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분리막은 많은 수요와 함께 대부분의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그중 역 삼투 분리막은 용질은 걸러주고 용매가 통과하는 반투 과성 막을 이용하여 용해된 용질들을 분리해준다[1]. 역 삼투 분리막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박막형 복합막 (thin film composite membrane, TFC membrane)은 수 백 나노미터의 polyamide 활성층과 수십 마이크로미터 의 다공성 Polysulfone (PSf) 지지체로 구성된 여러 개 의 층을 가진 구조이다[2]. 계면 중합으로 만들어지는 박막형 복합막은 현재 수처리 시장에서 높은 염 제거율 을 보이고 있어 활발히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3].
해수담수의 빠른 성장과 함께 붕소 제거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소량의 붕소의 사람의 건강에 필 수적인 역할을 하는 성분이지만, 과량을 섭취하게 되면 독으로 작용하게 된다[4]. 붕소의 경우 수중에서 주로 붕산의 형태로 존재하는데, 해수에서의 붕소 평균 농도 는 약 4.6 mg/L이다[5]. WHO의 경우 1993년까지 담수 에 포함된 붕소의 기준을 0.3 mg/L로 제안했었다. 하지 만 원래부터 자연적으로 붕소 수치가 높은 지역에서의 목표치 달성이 어렵기 때문에 기준을 0.5 mg/L로 보완 하였다[6]. WHO의 기준치는 사람의 건강에만 의존하 기 때문에, 기준치는 2009년에 다시 한 번 영국과 미국 의 붕산 섭취 기준치인 2.4 mg/L로 다시 개정되었다. 하지만 다른 동물 및 식물들의 붕산 섭취 함량을 고려 해야 하며, 여러 지역에서 담수에 들어있는 붕소의 제 한 기준이 0.5부터 5.0 mg/L까지 다양하므로 해수에서 과량의 붕소를 제거하는 방법은 아주 중요하다[4-7].
표준상태(20°C, 대기압)에서 붕산의 일반적인 pKa 값은 9.23으로 pH가 pKa 값 이상의 값을 가지게 되면 상당한 양의 붕산이 붕산염으로 이온화가 된다[5]. pH 의 값이 10 이상이 되면 대부분의 붕산이 음전하를 띠 는 붕산염이 되기 때문에 붕소의 제거율이 높아진다. 하지만 pH를 조정하여 붕소를 제거하는 것은 공정의 개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비용 및 에너지 소비의 증가를 막을 수 없다[4,5]. 최근 붕소 제거율을 높이기 위해 많 은 실험들이 진행되고 있다[8-13]. 계면 중합 과정에서 m-phenylenediamine (MPD)을 다른 물질로 대체하는 실험 등이 진행되고 있지만 기존 공정에 비해 붕소 제 거율이 많이 떨어지는 편이다[8,9]. 다른 접근방법으로 는 polyamide의 박막이 형성 후 다른 첨가제를 넣는 것 도 제안되고 있다[10-13].
박막형 복합막에서 각각의 층은 독립적으로 최적화 되어 있으며, 수투과량 및 제거율 향상 등의 이유로 여 러 개의 활성층이 추가적으로 선택되어질 수 있다. Polyamide 활성층이 형성된 막 표면에 poly(vinyl alocohol) (PVA)을 가교하는 반응은 polyamide 활성층의 빈 부분을 채워주어 제거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추가적인 막 표면의 형성 때문에 수력학적 저항 이 발생하여 수투과량이 감소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2,14]. PVA는 대표적인 표면개질에 사용되는 화합물로 서,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2,10,15]. 하지만 가교 반응 및 표면개질 시, PVA를 대체하여 붕소를 제거하는 논문이 거의 없거나 아주 적다. 본 연구에서는 수투과량 의 감소를 막고 붕소 제거율은 높이기 위해 막 표면에 친수성 단량체를 표면개질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2.1. 실험재료
Polyamide 활성층을 형성하기 위해 m-phenylenediamine (MPD, Dupont)와 trimesoyl chloride (TMC, 98%, Aldrich)를 사용하였다. 공급 용액을 제조하기 위 해 sodium chloride (NaCl, 98.0%, Samchun), boric acid (99.999%, Aldrich)를 사용하였으며, sodium hydroxide (98.0%, NaOH)를 사용하여 pH를 조절하였다. 표면개질을 위해 glutaraldehyde (GA, 25%, Junsei), hydrochloric acid (HCl, 35%, Jin), D-gluconic acid (DGCA, 49~53% in water, Aldrich), D-gluconic acid sodium salt (DGCA-Na, ≥ 99.0%, Aldrich), Poly(vinyl alcohol) (PVA, 88%, M. W. 88,000 and 88% hydrolyzed, Acros)가 사용되었다. 시약을 용해시키는 용매로 DI water (EXL-3) 및 Isol-C (100%, SK)가 사용되었다. Polysulfone (PSf, LG) 한외여과막은 활성층 형성을 위 한 지지체로 사용되었다.
