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현대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석탄-석유 사업 및 화학산 업의 성장이 급진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부산물로 발 생하는 여러 오염 물질 중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 불 화탄화수소, 육불화황 등이 있는데 이러한 기체들은 온 실효과 및 이상기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보였다. 그 중 이산화탄소는 다른 기체들에 비해 상당히 높은 55% 의 온난화 기여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무분별한 이 산화탄소 배출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어 이를 분리, 저장하고자 하는 연 구가 국내외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1-5]. 또한 이러 한 이산화탄소의 기후변화에 끼치는 영향을 줄이고자 국제적인 협약 및 규제들이 논의, 체결되고 있으며 2015년에 열린 파리협정에서는 구체적인 온실가스 배 출 감축 목표가 제시되기도 하였다[6-8].
이산화탄소 배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여러 방법 이 있는데 우선적으로 발생량 자체를 줄이는 것이 있 다. 기존의 석탄-화력 발전을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 에 너지 개발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수력, 풍력, 태양력, 조력, 수소에너지, 바이오, 폐기물 에너지 등이 있다. 하 지만 이러한 신재생 에너지들은 현재 전반적으로 산업 기반을 구축하고 있는 공정을 대체하기에는 역부족이 며 석탄 및 석유 발전에 비하여 높은 비용을 필요로 하 여 현실적으로 적용이 어려우며 매우 장기적인 투자와 연구를 필요로 한다. 원천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외에도 현재 배출되고 있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 탄소를 분리 및 포집하여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이 있으 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기술에는 흡수법, 흡착법, 막 분리법 등이 있다.
그중 분리막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 법은 흡수법 및 흡착법에 비해 온도 및 압력 변화가 적 어 공정 운용 비용이 매우 낮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공정 스케일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9-15]. 하지만 이러한 막분리 기법은 상대 적으로 낮은 투과도를 보이며 투과도-선택도 사이에 반 비례 하는 Trade-off 관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16,17]. 이러한 막분리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많은 연구들이 시행되었다. 이산화탄소에 친화적인 고분자 작용기를 붙이기도 하였으며 MOF (Metal Organic Framework), Zeolite, Graphene oxide 등 이산화탄소와 상호작용을 가지는 무기물을 첨가하여 복합막을 제조 하기도 하였다[18-26].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에 친화적인 poly(ethylene glycol) behenyl ether methacrylate (PEGBEM)와 poly (oxyethylene methacrylate)(POEM)로 구성된 PEGBEMg- POEM 가지형 공중합체를 자유라디칼 중합법으로 합 성하였다. 합성한 고분자를 다공성 지지체 위에 매우 얇 게 코팅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고분자 분리막 제조에 필요한 양에 비하여 적은 고분자 양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보였다. 또한 제조한 복합막에 CaCO3염을 첨가하여 이산화탄소 투과도 및 이산화탄소/ 질소 선택도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최적의 성능 을 가질 수 있는 염의 중량비를 구하고자 하였다.
2. 실험방법
2.1. 재료 및 시약
실험에 사용된 고분자는 poly(ethylene glycol) behenyl ether methacrylate solution (PEGBEM, Mn~1500 g/mol, containing 50 wt% in methacrylic acid/water) and poly(oxyethylene methacrylate) (POEM, Mn = 500 g/mol)이고 첨가한 염은 calcium carbonate (BioXtra, ≥ 99.0%)이며 모두 Sigma-Aldrich사에서 구입하였다. 자유라디칼 공중합 개시제로 쓰인 물질은 2,20-Azobis (2-methylpropionitrile) (AIBN, 98%)이며 Acros Organics 사에서 구입하였다. 고분자 합성은 ethyl acetate (HPLC grade) 용매를 이용하였으며 DUKSAN (Korea)에서 구 입하였다. 고분자 복합막 지지체로 사용된 polysulfone 은 Toray Chemical Korea Inc.에서 제공받았으며 사용 한 시약들은 모두 별도의 정제 과정 없이 사용되었다.
