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088(Print)
ISSN : 2288-7253(Online)
Membrane Journal Vol.28 No.2 pp.136-141
DOI : https://doi.org/10.14579/MEMBRANE_JOURNAL.2018.28.2.136

CO2/CH4 Separation in Metal-organic Frameworks: Flexibility or Open Metal Sites?

Minji Jung and Hyunchul Oh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Future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GNTECH), Junju 52725, Korea
Corresponding author(e-mail: oh@gntech.ac.kr, http://orcid.org/0000-0001-6258-0002)
April 25, 2018 ; April 25, 2018 ; April 29, 2018

Abstract


Carbon dioxide (CO2) exists not only as a component of natural gas, biogas, and landfill gas, but also as a major combustion product of fossil fuels which leads to a major contributor to greenhouse gases. Hence it is essential to reduce or eliminate carbon dioxide (CO2) in order to obtain high fuel efficiency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to prevent corrosion of gas transportation system, and to cope with climate change preemptively.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not only conventional membrane-based separation but also new adsorbent-based separation technology. Particularly, in the case of metal-organic frameworks (MOFs), it has been received tremendous attentions due to its unique properties (eg : flexibility, gate effect or strong binding site such as open metal sit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ypical porous adsorbents. Therefore, in this study, stereotype of two MOFs have been selected as its flexible MOFs (MIL-53) representative and numerous open metal sites MOFs (MOF-74) representative, and compared each other for CO2/CH4 separation performance. Furthermore, varying and changeable separation performance condition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pressure or samples’ unique properties are discussed.



금속-유기 골격체를 이용한 CO2/CH4 분리: 플렉서블 효과와 강한 흡착 사이트 비교 연구

정민지, 오현철
경남과학기술대학교(GNTECH) 미래융복합기술연구소 에너지공학과

초록


이산화탄소(CO2)는 천연 가스, 바이오 가스, 매립 가스의 성분으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의 주요 연소 생 성물로써 온실 가스의 주범이다. 특히 내연기관의 연료 고효율을 얻고, 가스 수송시스템의 부식을 방지하며, 기후변화에 선제 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CO2)의 저감 또는 제거 기술이 필수적이다. 지난 수십 년간, 멤브레인 기반 기술의 구 성 및 설계 단순성에 의하여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며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최근 들어, 기존 멤브레인 기반 분리 뿐만 아니라, 새로운 흡착제 기반 분리 기술 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 각광받고 있는 유기-금속 골격체 (Metal Organic Frameworks, MOFs)의 경우, 일반 다공질 흡착제와는 다른 독특한 성질(Flexibility, Gating effect 또는 Open Metal Sites 등)로 인하여, 이를 활용한 다양한 기체 분리 연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 플렉 서블한 물질인 MIL-53(Al)과 강한 결합에너지 site를 다수 보유한 대표적 MOF 물질인 MOF-74(Ni)를 활용하여 온도 및 압 력에 따른 이산화탄소 메탄 분리 성능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 물질의 특성별 압력 및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적정 분리 구간 을 제시하였다.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2016M1A7A1A02005285

    1. 서 론

    이산화탄소(CO2)는 지구온난화에 가장 큰 기여를 하 고 있으며, 매년 연간 300억 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다. 또한, 천연 가스, 바이오 가스, 매립 가 스의 성분으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의 주요 연 소 생성물로써 발생되고 있다[1]. 특히 CO2와 산성가스 는 발열량을 감소시키므로 내연기관의 효율을 저하시 키고, 천연가스 수송 시스템의 CO2 농도가 2% 이상일 경우 내부 부식을 발생시키며, CO2 증가는 기후변화에 대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문제들에 선제적 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CO2)의 저감 또는 제거 기술이 필수적이다[1-3]. 무엇보다 채굴된 고압 천 연가스(CH4)로부터 이산화탄소(CO2) 분리/제거 공정 (Natural Gas Sweetening 공정)은 질소와 마찬가지로 연료의 발열량에 영향을 미치므로 가스 정제는 산업공 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3].

