조 과정 에서 각 성분들의 화학적 변성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로부터 제조된 MMM은 각 성분들의 장 점을 모두 보유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SEM 이미지 분석 결과 합성된 ZIF-8 나노 입자들은 약 50~60 nm 직 경을 갖는 균일한 크기를 가진다. 막들의 기체 투과도 측 정 시 순수 SBS-g-POEM은 261.7 barrer의 CO2 투과도 와 18.6의 CO2/N2 선택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고 투 과도 성능은 고분자의 반 결정성 구조와 POEM의 ether 작용기에서 비롯된 높은 CO2 친화도에 의해 달성된 것이 다. 필러로 선택된 ZIF-8는 CO2와 N2의 kinetic diameter 사이 값인 3.4 Å 크기의 기공을 갖는 결정으로 이 루어져 있고 첨가제인 EMIMTFSI는 마찬가지로 양이온 인 EMIM과 음이온인 TFSI가 모두 높은 CO2 친화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두 물질을 고분자 막 에 적용하였을 시 CO2/N2 선택도의 큰 감소 없이 투과 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 예측하였다. 실제 MMM 의 기체 투과도 측정 결과 537.0 barrer의 CO2 투과도 와 15.2의 CO2/N2 선택도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순수 고분자 막에 비교 시 제조된 MMM은 선택도의 희생 없 이 약 2배 이상의 투과도 향상을 달성하였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grant,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grant numbers NRF-2017R- 1A4A1014569 and NRF-2017K1A3A1A16069486).

    Figures

    MEMBRANE_JOURNAL-29-1-44_S1.gif

    Synthesis scheme of SBS-g-POEM block-graft copolymer.

    MEMBRANE_JOURNAL-29-1-44_F1.gif

    FT-IR spectra of (i) neat ZIF-8, (ii) EMIMTFSI, (iii) SBS-g-POEM and (iv) SBS-g-POEM/EMIMTFSI/ZIF-8 membranes.

    MEMBRANE_JOURNAL-29-1-44_F2.gif

    (a) SEM image and (b) XRD patterns of synthesized ZIF-8 nanoparticles.

    MEMBRANE_JOURNAL-29-1-44_F3.gif

    DSC curves of SBS and SBS-g-POEM copolymer.

    MEMBRANE_JOURNAL-29-1-44_F4.gif

    Photographs of manufactured membranes; (a) neat SBS-g-POEM (b) SBS-g-POEM/EMIMTFSI/ZIF-8.

    MEMBRANE_JOURNAL-29-1-44_F5.gif

    Gas permeabilities of membranes based on SBS and SBS-g-POEM block copolymer matrix.

    MEMBRANE_JOURNAL-29-1-44_F6.gif

    Robeson Plot of CO2 permeability vs. CO2/N2 selectivity of membranes based on SBS and SBS-g-POEM block copolymer matrix.

    Tables

    Pure Gas Permeability and CO2/N2 Selectivity Values of SBS-g-POEM and SBS-g-POEM/EMIMTFSI/ZIF-8 at 35℃ and 1 Bar