2.2. 고분자 제조
각각 5 g의 POEM 및 PEGBEM 단량체를 50 mL의 Ethyl acetate에 녹였다. 준비된 고분자 용액을 라운드 플라스크에 넣고 0.01 g의 AIBN 개시제를 첨가한 뒤 플라스크 내부 기체를 N2으로 바꾸기 위해 퍼징과정을 1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N2 퍼징 과정이 끝나면 고분자 용액이 들어있는 플라스크를 70°C로 가열하여 하루 동 안 자유라디칼 공중합 반응을 진행하였다. 반응이 끝난 고분자 용액을 n-Hexane 비용매를 이용하여 침전하여 회수하였으며 침전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여 미반응된 단량체 및 고분자 정제과정을 진행하였다. 얻어진 고분 자를 하루 동안 50°C 오븐에 넣어 고분자 내 잔존하는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후 합성된 고분자(POEM-g- PEGBEM)은 PP로 표기하였다.
2.3. 분리막 제조
제조된 고분자를 20% 중량비로 에탄올에 녹였다. CaCO3의 영향을 살피기 위하여 고분자 중량 대비 25, 50, 75%의 CaCO3를 첨가하였으며 표기 방법을 각각 PP/CaCO3-1, PP/CaCO3-2, PP/CaCO3-3으로 하였다. CaCO3의 원활한 분산을 위하여 하루 정도 상온 조건에 서 교반시켰다. 얻어진 고분자/CaCO3 복합체를 RK Control coater (Model 101, Control RK Print-Coat Instruments Ltd., UK)를 이용하여 다공성 지지체인 polysulfone 위에 코팅하여 고분자 복합막을 제조하였 다. 다공성 polysulfone 지지체는 phase inversion method로 제조되었으며 sponge-like 구조를 가졌다. 또한 이 러한 다공성 구조는 100~200 μm 가량의 두께를 보였으 며 기공들의 크기는 약 200~300 nm 정도의 지름을 보였 다. 코팅 과정은 모두 상온에서 이루어졌으며 제조된 복 합막은 24시간 동안 진공오븐에서 실온으로 건조되었다.
2.4. 기체 투과 실험
순수한 이산화탄소 및 질소 가스를 제조된 고분자 복 합막에 투과시켰다. 사용된 기체 분리장치는 Airrane Co. Ltd. (Korea)에서 구비하였으며 기체투과 측정에 필요한 분리막의 면적은 약 10.2 cm2이었다. 투과되는 기체가 있는 지점과 투과된 기체가 있는 지점의 압력차 와 함께 투과되는 기체의 유량을 이용하여 투과도를 측 정하였으며 투과되는 유량은 bubble flow meter를 이용 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각 기체의 투과도 비를 이용하 여 선택도를 계산하였다. 투과도를 표기하는 단위는 gas permeation units (GPU)로써 1 GPU = 10-6 cm3 (STP)/(s cm2 cmHg)이다. 측정된 투과도는 약 5%의 오 차를 보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분석
Scheme 1에 POEM 및 PEGBEM 단량체를 이용하여 자유 라디칼 중합을 통해 합성된 PEGBEM-g-POEM 가지형 공중합체의 화학 반응식을 나타내었다. Fig. 1에 나타나듯이 합성한 고분자(PP) 및 염으로 쓰인 CaCO3 그리고 고분자/CaCO3 hybrid를 FT-IR을 통하여 분석하 였다. CaCO3의 경우 712, 871, 1400 cm-1 부근에서 흡 수 밴드가 관측되었는데 이는 O-C-O의 in, out 그리고 비대칭 stretching 진동운동에 기인한다. PP의 경우 1630 cm-1 부근에서 관측되는 C=C가 보이지 않아 고분 자 중합이 원활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및 고분자/CaCO3 hybrid에서 1726 cm-1 부근에 서 C=O carbonyl 그룹이 관측되었으며 1096 cm-1에서 도 PP고분자의 고유의 특징인 C-O 피크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ether, ester 및 carbonyl group 등은 Lewis base 성질을 띄어 Lewis acid 특징을 가지는 이산화탄소와 상호작용을 보여 질소에 비하여 높은 용해도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27-29]. PP/CaCO3의 경우에는 PP에 대한 CaCO3의 첨가량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O-C-O 밴 드 등 CaCO3의 특유 밴드들의 흡수 정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로써 PP와 CaCO3 간의 hybridization이 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3.2. 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 분석