2.2. 역삼투막 제조
언급하지 않은 한, 이 논문에서 언급되는 모든 역삼투 막은 연구실에서 합성되었다. 비교연구를 위해,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은 계면중합을 통해 합성시킨다. 그 후, 표면층은 개질을 통해 PVA와 친수성 화합물들을 각각 반응시킨다. 조사한 친수성 화합물로는 DGCA, DGCA-Na을 사용하여 다음 화합물로 제작된 역삼투막 을 각각 DGCA, DGCA-Na 역삼투막이라고 부른다. 또 한, PVA의 표면개질이 완료된 역삼투막을 PVA 역삼 투막이라고 부른다. 막을 제조하는 과정은 Fig. 1에 나 타내었다.
2.2.1.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의 제조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을 제조하기 위해 캐스팅 된 PSf 한외여과막에 MPD와 TMC를 반응시켜 계면중 합 반응을 진행한다[16]. PSf 한외여과막을 다관능성 아민인 3.0 중량% MPD 용액(in DI water)에 120초 동 안 침지시킨다. 그 후, 5 bar의 압력 롤러를 사용하여 표면에 있는 용액을 제거한다. 그리고 다관능성 아실 할라이드인 0.15 중량% TMC 용액(in Isol-C)에 60초 동안 침지시킨다. 침지시킨 역삼투막을 60°C, 10분 동 안 건조시키고 30°C 이상의 DI water에 최소 10분 동 안 침지시켜 미반응된 물질들을 제거한다. 이 과정들을 통해,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이 제조된다.
2.2.2. PVA와 친수성 화합물을 이용한 표면개질
표면개질된 역삼투막을 제조하기 위해, 계면중합이 완료된 역삼투막에 하나의 과정을 추가로 진행한다. 계 면중합이 완료된 후,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은 표 면개질에 사용되는 10.0 중량% GA와 촉매인 1.0 중 량% HCl (in DI water)이 들어있는 용액에 60초 동안 침지시킨다. 그 후, 역삼투막을 용액에서 꺼내 상온에서 60초 동안 건조시킨다. 위의 과정이 완료되면, 반응된 역삼투막을 0.1 중량% PVA 혹은 친수성 화합물이 들 어있는 수용액에 60초 동안 침지시키고 상온에서 300 초 동안 건조시킨다. 위의 반응이 완료되면 표면개질이 완료된 역삼투막을 DI water에 침지시켜 미반응 물질들 을 제거한다. PVA 역삼투막은 친수성 화합물의 표면개 질이 완료된 역삼투막과의 비교를 위해 제조되었다.
2.3. 역삼투막 표면 분석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과 표면개질이 완료된 역 삼투막의 원소 구성비를 X-ray photoelectron spectrometry (XPS, Axis nova, Kratos)를 통해 확인하였다. 표 면 이미지는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Carl Zeiss, SigmaHD)와 atomoic force microscopy (AFM, Nanoscopy V, Bruker)를 통해 관찰하였다. 또한, 역삼투막의 표면 거칠기를 AFM 표 면 이미지를 통해 결정하였다. 역삼투막 표면의 친수성 을 알아보기 위해 접촉각(Phoenix 300, SEO)을 이용하 였으며, 시험조건으로 Water 6~10 μm needle을 사용 하였다. 역삼투막의 전기적 성질은 zeta potential 분석 기(Anton Paar, SurPASSTM3)를 통해 측정하였다. zeta potential 측정에 사용된 전해질은 0.001 M NaCl을 사 용하였다.