    지난 수십 년간 천연가스(CH4)/이산화탄소(CO2) 분 리/제거, 멤브레인 기반 기술의 구성 및 설계 단순성에 의하여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며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3,4]. 최근 들어, 기존 멤브레인 기반 분리 뿐 만 아니라, 새로운 흡착제 기반 분리 기술 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 각광받고 있는 유기- 금속 골격체(Metal Organic Frameworks, MOFs)의 경우, 일반 다공질 흡착제와는 다른 독특한 성질(Flexibility[5], Gating effect[6] 또는 Open Metal Sites[7] 등)로 인하 여, 이를 활용한 다양한 기체 분리 연구가 늘어나고 있 는 추세이다.

    최근 Kong et. al.[8]는 대표적 플렉서블 물질인 MIL-53(Al)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메탄 분리를 시도 했으며, Alonso et. al.[9]은 결정성 다공성 물질 안에 결합에너지가 높은 open metal sites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MOF-74(Mg)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분리 연구 이론적으로 실시한 바가 있다. 그러나 이처럼 플렉서블 한 물질과 강한 결합에너지를 가지는 active site를 다량 보유한 물질을 활용한 메탄/질소 분리 연구는 현재까지 매우 제한적으로 보고가 이루어져 있으며, 무엇보다 MOFs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인 플렉서블 특성과 강한 결합에너지를 가진 물질의 이산화탄소 분리 성능에 대 한 비교 연구결과는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고 있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 플렉서블한 물질인 MIL-53 (Al)과 강한 결합에너지 site를 다수 보유한 대표적 MOF 물질인 MOF-74(Ni)를 활용하여 온도 및 압력에 따 른 이산화탄소 메탄 분리 성능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2. 실험방법

    2.1. 금속-유기 골격체: MIL-53(Al), MOF-74(Ni)

    MIL-53(Al) 기존에 알려진 물질 중에서 Breathing 효 과가 가장 잘 나타나는 물질은 MIL-53 물질이다(Fig. 1(a)). Breathing 효과는 초기 합성 시에는 물질이 압축 되어 있다가, 기체가 물질의 기공 안으로 들어가면 격자 상수(Lattice parameter) 등이 확장하여(volume change) 구조가 변화하게 되는 현상이다. 합성은 Al(NO3)3⋅ 9H2O (1.3 g), H2BDC (0.288 g)과 5 mL H2O를 autoclave에 넣고 Box furnace에서 220°C, 72 h 동안 진행 하였으며, H2BDC 제거를 위해 얻어진 white product를 DMF 25 mL에 넣고 150°C, 15 h 동안 끓이고, DMF 제거를 위해 White powder를 280°C, 12 h 동안 box furnace에 놓고 activation하였다.

    MOF-74(Ni) 기존에 알려진 다공성 물질 중에서 Binding strength가 가장 높은(open metal site) 물질 중 하나는 MOF-74(Ni)이다(Fig. 1(b)). 합성은 H4dobdc (0.404 g) 수용액과 Ni(CH3COO)2⋅4H2O (1.00 g)를 상 온에서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섞은 다음 얻어지는 Yellow powder를 centrifugation하고 wash함으로써 약 0.5 g의 샘플을 얻었다.