TGA 분석을 통하여 PP/CaCO3 hybrid의 열적 안정 성을 분석하였다(Fig. 2). PP의 경우에는 200°C까지 열 적으로 충분히 안정한 상태를 보였으며 약간의 용매 또 는 수분이 고분자 내에 있어 2~4% 정도의 무게 손실 을 보였다. PP/CaCO3 또한 PP와 비슷한 거동을 보였으 며 약 1~2% 정도의 무게손실을 보였다. 모든 샘플들은 250°C부터 가시적인 무게 손실을 보였으며 300°C 이후 부터는 급격히 열분해되기 시작하여 450°C에서는 CaCO3 무게 비만 남을 정도로 고분자는 완전 분해되었 다. CaCO3염의 추가는 측정한 샘플들의 열적 거동에 영향을 주었는데 PP/CaCO3-1의 경우 고분자의 분해 속 도는 기존 PP에 비하여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CaCO3 의 완전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아 450°C에서 약 30%의 무게 비가 남아있었다. 또한 이보다 높은 CaCO3 함량 을 가진 hybrid에서는 고분자의 열적 분해 속도가 점차 더디게 진행되는 것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고분자의 친 수성 작용기와 CaCO3의 계면에서의 상호작용에 기인하 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TGA 분석을 위하여 PP/CaCO3 용액을 건조시켰으며 균일한 상태를 보였던 용액과는 달리 건조시킨 PP/CaCO3 혼합체는 CaCO3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불균일한 상태를 보였다. 이에 실제 분 리막을 이루고 있는 PP/CaCO3 비와 TGA 결과로 나타 난 비율에 약간의 차이가 확인되었지만 CaCO3 중량 변 화에 따른 경향성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3. XRD (X-ray diffraction) 분석
고분자 및 고분자/CaCO3 hybrid의 결정성을 조사하 기 위하여 XRD를 측정하였다(Fig. 3). CaCO3를 제외 한 나머지 고분자 및 고분자/CaCO3 hybrid는 Silicon wafer 위에 캐스팅하여 XRD를 측정을 진행하였다. PP 의 경우 염이 첨가되지 않아 다른 샘플에 비하여 Silicon wafer 위에 캐스팅된 정도가 매우 얇아 20° 부근에서 비 결정성 밴드가 아주 약하게 관측되었다. 또한 PEGBEM 단량체에 존재하는 연속된 메틸렌(-CH2-) 체인의 규칙 적인 packing에 의해 생성되는 결정성 피크가 19.4° 및 24.5°에서 관측되었다. CaCO3염이 첨가됨에 따라 혼합 용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XRD 기기의 측정이 원활하였 으며 보다 큰 강도를 보이는 비결정성 밴드가 20° 부근 에서 관측되었다. 이러한 비결정성 밴드의 강도는 CaCO3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교적 감소하였으며 반대로 CaCO3의 결정성 피크는 점차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CaCO3에서 관측된 특유의 결정 피크들이 그대로 고분자/CaCO3 hybrid에 나타난 것으로 보아 두 물질 간의 혼화성(miscibility) 및 양립성(compatibility) 가 좋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혼화성 및 양립성 은 막제조에 있어 매우 필수적인데 이러한 성질이 좋지 않은 경우 구성물질이 각자 분리되어 막 표면 또는 내 부에 defect을 생성하여 기체분리 성능을 잃을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30-32].