2.4. 역삼투막 투과 실험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과 표면개질이 완료된 역 삼투막은 해수의 조건과 동일한 32,000 ppm의 NaCl과 5 ppm의 붕소가 녹아 있는 공급 용액을 통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Test cell은 cross-flow 방식으로 800 psi의 조건에서 운전하였으며, 공급 용액은 25 ± 1°C, pH 8 의 조건을 유지하였다. 왜냐하면 해수의 pH가 8이기 때문이다[17]. 용액의 pH는 희석된 NaOH 용액을 통해 조절되었다. 실험 데이터를 얻기 전에 최소 1시간 이상, 압력 800 psi에서 운전을 하였다. 투과수 Jv는 아래의 식을 통해 계산된다.
Jv는 투과수의 수투과량(gallon/ft2day), Q는 투과수의 부피(gallon), △t는 수집한 시간, Am은 역삼투막의 유 효면적(ft2)이다.
염 제거율(R)은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Cf (mg/L)와 Cp (mg/L)는 각각 공급 용액의 농도와 투과수의 농도를 뜻한다. NaCl의 공급 용액의 농도와 투과수의 농도는 conductivity portable meter (ORION STAR A222, Thermo Scientific)를 통해 측정된다. 또 한, 붕소의 공급 용액의 농도와 투과수의 농도는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meter (ICP-AES, iCAP 7400 duo, Thermo Scientific)을 통해 측정된다.
3. 결과 및 고찰
3.1. 역삼투막 표면 분석
3.1.1. XPS 및 zeta potential을 이용한 표면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막 표면의 친수성 증가를 위해 표면개 질 진행 시 PVA를 대체하여 친수성 화합물을 사용하 였다. Fig. 2를 보게 되면, GA와 PVA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막 형성은 수투과량의 감소를 피할 수 없다[2,14]. 그리하여 고분자인 PVA를 대체하여 친수 성 화합물인 DGCA, DGCA-Na를 사용하였다.
표면개질 전후의 역삼투막 표면의 화학결합의 변화 를 관찰하기 위해 C 원소에 대한 XPS 분석을 진행하 였다. Fig. 3에서 PVA, DGCA, DGCA-Na로 표면개질 을 진행하였을 때, C1S에 대한 XPS 분석 결과가 나타 나 있다. C1S의 peak의 결합에너지의 경우, 일반적인 C 원소에 대한 peak보다 약 3 eV 정도 작은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역삼투막 제조 시 첨가제가 막 표면에 영 향을 미치게 하여 화학 시프트가 발생했다고 볼 수 있 다[18]. 첫 번째 peak는 약 281.2 eV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인접한 전자를 잡아당기지 못하는 지방족 및 방향 족 탄소이다. 두 번째 peak는 약 282.2 eV에서 발견되 는데, 이는 amine group 또는 hydroxyl group처럼 인접 한 전자를 약하게 잡아당기는 탄소 원자이다. 마지막 peak는 약 284.4 eV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carboxyl group 또는 ester group처럼 인접한 전자를 강하게 잡아 당기는 탄소 원자이다. -COOH 결합과 -COO 결합이 포 함되어 있지 않은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의 경우, 284.4 eV peak의 비율이 17.04%이다. 약 17%의 값은 amide 결합에 따른 수치가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19]. DGCA 역삼투막과 DGCA-Na 역삼투막의 284.4 eV peak의 비율은 각각 23.68, 21.63%에 해당하는데, 아미 드 결합에 의한 것과 더불어 표면개질 시 -COOH과 -COO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결 국, 284.4 eV peak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과 친수성 화합물인 DGCA 와 DGCA-Na의 합성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Zeta potential을 결과 값을 통해서 표면 변화 및 안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표면개질 후 zeta potential의 negative charge 값의 감소가 모든 역삼투막에서 관찰되 었다(Table 1). 이는 표면개질이 완료된 후 역삼투막의 표면 하전상태가 크게 바뀌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PVA 가 가장 크게 negative charge의 값이 감소하였는데, 추 가적인 막 형성에 고분자가 사용된 결과라고 볼 수 있 다[2]. Zeta potential의 크기를 통해 전위안정도를 확인 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charge의 절대값이 30 mV 이상이면 안정하다고 볼 수 있다[20]. 결과적으로,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 및 표면개질이 완료된 DGCA 및 DGCA-Na 역삼투막의 경우, 계면에 대한 안 정도가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3.1.2. 역삼투막의 표면 거칠기
Fig. 4에서 FE-SEM을 통해 역삼투막의 morphology 를 보여준다. 우리는 PSf 한외여과막에서의 계면중합으 로 인해 polyamide 활성층이 성공적으로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우리는 모든 역삼투막에서 “ridge and valley” 구조가 관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Table 1에서 역삼투막의 morphology와 더불어 표면 거칠기를 분석하기 위해 AFM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 한, Fig. 5를 통해 각각의 역삼투막에 대한 AFM 3D image도 확인할 수 있다. AFM 결과에 따르면, Ra, Rq, Rmax 값의 순서는 Control > DGCA-Na > DGCA > PVA의 순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거칠기 순서에 따라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의 수투과량이 제일 클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으며, PVA의 수투과량 이 제일 작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20].