    2.2. 특성 분석: X-ray diffraction pattern (XRD), 비표면적(BET), 이상흡착용액이론(IAST)

    MIL-53(Al)과 MOF-74(Ni)의 결정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X-선 회절분석기를 이용하였다. XRD 분석은 CuKα선을 이용하여 2 deg./min의 주사 속도로 5~90° 범위에서 실시하였다. MIL-53과 MOF-74의 비 표면적 은 상업용 장비(Quantachrome Autosorp-1 MP)를 이용 하여 측정하였으며 Brunauer-Emmett-Teller (BET)법에 의해 얻어졌다. 고압 기체 흡착량은 상업용 장비인 PCTPro E&E (Setaram)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산 화탄소/메탄의 혼합 기체 선택도는 PCTPro 장비로부터 얻어지는 등온선 값을 기본으로 이상흡착용액이론(Ideal Adsorption Solution Theory, IAST) 활용하여 계산되었 다. 선택도 계산을 위해서 각 등온선의 fitting은 Dual-site Langmuir-Freundlich model을 사용하였다. 메탄 질소 혼합 기체의 선택도는 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Selectivity= ( X CH 4 /Y CH 4 ) ( X N 2 /Y N 2 ) P 2 0 P 1 0
    (1)

    • xi : 흡착상 몰분율

    • yi : 기상 몰분율

    • P0i : 단일 성분 기체의 평형 압력

    3. 결과 및 고찰

    3.1. Textual properties

    Fig. 2은 MIL-53(Al)과 MOF-74(Ni)의 XRD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MIL-53과 MOF-74의 XRD 측정값은 이론 값과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피 크의 샤프한 모양 및 강한 회절 강도 역시 합성이 성공 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MIL-53과 MOF-74의 비 표면적은 질소 흡착 등온선(77 K)을 이 용하여 구하였다(Fig. 3(a) and (b)). 측정된 비 표면적 은 MIL-53의 경우 1016 m2/g, MOF-74은 1,258 m2/g 으로 두 샘플의 비표면적은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었 다. 특히 극저온 1 bar에서의 질소 흡착량이 거의 동일 하다는 점은 상온 흡착 양과 분리 성능의 차이가 온전 히 구조의 가변성 또는 흡착 강도에 따른 다는 것을 의 미한다. Crystallographic 구조로부터 얻은 기공 크기는 MIL-53은 약 0.7 nm(closed)~1.4 nm(open), MOF-74 는 약 1.2 nm이었다.

    3.2. 흡착 등온선(Adsorption Isotherm)

    Fig. 4(a)4(b)는 298, 323 K에서의 MIL-53(Al)과 MOF-74(Ni)의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흡/탈착 등온선을 보여주고 있다. 모든 물질 및 온도에서 기체의 흡착량 은 온도가 올라갈수록 떨어지는 일반적인 현상을 보이 고 있다. 각 물질의 기체별 최대 흡착량은 (Table 1)에서 보여주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비표면적이 MIL-53이 MOF-74보다 약 200 m2/g 작음에도 실제 기체(CO2와 CH4)의 흡착량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CO2와 CH4 기체 포집/저장 능력은 비표면적 넓이 또는 기공 안에 다수의 강한 binding energy를 가진 물질보다는 구조가 플렉서블하여 흡착된 기체를 내부에 trapping 할 수 있 는 물질이 상온 20 bar 영역에서는 유리할 수 있기 때 문으로 유추될 수 있다. 또한 CO2와 CH4 등온선에서 이력(hysteresis) 현상은 오직 MIL-53에서의 CO2 흡착 에서만 보였으며, 그외는 모두 가역적인 흡착/탈착 현 상을 보였다. 이는 MIL-53에서의 CO2의 기체 확산이 CH4보다 느리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Kinetic 효 과), 이를 잘 활용하면 저압에서의 CO2/CH4 분리에 활 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3.3. 온도/압력에 따른 이산화탄소 선택도(CO2 Selectivity)