3.4.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분석
SEM 측정을 통하여 제조된 복합막의 표면(Fig. 4(a)~(c)) 및 단면(Fig. 4(d)~(f))을 분석하였다. 표면 SEM의 경우 CaCO3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에 관측되는 CaCO3 입자들의 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Fig. 4(a), (b)의 경우 복합막의 표면에 crack 또는 defect이 없이 분리막 제조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 다. 하지만 Fig. 4(c)에 나타나듯이 PP/CaCO3-3의 경우 CaCO3염이 과량으로 첨가되어 혼합물의 양립성을 떨어 트려 염의 aggregation 유발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기 체분리막 표면에 defect을 만들어 기체분리 성능의 소 실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기체분리막 제조에 있어 CaCO3의 첨가 정도를 조절하 는 것이 필수적임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단면 SEM 측정을 통하여 지지체로 쓰인 polysulfone의 다공성 특 징 및 기공 구조를 살펴보았으며 polysulfone 지지체 위 에 코팅된 PP/CaCO3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대략적인 코팅된 막의 두께는 4~6 μm로 CaCO3염의 양이 증가 함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였다. 이는 첨가된 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혼합물의 농도가 올라갔으며 이에 용액 의 증가된 점도에 기인한다.
3.5. 이산화탄소/질소 기체에 대한 복합막의 성능
CaCO3의 함량에 따른 PP/CaCO3 복합막의 이산화탄 소/질소 분리 성능을 Fig. 5에 나타내었다. CaCO3를 포 함하지 않는 순수 PP의 복합막은 22.5 GPU의 이산화 탄소 투과도를 보였으며 0.5 GPU의 질소 투과도를 보 였다. 또한 두 기체 투과도 비인 선택도는 44.7로 측정 되였다. CaCO3가 PP 중량 대비 25% 첨가되었을 경우 질소의 투과도는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이산화탄소의 투과도는 25.44 GPU로 약 13% 향상되어 선택도 또한 45.11로 증가하여 Trade-off 경향을 벗어났다. CaCO3의 함량이 50%로 증가한 경우에도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28.16 GPU로 약 25% 증가하였으며 선택도 또한 45.42 로 선택도 손실 없이 향상된 투과도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보다 과량으로 CaCO3가 첨가된 PP/CaCO3-3 의 경우 질소의 투과도가 84.21 GPU로 매우 높게 측정 되었으며 이산화탄소 또한 124.52 GPU로 다른 샘플들 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급등한 질소 의 투과도로 인하여 선택도 또한 1.47로 떨어져 이산화 탄소/질소 기체 분리 성능을 잃었다. 이는 Fig. 4에 나타 난 SEM 결과와 매우 부합하는데 이는 높아진 CaCO3 농도에 의해 막의 표면에 생성된 defect에 기인한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이산화탄소에 친화적인 고분 자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복합막에 CaCO3염을 첨 가하여 이산화탄소/질소 기체 분리 성능에 끼치는 영향 을 살펴보았다. 다른 고분자 중합 방법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고 금속 카탈리스트를 쓰지 않아 친환경적으로 중합이 가능한 자유라디칼 합성으로 고분자를 합성하 였고 이를 FT-IR로 확인하였다. 합성된 이산화탄소에 친화적인 고분자는 다량의 ester와 ether 작용기를 가지 기 때문에 루이스산 성질을 가지는 이산화탄소와 상호 작용할 수 있으며 22.5 GPU 이산화탄소 투과도 및 44.7의 이산화탄소/질소 선택도를 보였다. 또한 CaCO3 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산화탄소 투과도와 선택 도가 함께 증가하여 Trade-off를 극복하였고 제조한 고 분자/CaCO3 hybrid를 FT-IR, TGA, XRD, SEM으로 분 석하였다. CaCO3가 합성한 고분자의 25% 중량인 경우 에는 기존 고분자에 비하여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약 13% 향상되었으며 선택도 손실 또한 보이지 않았다. CaCO3의 중량비가 50%인 경우에는 이산화탄소 투과 도가 약 25% 증가한 28.16 GPU가 측정되었으며 이산 화탄소/질소 선택도 또한 약간 향상된 45.42로 유지되 었다. 하지만 과량의 CaCO3가 첨가된 경우에는 혼합물 의 양립성이 떨어져 막 표면에 CaCO3의 aggregation이 생성되어 기체분리막의 defect을 유발하여 기체분리성 능이 크게 감소하였다. 즉 고분자 복합막에서 이산화탄 소의 투과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적정량의 CaCO3 첨가가 필요하며 과량인 경우에는 오히려 기체분리 성 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하였다.