3.1.3. 접촉각 분석을 이용한 역삼투막의 친수성 분석
역삼투막의 친수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접촉각 분 석을 진행하였다(Fig. 6).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 의 접촉각은 67.72°로 고분자인 PVA의 표면개질을 진 행하였을 경우, 접촉각이 77.89°로 급격하게 증가하였 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하지만, DGCA 역삼투막과 DGCA-Na 역삼투막의 접촉각은 Control polyamide 역 삼투막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다[DGCA 역삼투막 (64.82°)과 DGCA-Na 역삼투막(63.53°)]. 결과적으로 고분자인 PVA와의 표면개질을 진행하였을 때는 소수성 성질이 강해지고, 친수성 화합물인 DGCA와 DGCA-Na 와의 표면개질을 진행하였을 때는 친수성 성질이 강해 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VA는 친수성 고분자여서 PVA 역삼투막의 친수성 성질이 강해져야 한다. 하지 만, GA와 PVA가 반응하여 표면개질이 이루어질 때, 추가적인 PVA 층 및 반응 과정 중 hydroxyl group의 소멸이 친수성 성질의 감소를 유도했다고 할 수 있다 [2]. DGCA 역삼투막과 DGCA-Na 역삼투막도 PVA 역 삼투막과 마찬가지로 반응 후에도 추가적인 층이 형성 되었지만, 고분자인 PVA와 다르게 DGCA와 DGCA-Na 는 화합물의 형태를 띄고 있다. 또한, hydroxyl group과 더불어 carboxyl group 및 ester group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친수성 성질이 더 강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2. 역삼투막 투과 성능 평가
test 셀의 면적은 21.33 cm2이다. 수투과량은 식 (1) 을 통해 계산되며 염 제거율 및 붕소 제거율은 식 (2) 를 통해 계산된다. 공급 용액은 실제 해수와 비슷하게 만들었으며, 해수의 평균 pH인 pH 8로 맞추어 실험을 진행하였다[21].
Table 2에 따르면,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의 수 투과량은 23.43 GFD인 경우에 반해 표면개질이 진행 된 역삼투막의 경우 약 10 GFD 수준이거나 그 이하이 다.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에 비해 DGCA 역삼투 막과 DGCA-Na 역삼투막이 더 작은 접촉각을 가진 것 을 Fig. 6을 통해 알 수 있다. 하지만 control polyamide 보다 DGCA 역삼투막과 DGCA-Na 역삼투막의 수투과 량이 더 작은 이유는 복합층의 부가에 따른 감소라고 볼 수 있다[2,14].