    CO2/CH4 혼합 기체 평형 데이터는 흡착 기반 기체 분리 공정의 설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 단일 성분 흡착 등온 데이터를 활용하면 혼합 기체 흡 착 평형 데이터를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흡착 상을 기상과 평형에 있는 용액으로 간주한 이상 흡착용액이 론(ideal adsorption solution theory, IAST)을 활용하면 이산화탄소 분리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IAST를 통해 분리 계수를 예측하려면, 단일 성분 등온 흡착의 Fitting 값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MIL-53과 같은 플렉 서블 물질의 가변성(closed pore에서 open pore), MOF-74와 같은 다수의 강한 binding sites (OMS)와 그 외 흡착 sites의 존재 등에 의해 Dual-Site Langmuir- Freundlich Model (DSLF)을 두 샘플 모두에 적용하였 다. 식 (2)는 DSLF모델 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두 개의 확연히 차이 나는 흡착사이트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 고 있다. Fig. 5의 경우, DSLF 모델을 적용하여 fitting 된 결과값을 그래프로 보여주고 있다(참고로 log scale 로 replotting 시 극저압에서 dual site가 보이기 시작함).

    q = q 1 + q 2 = q m 1 b 1 p 1 n 1 1 + b 1 p 1 n 1 + q m 2 b 2 p 1 n 2 1 + b 2 p 1 n 2
    (2)

    • q : 흡착제 질량당 흡착량(mol/kg)

    • qm : 사이트의 포화 용량

    • b : 흡착 계수

    • p : 흡착상과 평형을 이루는 벌크 기체의 압력

    • n : 이상적인 균일한 표면과의 편차

    Fig. 6(a) 및 6(b)는 IAST를 이용하여 계산한 선택도 의 결과값이며, 메탄과 질소의 혼합 비율은 5 : 5로 진 행되었다.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전체적인 이산화탄소 선택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98 K에서 MIL-53의 선택도(S)는 1bar, S~12, 20 bar, S~5.4로 감소하였으나, MOF-74의 선택도(S)는 1 bar, S~16, 20 bar, S~34로 증가하였다. 유사하게 323 K에서도 MIL-53 의 선택도(S)는 1 bar, S~5.2, 20 bar, S~3.7로 감소하 였으나, MOF-74의 선택도(S)는 1 bar, S~9.0, 20 bar, S~13.4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플렉서블한 물질의 경우 저압영역에서 이산화탄소 분리를 시도하고, 강한 흡착 사이트를 다수 함유한 다공성 물질의 경우 고압영역에 서의 이산화탄소 분리를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임 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1 bar 이하의 압력 영역대 에서의 이산화탄소 분리 성능을 예측해 보면, MIL-53 와 MOF-74의 분리 성능이 crossover될 수 있으므로 flue gas의 배출 가스 압력 영역대(1 bar 이하)의 경우 MIL-53과 같은 플렉서블한 물질이 더 효과적일 수 있 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4. 결 론

    금속-유기 골격체의 대표적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구 조의 ‘가변성’과 ‘기능화’를 가진 Stereotype 물질을 이 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분리 연구를 비교분석하 였다. MOF의 대표적 플렉서블한 구조로는 MIL-53(Al) 을 ‘강한 흡착사이트를 기공 내부에 다량 보유할 수 있 는 대표적 구조로는 MOF-74(Ni)을 사용하였다. 두 물 질의 기공 크기와 비표면적, 기공 내부 부피 등은 서로 거의 유사하게 측정되었으므로, 물질의 흡착 특성(분리 성능) 차이는 주로 구조의 가변성 또는 흡착 강도에 따 른 다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단일 성분 이산화탄 소 및 메탄의 흡착량은 플렉서블한 MIL-53에서 더 높 은 흡착량을 나타났으나, IAST을 기반한 이산화탄소의 분리 성능은 MOF-74가 대부분의 압력대(1~20 bar)에 서 높게 나타났다. 측정된 최대 선택도는 MOF-74를 이 용했을 시, 20 bar, 298 K에서 34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한 가지 참고할만한 점은, 1 bar 이하의 압력 영역대에 서는 MIL-53와 MOF-74의 분리 성능이 crossover될 수 있으므로 flue gas의 배출 가스 압력 영역대(1 bar 이 하)의 경우 MIL-53과 같은 플렉서블한 물질이 더 효과 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감 사

    이 논문은 2016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 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국책연구 사업임(NRF-2016M1A7A1A02005285).