    References

    1. N. Álvarez-Gutiérrez, M. Gil, F. Rubiera, and C. Pevida, “Kinetics of CO2 adsorption on cherry stonebased carbons in CO2/CH4 separations”, Chem. Eng. J., 307, 249 (2017).
    2. J. H. Choi, Y. E. Kim, S. C. Nam, S. H. Yun, Y. I. Yoon, and J.-H. Lee, “CO2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a piperazine derivative with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amino groups”, Korean J. Chem. Eng., 33, 3222 (2016).
    3. S. Khalili, B. Khoshandam, and M. Jahanshahi, “A comparative study of CO2 and CH4 adsorption using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pine cone by phosphoric acid activation”, Korean J. Chem. Eng., 33, 2943 (2016).
    4. J. M. MacInnes, A. A. Ayash, and G. R. Dowson, “CO2 absorption using diethanolamine-water solutions in a rotating spiral contactor”, Chem. Eng. J., 307, 1084 (2017).
    5. S. Zhang, W. Cai, J. Yu, C. Ji, and N. Zhao, “A facile one-pot cation-anion double hydrolysis approach to the synthesis of supported MgO/γ-Al2O3with enhanced adsorption performance towards CO2”, Chem. Eng. J., 310, 216 (2017).
    6. L. C. Tomé, D. J. Patinha, R. Ferreira, H. Garcia, C. Silva Pereira, C. S. Freire, L. P. N. Rebelo, and I. M. Marrucho, “Cholinium-based supported ionic liquid membranes: A sustainable route for carbondioxide separation”, ChemSusChem, 7, 110 (2014).
    7. N. U. Kim, B. J. Park, M. S. Park, and J. H. Kim, “Effect of PVP on CO2/N2 separation performance of self-crosslinkable P(GMA-g-PPG)-co-POEM) membranes”, Membr. J., 28, 113 (2018).
    8. C. H. Park, J. P. Jung, J. H. Lee, and J. H. Kim, “Enhancement of CO2 permeance by incorporating CaCO3 in mixed matrix membranes”, Membr. J., 28, 55 (2018).
    9. R. Patel, J. T. Park, M. S. Park, and J. H. Kim, “Synthesis, morphology and permeation properties of poly(dimethyl siloxane)-poly(1-vinyl-2-pyrrolidinone) comb copolymer”, Membr. J., 27, 499 (2017).
    10. B. M. Sass, H. Farzan, R. Prabhakar, J. Gerst, J. Sminchak, M. Bhargava, B. Nestleroth, and J. Figueroa, “Considerations for treating impurities in oxy-combustion flue gas prior to sequestration”, Energy Procedia, 1, 535 (2009).
    11. L. M. Robeson, “The upper bound revisited”, J. Membr. Sci., 320, 390 (2008).
    12. M. Rezakazemi, A. E. Amooghin, M. M. Montazer- Rahmati, A. F. Ismail, and T. Matsuura, “State-ofthe- art membrane based CO2 separation using mixed matrix membranes (MMMs): An overview on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Prog. Polym. Sci.,39, 817 (2014).
    13. M. Ahmadi, S. Janakiram, Z. Dai, L. Ansaloni, and L. Deng, “Performance of mixed matrix membranes containing porous two-dimensional (2D) and threedimensional (3D) fillers for CO2 Separation: A review”, Membranes, 8, 50 (2018).
    14. J. Dechnik, J. Gascon, C. J. Doonan, C. Janiak, and C. J. Sumby, “Sumby, mixed-matrix membranes”, Angew. Chem. Int. Ed., 56, 9292 (2017).
    15. R. Lin, B. V. Hernandez, L. Ge, and Z. Zhu, “Metal organic framework based mixed matrix membranes:An overview on filler/polymer interfaces”, J. Mater. Chem. A, 6, 293 (2018).
    16. R. Banerjee, A. Phan, B. Wang, C. Knobler, H. Furukawa, M. O’keeffe, and O. M. Yaghi, “Highthroughput synthesis of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s and application to CO2 capture”, Science, 319,939 (2008).
    17. B. Wang, A. P. Côté, H. Furukawa, M. O’Keeffe, and O. M. Yaghi, “Colossal cages in zeolitic imidazolateframeworks as selective carbon dioxide reservoirs”, Nature, 453, 207 (2008).
    18. C.-W. Tsai, J. Niemantsverdriet, and E. H. Langner, “Enhanced CO2 adsorption in nano-ZIF-8 modified by solvent assisted ligand exchange”, Micropor. Mesopor. Mater., 262, 98 (2018).
    19. C. Zhong, Y. Deng, W. Hu, J. Qiao, L. Zhang, and J. Zhang, “A review of electrolyte materials and compositions for electrochemical supercapacitors”, Chem. Soc. Rev., 44, 7484 (2015).
    20. J. Y. Lim, J. K. Kim, C. S. Lee, J. M. Lee, and J. H. Kim, “Hybrid membranes of nanostructrual copolymer and ionic liquid for carbon dioxide capture”,Chem. Eng. J., 322, 254 (2017).
    21. J. Y. Lim, J. H. Lee, M. S. Park, J.-H. Kim, and J. H. Kim, “Hybrid membranes based on ionic-liquidfunctionalized poly (vinyl benzene chloride) beads for CO2 capture”, J. Membr. Sci., 572, 365 (2019).
    22. H. Abe, A. Takeshita, H. Sudo, K. Akiyama, and H. Kishimura, “CO2 capture at room temperature and ambient pressure: Isomer effect in room temperature ionic liquid/propanol solutions”, Green Sustain. Chem., 6, 116 (2016).
    23. L. Hao, P. Li, T. Yang, and T.-S. Chung, “Room temperature ionic liquid/ZIF-8 mixed-matrix membranes for natural gas sweetening and post-combustionCO2 capture”, J. Membr. Sci., 436, 221 (2013).
    24. W. S. Chi, S. J. Kim, S. J. Lee, Y. S. Bae, and J. H. Kim, “Enhanced performance of mixed-matrix membranes through a graft copolymer-directed interface and interaction tuning approach”, ChemSusChem, 8, 650 (2015).
    25. S. Hwang, W. S. Chi, S. J. Lee, S. H. Im, J. H. Kim, and J. Kim, “Hollow ZIF-8 nanoparticles improve the permeability of mixed matrix membranes for CO2/CH4 gas separation”, J. Membr. Sci., 480, 11 (2015).
    26. J. F. Masson, L. Pelletier, and P. Collins, “Rapid FTIR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styrene-butadiene type copolymers in bitumen”, J. Appl. Polym. Sci., 79, 1034 (2001).
    27. O. Van Asselen, I. Van Casteren, J. Goossens, and H. Meijer, “Deformation behavior of triblock copolymers based on polystyrene: An FT-IR spectroscopy study”, in: Macromolecular Symposia, Wiley Online Library, 205, 85-94 (2004).
    28. J. H. Lee, J. Y. Lim, M. S. Park, and J. H. Kim, “Improvement in the CO2 permeation properties of high-molecular-weight poly (ethylene oxide): Use of amine-branched poly (amidoamine) dendrimer”, Macromolecules, 51, 8800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