염 제거율 성능 평가를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 과 표면개질이 진행된 역삼투막으로 비교 진행하였다.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에 비해 표면개질이 진행된 PVA, DGCA, DGCA-Na 역삼투막의 경우 약 0.45 %p 수준 또는 이상 증가하였다. 이는 추가적인 막 형성으 로 인해 결함이 있는 기공이 막히기 때문이다[2]. GA의 농도 변화 및 DGCA, DGCA-Na의 농도 변화로 수투과 량을 높이거나, 염 제거율을 더 높이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GA 및 DGCA, DGCA-Na의 농도를 높이게 되면 추가적인 막 형성으로 수투과량이 큰 폭으 로 감소한다. 또한, 농도를 낮추게 되면 수투과량의 증 가량은 미비하나, 염 제거율의 감소폭이 크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2,14]. PVA 역삼투막과 DGCA, DGCA-Na 역삼투막을 비교하였을 때도 약 0.1 %p의 염 제거율이 증가한다. 결국, PVA를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에 표면개질 시키는 것보다 DGCA와 DGCA-Na을 표면개 질 시키는 것이 더 높은 염 제거율을 얻을 수 있다.
pH 8 근처에서, 붕산의 pKa의 값이 9.23이기 때문에 붕소는 이온으로 나뉘기 힘든 중성의 전하를 갖는 붕산 으로 존재한다. 그러므로, 전하와 전하간의 반발력 손실 로 인해 붕소 제거율은 염 제거율보다 높을 수 없다 (Fig. 7). 이전 연구에서 공급 용액의 pH가 8일 경우, 붕소 제거율은 대부분 80% 이하의 값을 가졌다[2,7,12].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모든 역삼투막의 붕소 제거율이 80%를 넘으며, 표면개질이 진행된 역삼투막의 경우 모 두 90% 이상의 붕소 제거율을 보이고 있다.
Table 2에 따르면, DGCA 및 DGCA-Na 역삼투막은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보다 붕소 제거율이 각각 12.03, 12.29 %p만큼 높다. 게다가, PVA와 비교하였을 때도 붕소 제거율이 1.12, 1.38 %p만큼 높다. 염 제거 율과 마찬가지로 추가적인 막 형성으로 인한 붕소 제거 율의 증가인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결국, PVA와 표면 개질을 진행하는 것보다 DGCA 및 DGCA-Na와 표면 개질을 진행하는 것이 염 제거율 및 붕소 제거율이 높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DGCA와 DGCA-Na가 PVA보다 기공의 결함을 잘 보완해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2].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표면개질 시 일어나는 수투과량의 감 소를 막기 위해 PVA 고분자 대신 친수성 화합물인 DGCA와 DGCA-Na를 사용하였다. 표면개질에 사용되 는 GA와 촉매인 HCl을 이용하여 DGCA와 DGCA-Na 을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에 표면개질을 진행하였 으며, 표면개질이 완료된 각각의 역삼투막에 대해 표면 분석 및 투과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XPS 분석 결과를 통해, 친수성 화합물인 DGCA와 DGCA-Na가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과의 합성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rphology의 분석은 FE-SEM 및 AFM images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DGCA와 DGCA-Na 역 삼투막의 morphology image가 Control polyamide와 PVA 역삼투막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면 거칠기가 Control > DGCA-Na > DGCA > PVA 의 순서라는 것을 보았을 때, Control polyamide의 수투 과량이 제일 크고 PVA의 수투과량이 제일 작을 것이 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접촉각의 경우, PVA 역삼투막 과의 표면개질을 진행하였을 때는 접촉각이 증가하였지 만, DGCA 및 DGCA-Na와 표면개질을 진행하였을 때 는 오히려 접촉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역삼투막의 투과 성능 평가는 크게 수투과량, 염 제 거율, 붕소 제거율로 진행하였다. 표면개질 전후를 비교 하였을 때, 표면개질을 진행한 역삼투막의 경우 매우 큰 수투과량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의 경우 23.43 GFD의 값을 가지는 것 에 반해, 표면개질이 진행된 역삼투막의 경우 10 GFD 수준이거나 그 이하의 값을 가졌었다. 하지만, DGCA 와 DGCA-Na의 수투과량은 PVA보다 각각 30.52, 6.75% 커진 값으로 접촉각의 결과와 함께 친수성 성질 이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염 제거율의 경우,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보다 표면개질을 진행하였 을 시 0.45 %p 이상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 며, DGCA-Na 역삼투막이 가장 큰 염 제거율을 가진다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면개질이 진행된 모 든 역삼투막에서 90% 이상의 붕소 제거율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DGCA 및 DGCA-Na 역삼투 막이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보다 12.03, 12.29 %p 만큼 붕소 제거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는 PVA 역삼투막과 비교하여도 1.12, 1.38 %p만큼 큰 값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