    Figures

    MEMBRANE_JOURNAL-28-136_F1.gif

    Structure of (a) MIL-53(Al) and (b) MOF-74(Ni).

    MEMBRANE_JOURNAL-28-136_F2.gif

    XRD patterns of (a) MIL-53(Al), (b) MOF-74(Ni).

    MEMBRANE_JOURNAL-28-136_F3.gif

    N2 adsorption isotherms of MIL-53 and MOF-74 at 77 K.

    MEMBRANE_JOURNAL-28-136_F4.gif

    Single component CO2 and CH4 adsorption isotherms for (a) MIL-53 and (b) MOF-74 at 298 K and 323 K (closed symbol is adsorption, open symbol is desorption).

    MEMBRANE_JOURNAL-28-136_F5.gif

    CO2, CH4 adsorption isotherms for (a) MIL-53 and (b) MOF-74. Curves are fits to the Dual-site Langmuir- Freundlich model for IAST calculation.

    MEMBRANE_JOURNAL-28-136_F6.gif

    Variation of CO2/CH4 selectivity with pressure on (a) 298 K and (b) 323 K.

    Tables

    CO2 and CH4 Uptake on MIL-53 and MOF-74 at 298 K and 323 K

    References

    1. Y. Zhang, J. Sunarso, S. Liu, and R. Wang,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membranes for CO2/CH4 separation: A review , Int. J. Greenh Gas Con., 12, 84 (2013).
    2. C. Song, Y. Sun, Z. Fan, Q. Liu, N. Ji, and Y. Kitamura, Parametric study of a novel cryogenic- membrane hybrid system for efficient CO2 separation , Int. J. Greenh. Gas Cont., 72, 74 (2018).
    3. J. K. Adewole, A. L. Ahmad, S. Ismail, and C. P. Leo, Current challenges in membrane separation of CO2 from natural gas: A review , Int. J. Greenh. Gas Cont., 17, 46 (2013).
    4. X. He, C. Fu, and M.-B. H gg, Membrane system design and process feasibility analysis for CO2 capture from flue gas with a fixed-site-carrier membrane , Chem. Eng. J., 268, 1 (2015).
    5. A. Boutin, M.-A. Springuel-Huet, A. Nossov, A. G d on, T. Loiseau, C. Volkringer, G. F rey, F.-X. Coudert, and A. H. Fuchs, Breathing transitions in MIL-53(Al) metal-organic framework upon xenon adsorption , Angew. Chem. Int. Ed., 48, 8314(2009).
    6. D. Denysenko, M. Grzywa, M. Tonigold, B. Streppel, I. Krkljus, M. Hirscher, E. Mugnaioli, U. Kolb, J. Hanss, and D. Volkmer, Elucidating gating effects for hydrogen sorption in MFU-4-type triazolate-based metal-organic frameworks featuring different pore sizes , Chem-Eur J., 17, 1837 (2011).
    7. P. D. C. Dietzel, R. E. Johnsen, R. Blom, and H. Fjellv g, Structural changes and coordinatively unsaturated metal atoms on dehydration of honeycomb analogous microporous metal-organic frameworks , Chem. Eur. J., 14, 2389 (2008).
    8. L. Kong, R. Zou, W. Bi, R. Zhong, W. Mu, J. Liu, R. P. S. Han, and R. Zou, Selective adsorption of CO2/CH4 and CO2/N2 within a charged metal-organic framework , J. Mater. Chem., 2, 17771 (2014).
    9. G. Alonso, D. Bahamon, F. Keshavarz, X. Gim nez, P. Gamallo, and R. Say s, Densityfunctional theory-based adsorption isotherms for pure and flue gas mixtures on Mg-MOF-74. applicationin CO2 capture swing adsorption processes , J. Phys. Chem., 122, 3945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